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 홀의 조선회상
셔우드 홀 지음, 김동열 옮김 / 좋은씨앗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청일 전쟁으로 나라가 수많은 시체로 덮여 있을 때에도
의료 봉사를 쉬지않고 진행하다 병(발진티푸스)얻은 셔우드 홀의 아버지 - 제임스 홀은
평양에서 간신히 서울로 돌아온 후 셔우드 홀 앞에서
그녀를 그리워하는 눈 빛을 깊게 남긴채 하나님 품에 편히 안기게 된다.

셔우드 홀은 동요나 마음의 움직임은 이 책에는 크게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그 이후 박에스더와 그녀의 남편과 함께 의학공부를 도와주고
둘째 딸을 낳기위해 고향 미국으로 돌아오게된다.

많은 사람들이 한번의 생애를 살고
이 생에서의 마침으로 고하고
하나님의 품으로 올라간다.
단한번의 생애.
나는 지금 그 단한번의 생애를 살고 있고
이 책을 읽으면서 하나님 앞으로 돌아가면
나는 어떠한 일을 했는가하고 물으실 때
대답할 말이 없으면 어떻게 하나 조금 걱정이 든다.

* 발진티푸스 - 고열과 발진이 주증세인 열성 ·급성의 법정전염병의 하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닥터 홀의 조선회상
셔우드 홀 지음, 김동열 옮김 / 좋은씨앗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요즘은 책속에 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 읽고 읽는 책이 '회상기'여서 그런지 몰라도
책을 읽으면 그 시대로 빠져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처음 선교사를 받아들이던 시대,
처음 복음을 받아들이던 시대.

오늘 읽은 부분은
김창식이라는 사람이
예수를 믿지 않는다고 하여
옥쇠를 치루고도
영국, 미국영사의 석방하라는 긴급한 전보에
그것도 몇일을 매질을 당하며 수갑(칼)에
손과 목이 죄어 고통을 당하고 풀려나면서도
집(홀의 시료원)까지 오면서까지
돌팔매 질을 당해서 겨우 목숨을 건졌던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이 상황을 생각하며 전철에서 내려
여의도 공원을 지나 회사까지 걸어오면서
그 시대 속으로 들어가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건한 삶을 위한 부르심 세계기독교고전 6
윌리암 로오 지음, 앤드류 머리 엮음, 서문강 옮김 / CH북스(크리스천다이제스트) / 2002년 1월
평점 :
절판


This book is fourth of 100 christian books.

I really hard did read this book, but this book really was profitable for me. I learned and thought about real Holy life
I summurised good senteces of this book at this here: (by Korean)

존 웨슬리는 "성도들이 책을 읽지 않는다면 은총의 사업은 한 세대도 못 가서 사라져 버릴 것이다..."

(신비주의에 대하여) "만물이 그를 위하여 있고, 그를 통하여 만물이 조재한다." 이것은 그 신학의 가장 중심에 있다.

이성은 하나님이 무엇인지에 대해 그 개념을 가질 수 없고, 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없다. 또한 이성은 숨겨진 분, 불가해한 오직 한분, 하나님을 건드릴 수조차 없다.

당신 자신을 이성과 사고의 개념에 자신을 맡기는 것은, 하나님으로부터 돌아서고 모든 신적인 길에서 떠나 방황하는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I though that This book didn't be achieved by just reason while I was reading. If I try to work to Holy life by just reason, I fall down to legalism.

그러므로 우리가 하나님의 성령을 주십사 기도하는 것이 분명하게 지혜롭듯이, 그 하나님의 성령을 우리 모든 행동의 원리로 삼는 것도 분명하게 지혜로운 일임에 틀림없다.

한 사람이 위선자를 숭배하면서 경건한 사람일 수 없듯이, 한 사람이 세상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좋은 그리스도인이 되기란 도저히 불가능하다.

It's very hard to follow above sentence, isn't it? - We do not both - the mundane world and Holy Spirit world. I agree that, but I am seriously affected by seeing media of the mundane world, live, and work in that. So, How do I do? Let's read, Continuously...

사람들이 자기들의 모든 행동을 통하여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는 의도를 그렇게 많이 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이러한 일은 해도 좋은지, 이러한 일은 용서받을 수 있는지 하는 유의 질문을 던지지 않을 것이고, 대신 무엇이 권할만한 일이고 무엇이 칭찬받을 일인가를 묻게될 것이다.

