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슬픔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경숙,은 언제부턴가, 참 그랬다. 뽑지 못하고 놔둔 사랑니,같은 것. 지니고 있으면 통증이 일었고, 내쳐버리자니 공허함이 감돌았다. 내가 그의 작품을 처음 접했던 작품, 「엄마를 부탁해」도 아니요, 「엄마를 부탁해」의 후유증으로 읽기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렸던 「기차는 7시에 떠나네」도 아니었다. 참고로, 많은 독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는 「엄마를 부탁해」를 ‘후유증’이라는 명사를 붙였는데, 그건 긍정이 아닌 부정이다. 난 그 책을 읽고 그를 자칫, 다시는 만나지 않을 뻔 했으니까. 감히, 그를 내 작가로 만들어야겠다, 고 생각하게 만든 「기차는 7시에 떠나네」가 아니었다면, 난 그의 책을 한 번 들추어나 보았을까, 싶을 정도로 「엄마를 부탁해」 ‘후유증’은 너무나도 심각했다. 그리고 후에 「외딴 방」은, 나의 방 문으로 들어온 그를, 주저앉히기에 충분했다. 그것이다. 사랑니와도 같다, 고 이야기하는 까닭이. 신경숙,은 도대체 어떤 사람일까.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를 읽으며 느꼈던 약간의 아쉬움은 그의 단편 혹은 중편으로 짜여진 「딸기밭」으로 달랠 수 있었다. 언제고 읽어봐야겠다, 했던 「깊은 슬픔」을 그의 신간 「모르는 여인들」의 소식을 듣자마자 그것을 읽기 전에 느긋하게 읽어야겠다, 며 들었던 것. 그를 만나다.

 

 

 

 

 그들이 각자 지닌 사랑의 형태는 삐뚤빼뚤하여 균형감이 전혀 없어 온전하지가 못했다. “네가 그러고 있는 한은 나는 어디다 마음을 둬야 할지를 모르겠어. 나는 아무 말도 하지 말아야 할 텐데…… 네 생각을 하면 오싹해졌다 더워졌다…… 하늘이나 땅이나 어디라도 솟아버리거나 꺼져버렸으면…… 다 그런 거지. 다른 사람이라고 무슨 방법이 있으려고, 다들 이러겠지, 싶다가도…… 사랑한다면 사랑하는 마음끼리 보태져서 할 일이 있을 텐데…… 서로 돋아나게 하고…… 살고 싶게 하고…… 내가 너를 사랑한다고 한 건 그러기 위해서였는데…… 왜 그렇게 멀어지기만 하는 거지? 왜 내가 곁에 가지도 못하게 하는 거지? 내가 무얼 잘못했어?” 사람들은 흔히, 더 많이 사랑하는 사람이 진다,고 말한다. 작품도 그 말을 따라간다. 세는 은서에게, 은서는 완에게. 그리고, 완은 은서에게, 은서는 세에게. 그들은, 무얼 잘못한걸까. 사랑이 말한다. 너희들이 못한 건, 아무 것도, 없어. 라고.

그 여자 이야기를 쓰려 한다. 이름을 은서라 짓는다. 사랑이 불가능하다면 살아서 무엇 하나, 가끔 우는 여자. 언제부턴가 내 속에 내가 먹이를 주어 기른 여자.

 

나는, 은서였다. 나는, 완이었다. 또 어느샌가, 나는, 세였다. 철저하게 나는, 그들이었다. 사랑이 전부였던, 그녀, 혹은 그. 그들은, 서로에게 고향이었다. 버팀목이었고, 안식처였으나, 한편으로는 도망치고 싶은 곳,이기도 한. 그렇게 사랑이 시작된다. 아니, 시작된다고 말해야하나, 이미 시작이 됐다고 해야하나, 아니면 시작은 애초에 없었다,고 말해야 하나. 어쨌거나 언제부터인지 모를 사랑이 각자의 마음에 자리메김이 된다. 은서의 사랑이 슬펐고, 완의 사랑이 슬펐으며, 세의 사랑이 슬펐다.

 

 

 

 

투명해. 오래 바라보고 있으면 물 속처럼 다 보이지. 그리운 얼굴이 불의 일렁거림 속에 비치고, 외롭게 한 것들, 자꾸만 밀어내기만 하는 것들이 다 비치지. 불 앞에 오래 있으면 마음이 솔직해져. 밑바닥이 다 보여.

