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디아스포라 기행 - 추방당한 자의 시선
서경식 지음, 김혜신 옮김 / 돌베개 / 200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서경식 선생의 책을 읽다보면 <디아스포라(Diaspora)>라는 말이 자주 나온다. 그런데 <디아스포라(Diaspora)>라는 단어는 우리에게는 낮선 단어이기 때문에 서경식 선생의 책을 읽다보면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 책을 통해 <디아스포라(Diaspora)>의 뜻을 명확히 알게 되었다. 이 단어의 사전적 의미는 '이산(散)을 뜻하는 그리스어'이자 '팔레스타인 땅을 떠나 세계 각지에 거주하는 이산 유대인과 그 공동체를 가르키는 말'이지만 현재에는 광범위하게 '이산의 백성'을 가르키는 소문자(diaspora)로 쓰인다고 한다. 이를 이해해야 서경식 선생 저술에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디아스포라(diaspora)>의 아이덴티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서경식 선생은 프롤르그에서 '이 책은 한 사람의 디아스포라가 런던, 잘츠부르크, 카셀, 광주 등을 여행하면서 각각의 장소에서 접한 사회적 양상과 예술작품을 테마로 현대의 디아스포라적 삶의 유래와 의의를 탐색하려고 한 시도'(p.15)라고 밝히고 있다. 그래서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디아스포라적 삶의 유래와 의의'를 찾게 되는데 특히 대표적 디아스포라인 유대인의 다양한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다만 이런 점이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에 대한 글쓴이의 비판을 약하게 만드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그리고 이 책의 내용 중에서는 김지하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이 눈에 띈다. 즉 1970년대 한국 민주화투쟁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 민족/민중문학론(대표적으로 김지하와 백낙청)이 파시즘과 정서 및 이론을 공유하여 국수주의/파시즘적 사상으로 변질되었다는 것이다.(p.72~73) 또한 한국의 민중신학이 '선민사상'을 공유해 일종의 자기중심주의, 나르시시즘에 전도되어 있다는 우려도 서경식 선생은 하고 있다. 이런 점은 분명 일리가 있어 보인다. 특히 한민족을 '성배의 민족'이라 주장하는 김지하 시인의 글은 정말 어이가 없을 뿐이다. 이런 주장은 결국 선택받은 민족이라고 주장하는 이스라엘과 과거 나치하 독일과 다른 것이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데니스 강이라는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퍼포먼스에 대한 이야기(p.228)가 있는데 이를 볼수록 "모든 예술은 쓰레기다."라는 생각이 더욱 더 견고해진다. 사실 이런 퍼포먼스가 무엇을 하려는 것인지는 알겠지만 굳이 이렇게 표현하는 것은 그저 관심을 얻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라는 생각만이 들고 오히려 혐오감이 들 뿐이다.

 어쨌든 이 책을 통해 <디아스포라(diaspora)>의 뜻을 알고 서경식 선생이 왜 이렇게 이 단어에 목을 매는지 알게되었지만 사진과 그림이 글과 어울리는 위치에 있지 않은 점이나 중간에 2군데나 파본이 있는 점은 이 책의 편집과 인쇄에 있어서 아쉬운 점이다. 그러나 서경식 선생을 알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디아스포라(diaspora)>의 아이덴티티를 이해하는데 꼭 필요한 책이니 만큼 일독하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