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통 대기업 문화의 단점을 ‘관료적이다‘ ‘부품이 된다‘고 뭉뚱그려 표현하는데, 넷플릭스는 명확하게 문제를 정의하고 있어 무릎을 탁 치게 만드네요. 예를 들면 조직이 커지면서 복잡도가 올라가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규정을 많이 만든다는 것이죠. 그러면기막힌 인재들은 떠나가고요. 능력자들은 규제하지 않아도 스스로열심히 일하고, 문제가 일어나도 쉽게 회복합니다. 따라서 굳이 많은 규정을 만들 필요가 없죠. 조직에서 관리해야 할 가장 주요한자원은 비용도 근태도 아닌 ‘열정‘이 아닌가 싶습니다."
토스팀의 구조와 문화, 제도는 모든 구성원을 뛰어난 역량과높은 책임의식을 가진 어른으로 대우한다는 기본 전제에서 시작했다. 이러한 대원칙은 토스팀이 5명에서 2000명에 이르는 큰 조직이되어가는 동안 단 한 번도 흔들리지 않았다. - P95

적(敵)이 없는 나이스가이는 어떤 것도 스스로 결정하는 법이 없는 무능한 사람이었다. 판을 흔들어 무언가를 바꿔보려는 혁신가는 적이 많았다. 김유리는 욕먹으면 먹을수록 날카롭고 단단한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쪽이었다. 거칠고 독단적이기로 세상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울 스티브 잡스의 호랑이 같은 눈빛을 김유리는 좋아했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eBook] 마케팅 설계자- 자동 수익을 실현하는 28가지 마케팅 과학
러셀 브런슨 지음, 이경식 옮김 / 윌북 / 2022년 12월
17,360원 → 17,360원(0%할인) / 마일리지 860원(5% 적립)
2023년 01월 26일에 저장

뉴욕타임스의 디지털 혁명
송의달 지음 / 나남출판 / 2021년 4월
28,000원 → 28,000원(0%할인) / 마일리지 280원(1%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23년 01월 13일에 저장

처음 배우는 머신러닝- 기초부터 모델링.실전 예제.문제 해결까지
김승연.정용주 지음 / 한빛미디어 / 2017년 10월
26,000원 → 23,400원(10%할인) / 마일리지 1,300원(5% 적립)
2023년 01월 13일에 저장
절판

페이스북은 내가 우울증인 걸 알고 있다- 글로벌 리더 기업의 인공지능 성공 스토리 50
버나드 마.매트 워드 지음, 홍지수 옮김 / 봄빛서원 / 2019년 11월
18,000원 → 16,200원(10%할인) / 마일리지 90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6월 13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23년 01월 13일에 저장



2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자들은 공감 능력이 뛰어나니까." 나는 이 말이 무섭다. 공감과 이해의 짐을 지울 때 밑밥 까는 말 같기 때문이다. 남자가 공감하려 들지 않으면 진화에 따른 유전자 탓이지만 여자가 그렇지 못하면 ‘비정상‘이다. - P45

"딸은 애교도 많고 공감도 잘하고 노후에 부모도 잘돌본다." 딸을 향한 상찬같이 들리는데 불편하다. 나는이런 ‘딸바보‘들이 무섭다. 1950년대생인 우리 엄마가평생 감내해야 했던 "큰딸은 살림 밑천"이라는 말의 다른 버전 같다. 딸을 인간이 아니라 기능으로 환원한다는점에서 그렇다. - P46

프롬은 인류가 ‘남성의 무장해제‘ 방향으로 진화한 까닭이 여성의 성적 자율성이 커질수록 영아 생존률이나 개체군의 성장률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진화심리학은 남성적 시선을 적응으로 착각한 나머지, 성차별적 편향을 인간의 진화생물학에 투사해버리고 만다"며 "현대여성들이 과거에 진화를 통해 얻은 성적 자율성을 완전히 향유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주범은 가부장제라는문화의 진화였다"라고 썼다. -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이가 들수록, 삶이 만만치 않다는 걸 절감할수록, 실은 내가 그리 대단한 존재가아니라는 걸 깨달을수록 사랑은 연민을 닮아간다. 자신의 약함을 절감할수록 연민의 폭은 넓어진다. 그런 연민은 다정하고 평등하다. 그 다정함이 나를 구원할 거다. - P13

철학자 마사 누스바움은 《혐오와 수치심》에서 정신분석·문학 등을 몽땅 동원해 이 두 감정의 뿌리를 짚는다. 오염·전염을 떠올리게 하는 오줌, 똥, 콧물, 끈적끈적한 체액은 원형적 혐오 대상이다. 이 이미지들은 비약을 거듭한다. 인간이면 가질 수밖에 없는 동물성과 유한성에 대한 두려움을 타인에게 투사하면서 혐오는 자란다. 승자만 지배하는 환경에서는 더 잘 자란다. 자신 안에서 지워버리고 싶은 것을 타자에게 덮어씌우고 자기에게는 없는 척한다. 이상적인 남성성에 대한 환호는 여성혐오로 완성된다. 이상적인 몸은 추한 몸이 없으면 있을 수 없다. 인종주의, 동성애에 대한 거부의 근간에도이런 투사가 똬리를 틀고 있다. 누스바움은 이를 동물과 인간 사이 ‘완충지대’를 만들려는 욕망이라고 해석한다. - P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