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샹보거리>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데샹보 거리
가브리엘 루아 지음, 이세진 옮김 / 이상북스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사람의 마음속에서 가장 마지막에야 사라지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자유를 향한 욕망일 거라고 했다.


캐나다 대표여류 작가 가브리엘 루아의 데샹보 거리는 얼마전에 읽은 아사다 지로의 <가스미초 이야기>처럼 어린시절의 추억에 대한 자전적 단편소설이다. 추억의 회상이라 그런지 가을과 겨울에 잘 어울리는 책들이다. '가스미초 이야기'도 읽는 내내 가슴이 훈훈했었는데 이 '데샹보 거리' 또한 광활한 초원이 있는 캐나다의 이야기라 그런지 가슴이 훈훈해지면서 엄마와 둘이서 여자들만의 자유여행을 떠날때는 왠지 모를 통쾌함 같은 것을 느끼게 해 주었다.

매니토바 주 위니펙 근교의 작은 거리인 데샹보 거리에 사는 그녀에게는 보여지는 모든 것들이 새로운 이야기 거리다. 집안 경제를 위하여 처음으로 들인 하숙생이 '흑인' 이다. 그 거리에선 생각도 못 할 일을 엄마는 한것이다. 그것을 앞집의 길베르 아줌마에게 멋지게 한방 먹이듯 설명하는 엄마, 그런 엄마가 무척 감성적이다. 작가의 감성은 엄마를 닮은 듯 하다. 막내 딸을 데리고 식구들 몰래 대륙횡단 기차를 타고 여행을 즐기기도 하는 엄마는 집을 나와서 비로소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듯 크리스틴에게 많은 것을 느끼게 해준다. 

세상을 등지고 수녀원에 들어가는 언니보다는 '노란 리본자락' 이 더 탐이 나고 갖고 싶어 그것에 집착하는 크리스틴, 그 노란 리본자락은 무엇에 쓰려고 했는지 어떻게 활용을 했는지 기억하지 못하면서 유독 노란 리본에 집착하여 수녀원으로 향하던 언니와의 이별에 눈물짖게 하려다 웃음이 나오게 하는 부분들은 왠지 서글퍼지기도 한다. 그에 반해 이민자들을 위한 식민청에서 일하던 아빠는 국가의 돈을 한푼이라도 소홀히 쓰면 안된다고 생각하는 철두철미함을 지녔지만 일때문에 가족과는 거리가 먼듯 하면서 아녜스와는 맘을 터놓고 자신의 일에 대해 이야기를 잘 해주기도 하지만 결국에는 병으로 생을 안타깝게 마감하는, 아빠의 죽음이외에도 언니의 죽음이라든가 자기 밑의 동생의 어린 나이의 죽음을 겪으면서도 담담하게 그 시대의 생활이나 주변 환경의 묘사나 자신의 어린 시절 감정등을 잘 그려냈다. <데샹보 거리>가 어린시절의 잘잘한 추억들을 보여준다면 그녀의 다른 작품인 <알타몽의 길>은 좀더 성숙한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하니 그 책 또한 읽어봐야 겠다.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유년시절이라 그런지 햇빛이 미루나무잎에서 반짝반짝 부서지듯 이야기들은 풋풋하면서 아름답다. 금방이라도 소설속의 크리스틴이 뛰어 나올것 같은 이야기들은 '이탈리아 여자'  에서도 옆짚에 새로 집을 짖고 이사오는 이탈리아 아저씨의 입에 선물로 '딸기 세 개' 를 넣어 주는 센스, 생각하면 귀엽기만 하다. 그것도 식구들 몰래 준비한 선물이며 그 답례로 뽀뽀세례를 받고 어쩔줄 몰라 식구들에게 이야기를 했다가 이상한 눈으로 바라보는 가족들, 하지만 그의 아내가 너무 작고 가냘파서 아이를 낳을 수 없어 그녀를 딸처럼 대한 이탈리아 아저씨는 아픈 아내를 위해 새로운 땅 캐나다에 멋진 이웃과 함께 작은 집을 지었지만 아내보다 먼저 세상을 등지고 아내와 함께 차가운 영혼이 되어 이탈리아로 돌아가는 서글픈 이야기등 서글프면서도 아름다운 이야기들은 그녀만의 시선으로 풀어낸 캐나다 작은 데샹보 거리의 이야기이지만 일상이 아름다운 소설임을 말해주기도 한다. 그녀는 소설속에서 작가가 되고 싶어해 엄마에게 글쓰기에 대해 말하기도 하는데 엄마는 '글쓰기는 가혹하지.그거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까다롭고 요구가 많은 일일게다. 정말로 진실한 글을 쓰려면 말이야, 말하자면,자기를 두 쪽으로 쪼개는 셈이 아닐까. 한쪽은 아등바등 살아야 하고 다른 쪽은 응시하고 판단하는 거지...' 글을 쓴다는 것은 빼도 박도 못하게 남들과 멀어지는 것아니겠니... 철저히 혼자가 되는 거야, 애야.' 라고 충고도 해 준다. 

이런 단편소설들을 읽다보면 내 어린시절을 꺼내어 연작단편소설을 쓰고 싶은 생각이 문득 들때가 있다. 추억이란 꺼내어 보면 아름답고 안타깝기도 하고 때론 눈물짓게도 하지만 지난 시간이라 더 애틋하면서 가슴 한켠에 모닥불을 피운 기분이 들기도 한다. 무겁지 않게 자신의 지난 추억까지 되살려 보면서 읽어 본다면 재밌는 단편소설이다. 그녀의 작품은 처음이지만 이 작품으로 인하여 작가와 그녀의 작품이 관심을 갖게 됐다. <알타몽의 길>외 <싸구려 행복> <내 생애의 아이들> 등을 읽어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