오직 우리의 일상적인 모든 업무를 통하여 하나님께 산 제사를 드리는 것 밖에는 없다.

자기들의 구원이 이러한 선한 일에 달려 있는 것같이 보인느 그리스도인들의 삶에 과연 무엇이 있는가? - 구원은 은혜로 되는 것이지만 그러한 은혜를 받아 ㄱ원에 참여한 자들은 그러한 선한 일로 자기들의 구원받은 것을 드러내게 될 것이라는 논리이다. ...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아 또는 중생하여 하나님의 성푸멩 참여하였으니 죄악에서 떠나 선을 행할 것을 면면히 강조하고 있다. ... 저자는 웨슬리적인 완전주의적 관점에서 우리들이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 구원을 얻었으니 이제는 힘을 다하여 하나님 앞에서 선한 일을 행해야 한다는 것을 역설하고 있는 것뿐이다.

"그런즉 너희가 먹든지 마시든지 무엇을 하든지 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 (고전10:31)

This verse is very important point of this book says. This is subject verse.

만일 우리가 순전하게 인간의 본성을 생가하면, 우리는 시편을 노래하고 여창으로 부르는 일이 우리 마음을 일으켜 하나님 안에 있는 즐거움의 상태에까지 끌어올리는데 바르고 필요한 것임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This is the good thought that I thought too when I start this blog. So I read Psalm1, and prayer with my sun. However, I didn't work continuously. I want to do like this sentense.

참된 경건의 열정을 원한다면, 우리는 자주 입술로 기도하는 수고를 해야한다.

만일 여러분이 이른 아침에 그렇게 겸비한 자세를 취하지 아니하고, 하나님께서 하루 종일 온유와 겸비한 심령으로 지내게 하시기를 바라지 않는다면, 안전하고 잘 끝맺음되는 날을 하루라도 기대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한다.

그러므로 겸손을 사랑하는 것은 여러분에게 어떠한 유익이나 이익이 되지 못한다. 다만 자신의 생각과 말과 행동들이 겸손에 의하여 지배되는 것을 보기를 사랑할 때만 의미가 있는 것이다. 교만을 미워하는 것도 여러분에게 선이 되거나 온전함을 이루어 주지 못한다. 다만 여러분 마음속에 교만이 정착하거나 어느 정도라도 있는 것을 미워할 때에만 유익하고 선하다.

That's right.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모든 세상적인 기질들을 버리고, 다른 삶속에 속한 것들에 의하여 지배를 당하게 되어, 결국에는 그들이 진실로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살았음을 보여 줄 정도가 되어야 한다.

I hope that I alwasys work like this at company.

하나님이 미워하는 것을 사랑하면, 너는 그 분을 반대하고 있는 것이고, 너 스스로를 분리시키는 셈이다. 그러니 참되고 바른 방식을 내가 알려주마. 하나님께서 사랑하시는 것을 생각하라. 그리고 네 온 마음을 다하여 그 하나님께서 사랑하시는 것을 사랑하는 것이다.

모든 선행이나 정직함이나 부지런함이나, 이을 할 때 그러한 동기에서만 힘을 얻고 일을 하거라. 네가 할 수 있는 한 완전하고 훌륭한 방식으로 모든 일을 하되, 오직 그것이 너의 온전함을 바라시며 모든 행실을 다 책에 쓰시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는 것이 되게 하라.

Oh, I hope really that.

가난을 사랑하라. 가난한 사람들을 존경하라. 많은 이유에서 그렇지만 특히 다음의 이유로 그러하다. 우리의 복되신 구주께서 그 가난한 자의 수에 들으셨기 때문이며, 너희가 그들 모두를 많은 친구로 삼을 수 있으며, 하나님 앞에서 너희의 잘한 것을 대변할 자들이기 때문이다.

I am listening what book says...

비록 사람들이 우리에게 악하게 굴고 이상하게 보이고, 그들의행실이 터무니 없이 보인다 할 지라도, 그것은 우리가 그러한 사람들을 경멸하고 무시할 하등의 동기로 보지 말아야 한다. 다만 가장 불쌍한 조건에 있는 사람들로 여겨서 더욱 큰 긍휼로 그들을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가장 부드럽고 자애로은 사랑으로 그 죄에 빠진 사람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가득하지 않은 상태에서 죄를 미워하는 모든 것은 죄의 종이면서 죄를 미워한느 것처럼 보인다.

