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의 나라>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아사의 나라
유홍종 지음 / 문예출판사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황강은 천천히 흐르지만 강바닥의 물살은 빠르다.


작가의 책은 처음이지만 그의 논픽션 작품들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아사의 나라’ 는 흙피리에 얽힌 왕녀의 슬픈 사랑이야기를 읽다 보니 그의 다른 작품들을 꼭 읽어봐야 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한참 뜨고 있는 드라마 ’선덕여왕’을 보지 않아서일까 그 드라마를 보았다면 이 작품에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었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가져보지만 찬란함 만큼 역사적 사료가 부족하여 관심밖으로 밀려난 나라 ’가야국’ 의 아픔을 잘 나타내준듯도 하여 재밌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고구려 신라 백제 강대국들 틈에서 독립을 꿈꾸는 가야, 가약국의 왕녀 아사는 다양한 분야의 책들을 섭렵하여 지식도 풍부하여 오라버니처럼 여기던 진술래에게 지략을 전해주기도 하는데 그녀를 맘에 두고 있던 진술래와는 다르게 그녀는 신라의 장수 설오유에게 첫눈에 반해 그와의 꿈같은 시간을 보내게 되지만 백제에 볼모로 잡혀가 의자왕의 후궁이 되기에 이르른다. 후궁이 되어도 설오유와 자신의 나라인 대야국과 황강을 잊지 못하던 그녀는 설오유의 아이를 가진것을 알고는 백제를 탈출하려 하지만 그녀의 맘과 같이 쉽게 그곳을 벗어날 수 없음을 알고 아이만은 꼭 설오유에게 전해주려 노력한 결과 백제의 왕비 은고의 눈에 나 기어이 그녀에 의해 목숨을 잃지만 그녀가 낳은 딸 '사비' 만은 설파의 손에 넘겨주어 키우게 한다. 어머니의 죽음과 함께 백제의 땅에서 자신을 감추고 숨어 살아야 했던 사비는 그녀의 이름을 지어주고 그녀의 앞날을 내다봤던 스님들과 함께 살지만 그도 오래가지 못하고 눈까지 멀어 앞을 볼 수 없는 신세가 되지만 스님의 열반과 함께 그녀에게 주어진 신기로 인해 어머니인 아사가 이루지 못한 일을 이루게 되기도 하고 아버지인 설오유 장군까지 만나게 된다.

작품은 아사의 이야기와 그녀의 딸 사비의 이야기로 나뉘어 있지만 강대국들의 치열한 싸움과 함께 설오유와 아사의 사랑뿐 아니라 백제가 왜 의자왕때에서 멸망에 이르렀는지 하는 작가적 상상과 의자왕의 고뇌와 왕권에만 눈이 먼 왕비와 간신배들의 권력다툼및 벡제 멸망과 백성들의 비참함을 잘 그려낸 작품이기도 하며 삼국뿐 아니라 국제 정세를 잘 나타내 역사를 간추려 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책략에 능했던 아사였듯이 그녀의 딸 사비 또한 어머니를 닮아서일까 그와 비슷한 인물로 묘사되어 작품의 끝까지 어머니의 분신처럼 삼국의 정세뿐만이 아니라 어머니가 이루지 못한 꿈을 이루며 불자의 삶으로 어머니 뿐만이 아니라 안타깝게 스러져간 영혼들을 위한 삶으로 마감하는 그녀의 마지막이 한편의 대하드라마를 보고 난 느낌이 들듯 했다. 

아사와 설오유의 사랑뿐만이 아니라 삼국의 치열한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작품이라 더 긴박하면서도 애절하게 읽었던 작품이다. 토적에 쓰인 8언의 시처럼 '바람 끝에 스친 인연의 숨구멍으로/ 그대 천 길 지옥불을 불러들였네./ 사랑이 그토록 슬픈 전설이라면/ 뉘라서 한목숨 바꿀 자 있으랴./ ' 지상에서 삼개월 부부의 연이었지만 그 깊은 인연의 끈이 삼국의 역사와 맞물려 대물림되고 찬란하였지만 만개하지 못한 꽃처럼 스러져간 가야의 슬픈 역사처럼 져야만 했던 아사의 사랑이 다시 꽃핀듯한 작품 '아사의 사랑' 은 백제에 무왕 서동의 사랑처럼 드라마로 재탄생 되어도 재미 있는 작품이 될 듯 하며 김훈의 '현의 노래' 에서 잠시 가야의 찬란한 문화가 언급되어 아쉬움이 많았는데 이 작품에서 해갈하기엔 모자라지만 그나마 잊혀진 나라 가야의 등장은 역사를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준것 같아 아쉬움을 잠시 달래준 작품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