 

여담이지만, 작품을 읽으며 전에 근무하던 직장 상사 하나가 나에게 했던 말이 떠올랐다. ‘원래 사랑을 받는 사람이 사랑을 잘 할 줄 안대요. 리라씨는 사랑 받는 게 눈에 보여요. 그래서 연인에게도 참 잘 할 것 같아요.’ - 그래서였을까. 은서, 완, 세. 그들은 분명, 서로에게 사랑을 주었고 또 사랑을 받았지만, 그러면서도, 아니 그래서 외로웠다. 자기가 원하는 시기에, 자기가 원하는 사람에게, 사랑을 받지 못할 뿐더러, 자신이 상대방에게 주는 사랑은 허공에서 유영했기 때문에. 그래서, 그들이 했던 사랑이라는 자리에는 눈물 방울이 몽글몽글하게 맺혀있는 건지도.

 

 

 

 

하지만 저 순간은 곧 지나가리. 이 청명한 봄날 아침의 저 순결한 목련잎은 곧 누렇게 되어 가벼이 떨어지리. 그렇다 할지라도 지금 목련은 무슨 일을 터뜨릴 것처럼 그렇게 아름답다.

 

그리고 화연. 작품 속에서 화연은 두 명, 아니 두 마리, 아니 두 번 등장한다. 세의 작업실에서 가져 온 석류를 밟은, 은서 앞에 그녀가 초인종을 누른다. 아무 것도 안 하고 가만히 있다가 간다며 문을 열어달라는 그녀. “미안해요. 정말 아무런 뜻도 없었어요. 그냥 날이 밝을 때까지만 아무런 얘길 하질 않아도 좋으니 누군가의 옆에 있고 싶었던 것뿐이었어요.” 은서와 화연, 그녀들은 자신들이 지니고 있는 상처로 인해, 누구보다 깊은 우정을 나누게 된다. 그리고 그녀가 데리고 있던 ‘수’,는 그녀의 사촌이자 남자에게 넘어가고, 그는 그것을 화연,이라 부른다. 은서 그녀 역시. 그렇게 부르면, 정말, 화연인 것 같아서. 화연아, 화연아, 화연아.

 

 

 

 

너는 너 이외의 다른 것에 닿으려고 하지 말아라. 오로지 너에게로 가는 일에 길을 내렴. 큰 길로 못 가면 작은 길로, 그것도 안 되면 그 밑으로라도 가서 너를 믿고 살거라. 누군가를 사랑한다 해도 그가 떠나기를 원하면 손을 놓아주렴. 떠났다가 다시 돌아오는 것, 그것을 받아들여. 돌아오지 않으면 그건 처음부터 너의 것이 아니었다고 잊어버리며 살거라.

 

울,컥. 결국 내 눈 끝에도 눈물이 맺혔다. 나 좀 데리러 와, 대신 한번 와, 라는 말로 대신했던 은서의 동생, 이수. 은서에게 누나, 누나, 누나 - 부르던 이수가 떠올라서 급작스레 우울해졌다. 내가 작품에서 가장 많은 정을 준 인물. 은서도, 완도, 세도, 화연도, 혜란도 아닌, 이수. 서평에 쓰진 않았지만 실은, 은서가 개인적으로 쓰고 있는 이야기 두 편이 소개된다. 은서가 이수에게 읽어주는 것, 하나. 이수가 은서에게 읽어주는 것, 두울. 첫번 째 이야기는 정을 줄 수 없는 어머니와 관련된 이야기라고 한다면, 두번 째는 떨어져 있지만, 끔찍이도 생각하는 동생 이수에 관한 이야기, 같다. 그것을 이수가 은서에게 읽으며 도중에 이건 내 얘기야. 누나 나 맨날 업고 다녔잖아!” / “거긴 여자 동생인걸. 그래도 너를 업으면 내 등이 따뜻했지.” - 은서가 정신적으로 유일하게 의지할 수 있었던 존재, 이수,는 어떻게, 지내니? - 난, 신경숙이라는 브랜드가 더 좋아졌다. 난 정말, 당신이, 좋아요. 아니, 당신의 손 끝에서 뭉그러지는 글들이, 너무 좋아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장소] 2013-08-03 1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힘든 시기에...
깊은 슬픔"은
필사의 힘으로
저를 견디게 해준.
그런 책.

그녀,신경숙.
그 사람이..책을 쓰지 않았다면..
아마도 저는 이미 정말 없었을 사람.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