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지젝에 관한 책을 읽었다. <슬라보예 지젝>(김현강 지음)이란 책인데, 지젝과 라캉에 관심이 있지만 가까이 가면 약간 두통이 생기던 분들에겐 새로운 처방전 역할을 할 거 같다. 이 책을 본 김에 요새 지젝과 라캉의 출몰현황(신간 소식?)을 살폈더니, 눈에 띄는 것들이 여럿 보인다. 

 

 

 

 

라캉의 '세미나'를 드디어 우리말로 맛볼 수 있다. 1권부터 차례대로가 아닐지라도, 이제 시작인데 어쩌랴! 이 상황에서 에크리 번역까지 기다리는 건 큰 욕실일까?            최근 라캉에 관한 책 중에선 캐서린 벨지의 <문화와 실재>가 끌린다. 책의 차례를 보니, 독특한 구성은 아니지만, 여태 라캉과 관련하여 생긴 많은 문제들 중에서 중요한 것을 잘 포착해서 구성한 모습이 엿보인다.번역만 괜찮다면, 좋은 지식을 얻을 것 같다. 

<라캉 거꾸로 읽기>는 시인이기도 한, 이승훈씨의 책인데, 라캉에 대한 글이라기 보다 (자신의) 라캉 소화와 그 배출의 풍경을 담아내지 않았을까, 예상이 간다. 이 분의 다른 책들을 보니까, 지식의 폭이 상당히 넓다. 약간 옆길로 새는 감이 있지만, 몇 권을 추려본다. 

 

 

 

 

모더니즘에서 해체, 라캉에 이르는 큰 주파수 대역이 느껴지는데, 특히 눈이 가는 책은 <선과 기호학>이다. 나도 최근에 '간화선'이 심상치 않게 보여서, 공부할 기회를 찾고 있는데, 기호학과 선을 다룬 책이 있다니 꽤 반갑다. 내용도 기대에 미친다면 더 근사한 일이지만. 

화두를 뜬구름 잡는 말장난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그것을 기표의 차원에서 바라볼 이론적인 도구들은 지금, 간지럽게 서성이고 있다.  

 

 

 

지젝의 <죽은 신을 위하여>는 지젝의 본격적인 징후가 보이는 책이기도 한데, 굳이 완성도?를 들먹인다면 편견과 억지도 세련된 여과없이 떠도는 것 같다. 그러나 이것이 지젝에겐 문제될 것이 없을 수도 있다. 지젝 특유의 실천을 독려하는, 그리고 그 자극이 독자들에게 전달된다면, 그것으로 된 거니까.  

 

 

 

 

 

 

 

<죽은 신을 위하여>를 굳이 꼽지 않더라, 이제 슬슬 지젝의 여인이 라캉보다는 헤겔임을 눈치채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진정한) 기독교를 믿는 지젝이 즐겨 읽는 헤겔! 그리고 효과적인 도구로서의 라캉.  

최근 지젝이 관여한(서문) 책들이 나오고 있다. 

Revolutions 시리즈인데, 지젝은 물론 그의 동료 알랭 바디우도 보이고, 테리 이글턴, 마이클 하트의 이름도 눈에 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