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버릇 고쳐주는 부모습관 8가지
요한나 그라프 지음, 이홍경 옮김 / 글담출판 / 2006년 5월
절판


이것이 문제습관이다 : 화가 나면 아무 말이나 막 하는 부모

자녀와 갈등에 직면했을 때, 감정의 정지 버튼을 눌러라. 한 번 더 생각하고 한 걸음 더 물러서라. 아이와 갈등에 직면했을 때 화를 참지 못해 무원칙하게 화를 내는 부모라면 일단 정지 버튼을 눌러라. 그리고 화 때문에 평소 세워둔 소신에 위배되는 말을 하는 것은 아닌지, 한 번 더 되새겨라. 그런 뒤 말하라. 그것이 행복한 아이를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습관이다.-.쪽

'아이와 나' 사이에서
------------------------------------------------------

"부모는 항상 아이를 제 1순위에 놓고 자기 것은 포기해야만 한다."
"너무 지쳐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더라도 아이를 위해 있는 힘을 전부 끌어 모아야 한다."
이것은 부모에게 약간 남아 있는 힘까지 몽땅 쏟아 부어 결국 완전히 지치게 만드는 잘못된 생각이다. 경고 알람이 울리기 전에 부모도 쉬어야 한다. 휴식을 함으로써 다시 에너지를 충전해야 한다. 아무것도 가지지 않은 사람은 줄 것도 없기 때문이다.
부모는 세 가지 의무사항이 있다.
1. 나 자신 돌보기 2. 배우자 돌보기 3. 아이 돌보기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끼며 날마다 자신을 위해 투자할 시간이 있는 사람만이 배우자와 아이들을 더 사랑스럽게 대할 수 있다.
커다란 나무를 베어야 한다고 한번 상상해 보라. 가능한 빨리 일을 끝내려고 단 1분도 쉬지 않고 무거운 톱으로 하루 종일 나무를 베었다. 이제 나무를 반쯤 베었을 뿐인데 5분도 더 버티지 못할 정도로 완전히 지쳐 버렸다. 이때 몇 미터 옆에서 똑같이 나무를 베고 있던 남편이 눈에 들어왔다. 정말 믿을 수 없다! 남편은 벌써 일을 끝냈다! 남편은 1시간마다 쉬었음에도 나무를 다 벤 것이다.
"어떻게 일을 끝냈어요? 난 쉬지 않고 일했고 당신은 1시간마다 쉬었잖아요?"
"난 1시간마다 쉬면서 톱을 더 날카롭게 갈았거든."
그는 미소를 지으며 대답했다.

=>아이를 우선순위에 놓는것이 최고는 아니었네요.-.쪽

아이들에게는 긍정적인 요구와 분명한 경계선이 필요하다.

아주 행복하고 안정적으로 자란 아이는, 스스로 무엇을 해야 할지 분명한 경계선을 그어준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이다. 이런 연구 결과들은 아이들에게 분명한 경계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경계선을 확실하게 그으면 아이들은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고 하지 말아야 할지 분명하게 알게 된다. 그 경계선을 통해 아이들은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를 알게 되고 앞으로도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배우게 된다.
부모가 아이들에게 일관성 있게, 자유를 주는 동시에 규칙과 경계선을 지키도록 교육하면 아이들은 어려운 상황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다.-.쪽

어린 아이들이 보이는 분노식 발작


"당장 사줘. 갖고 싶단 말야!"
원하는 장난감을 사주지 않는 부모에게 시위라도 하듯 바닥에 누워 데굴데굴 구르는 아이들. 물건을 바닥에 던져 버리고 엄마의 손등을 물어뜯는 아이들. 엄마가 안아서 제지하려고 하면 발버둥을 치며 울고불고 하는 아이들. 아이들이 보이는 분노의 발작이다.
화가 나 자제력을 잃어 버리면 아이들은 부모가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없다. 기껏해야 부모가 뭔가를 말하고 있다는 것만을 알 뿐이다. 또 아이들은 자신의 분노를 말로 표현하지 못한다. 아직 언어와 감정을 담당하는 양쪽 뇌가 서로 결합되어 있고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이들은 말이 아닌 몸으로 분노를 표현한다.
이때 아이 가까이에서 차분한 목소리로 말을 건네는 것이 부모가 이 순간에 아이에게 할 수 있는 최선책이다. '네 옆에 있고 네 편이야.'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차분한 목소리로 아이를 진정시켜야지 창피한 마음에 아이를 때리거나 더 큰 소리를 지르거나 하는 것은 사태 진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쪽

이것이 문제습관이다 : 아이 앞에서 서로를 무시하는 부모

아이들은 부모의 사랑을 받고 싶어 한다. 그리고 부모님이 서로 사랑하기를 원한다. 부모가 아이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은 멋진 옷도, 신기한 장난감도 아닌 행복한 가족의 모습이다. 하지만 모든 부부가 원만하게 부부관계를 유지할 수는 없다. 때론 갈등하고 때론 반목하며 지내는 것이 부부다. 그러나 그 어떤 상황에서라도 부부는 아이를 기르는 데 한 팀이 되어야 한다. 서로 돕고 힘이 되어주어야 한다. 부부는 헤어지더라도 부모는 남기 때문이며 아이는 엄마와 아빠가 모두 필요하기 때문이다.-.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6-05-30 1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담아가요^^

보슬비 2006-05-30 13: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도움이 되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