당신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당신이 자신을 창조하였으며 자신을 보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나 다름없이 무모한 것이다.

자신이 성냄과 정욕에 거의 굴복당한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매일 저녁에 이 기질을 부단하고 면밀하게 시험해 보아야 한다. 그는 그런 유의 모든 실마리를 수색해 내야 한다. 그것이 생각이나 말이나 행동이나 어디서 나타났었는지 샅샅이 뒤져 보아야 한다.

인간의 정신에는 지혜롭다거나, 고귀한 것이란 하난도 없다. 단지 하나님을 바로 알고 진심으로 경배하는 것이, 하늘에서나 모든 영혼들의 지주이며 생명이다.

I read this book impressively about following this here - 9 o'clock in the morning prayer humility(modest), 12 o'clock prayer an intercessory, 3 pm prayer is obedience, and evening prayer is repentance.

I think that we need to follow this biblial suggestio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헨리 나우웬 : 그의 삶, 그의 꿈 - 세계영성의 거장 시리즈 01
마이클 오로린 지음, 마영례 옮김 / 가치창조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헨리 나우웨이 쓴 책은 많이 읽었지만, 헨리 나우웨이 쓰지 않은 그가 타계 후 다른 사람에 의해 쓰여진 그에 관한 책을 읽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실 신뢰하고 좋아하는 작가의 글이 아닌 그에 관한 글은 상당히 다를 수 있고 어쩌면 더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그렇다고 이 책이 헨리의 삶과 꿈을 완전히 다르게 그린 것은 아니지만 헨리가 이 세상에 없고 - 물론 아직도 그를 사랑하는 사람이 너무도 많이 있겠지만 - 평가 할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가운데 그에 대해서 이렇게 저렇게 말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그 글이 가볍든 무겁든 간에 얼마나 학문적인 근거로 쓰던지 간에 글 쓰는 이는 쓰여지는 사람에 대해서 어떻게 하던 정의가 내려지기 때문이다. 그런 정의가 책 전반에 나타나지 않더라도, 다른 곳에는 옳다고 인정할 만한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어느 한 페이지 어느 한 줄의 그에 대한 정의가 이상하다면 그것은 다른 모든 것을 허물어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그럴 만한 정의하 딱 하나 나오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헨리 나우웬에 대해서 간략하게 전체적으로 잘 정리한 것 같다. 게다가 공개되지 않는 사진을 넣으면서 그를 그리워 하고 궁금해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정보가 되었으리라 생각된다.

나에게도 이 책은 그동안 손에서 놓았던 헨리 나우웬의 책들을 다시 보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한 책이었다. 많은 부분 실제 헨리의 책의 부분을 인용했으나 대부분 내가 그동안 보았던 책들이었으나 그 인용한 부분이 생각나지 않았고 새로웠기 때문이다.

헨리 나우웨은 참으로 영성 작가이다. 그렇게도 마음을 잘 읽어 표현할 수 없다. 마음을 읽어 표현할 때 영적인 부분을 빼 놓고서 특별하 하나님을 빼 놓고서 말한다는 것은 장님이 코끼리 다리를 잡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으리라. 하나님이 없이는 우리의 마음을 얼마 논할 수 있을까. 마음을 탐구하고 탐색할 때 얼마나 그것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을런지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심리학을 통해서 영적인 사역을 한 헨리나우웨의 특별한 통찰력은 빛을 발 할 수 밖에 없는 것같다. 예일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도 그를 초청한 만큼 그의 탐구심은 어느 학문의 교수보다 더 뛰어났을 것이 틀림없다.

이 책의 인용된 헨리 나우웬의 글들 중에서 이 책을 덮으며 읽었던 그의 고백이 아직도 나의 마음을 떠나지 않고 있다.

   
 

 나는 나를 이 세상에 보내시고, 내가 다시 집으로 돌아와 내가 배운 것들을 이야기하기를 기다리시는 분 때문에, 내 짧은 생애가 매우 신나고 즐거운 사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책의 작가인 마이클 오로린 Michael O'Laughlin 의 글 중 헨리 나우웨에 대해서 설명한 이 부분이 가장 마음에 든다.

   
 

 그는 끊임없이 하나님께 몰두했고 하나님과 동행했다. 헨리 나우웬은 자신이 얼마나 민감하게 하나님과 하나님의 뜻을 구하고 있는지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고 그것이 그의 가장 특이한 점이었다.

 
   

항상 헨리 나우웬의 글을 읽을 때 느끼는 것이지만 그의 글을 다 읽고 나면, 아니 일고 있으면 항상 나를 돌아보게 된다. "나는 어떤가?", "나는 잘 하고 있는가?"

아, 나는 얼마나 하나님께 몰두하지 못하고 있는가, 나는 얼마나 민감하지 않으며 민감하게 하나님의 뜻을 구하고 있지 않는가말이다. 나는 이것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는지, 하나님을 믿고 있는 내게 이것이 가장 특이점이 될 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을 바꾼 32개의 통찰 - 뉴 비즈니스 리더 32인, 그들은 어떻게 세상을 바꿨나?
제시카 리빙스턴 지음, 김익환 옮김 / 크리에디트(Creedit)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는 내내 놀라움과 새로움, 그리고 점점 커지는 가능성으로 이해 재미있었고 흥미로웠다. 나에게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없을까 생각으로 도전이 되는 시간들이었다. 책의 내용과 두께가 얇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또, 회사가 가까워 지면서 지하철에서 책을 읽을 시간이 많지 않게 되면서 오랬동안 읽었지만 32개의 단편들을 읽는 동안 지루함은 없었다.

IT계에서 유명한 회사들이 어떻게 탄생했을까하는 호기심으로 읽게 되었는데, 또 하나의 도전을 해보았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마지막 책장을 덮게 되었다. 유명해지고 성공하는 것은 한 순간, 하나의 아이디어지만 여러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그 중에 이 32개의 성공한 회사들속에 거의 공통적으로 중요한 요소가 있었다.

그것은 첫번째 새로운 아이디어다. 대부분 자신에게 필요한 것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자신이 잘하는 것으로 부터 시작한다. 대부분 무엇을 만들어서 성공해보기위해 시작한 것은 없다는 것이다. 두번째는 구현능력이다. 자신에게 구현능력이 없으면 시작을 할 수 없다. 아이디어만 가지고는 안되는 것이다. 대부분 코딩을 직접했다. 혼자하거나 같이 시작하는 동료와 함께 하더라는 것이다. 그리고 세번째 중요한 것은 같이 시작하는 창업 맴버 - 즉, 동료이다. 자신의 아이디어로 설득할 수 있는 친구 혹은 동료와 같이 시작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네번재, 좋은 투자자이다. 우리나라에는 이렇게 많은 벤처 투자자가 없지만 미국의 경우 많은 투자자가 있고 그러한 환경이 좋다는 것이다. 좋은 사업계획서만 있으면 회사를 시작하는데 짜여진 틀이 있는 것 처럼 변호사와 투자자를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조건 투자를 받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니었다. 그 투자금으로 어떻게 회사를 운영하며 이사회에 참여하여 회사를 운영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했다.

나는 어떤 아이디어와 도전으로 인생의 후반기에 승부수를 띄울 수 있을까? 전산과를 졸업하고 네트워크 시스템에 흥미를 갖게되면서 윈도우 NT의 시스템 엔지니어로 회사생활을 시작하며 보안 분야의 시스템 엔지니어 - 테스터 - 테크니컬 라이터 - 인증 담당자로 지금까지 왔으나 앞으로는 무엇을 새롭게 할 수 있을까? 지금 가장 많이 해왔던 인증 분야의 길을 계속 걸어야 하는지 아니면 새롭게 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새로운 일을 하기 위해 내가 부족한 것은 도전 의식과 구현 능력이라는 숙제가 남는다. 지금이라도 코딩을 배워야 하는지 모르겠다. 웹에 관련된 기술을 배워야 하는가 모르겠다. 그리고 항상 도전의식을 가져야겠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세상을 바꾼 32개의 통찰 -제시카 리빙스턴
    from 김재호의 디지털보단 아날로그 2009-04-26 17:21 
    세상을 바꾼 32개의 통찰 - 제시카 리빙스턴 지음, 김익환 옮김/크리에디트(Creedit) 이 책은 위대한 해커들과의 인터뷰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뷰를 진행하는 사람은 제시카 리빙스턴인데, 어디서 많이 본 이름이다 싶었더니 폴 그레이엄의 에세이 하단에 항상 등장하는 이름이었다. 폴 그레이엄의 글 아래에는 항상 감사 글이 달려있는데(아마도 글을 발행하기 전에 감수해준) 이 여자의 이름은 모든 글에 빠지지 않고 등장에서 기억에 남아있다. 이 책에 나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