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벚나무의 저녁

 

                   장 철 문

 

민박표지도 없는 외딴집. 아들은 저 아래 터널 뚫는

공장에서 죽고. 며늘아기는 보상금을 들고 집을 나갔다

한다. 산채나물에 숭늉까지 잘 얻어먹고, 삐그덕거리는

널빤지 밑이 휑한 뒷간을 걱정하며 화장지를 가지러 간다.

삽짝 없는 돌담 한켠 산벚꽃이 환하다. 손주놈이 뽀르르

나와 마당 가운데서 엉덩이를 깐다. 득달같이 달려 온

누렁이가, 땅에 떨어질세라 가래똥을 널름널름 받아서 먹는다.

누렁이는 다시 산벚나무 우듬지를 향해 들린 꽁꼬를 찰지게 핥는다.

손주놈이 마루로 올라서자 내게로 달려온 녀석이 앞가슴으로 뛰어 오른다.

주춤주춤 물러서는 꼴을 까르르 까르르 웃던  손주놈이

내려와 녀석의 목덜미를 쓴다.녀석의 꼬리를 상모같이 흔들며

긴 혓바닥으로 손주놈의 턱을 바투 핥는다.

저물어 가는 골짜기 산벚꽃이 희다.

 

장철문시집 <산벚나무 저녁,창비>의 24쪽의 시

 

 

 

<마음대로 詩해독> 장철문 시인의 시는 왠지 마음이 끌린다. 그림이 그려지면서 보고 있으면 나도 모르게 마음을 빼앗기고 만다.

 

그의 시 속에서는 남루하고 힘없는 이웃들이 산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손주를 키워야 하는 노인, 밭두렁에서 호박 하나를 따와 마음이 편치 않아 양심선언하는 남자, 어둔 창앞에서 차 한잔을 나누며 서로 애잔해 하는 부부, 그의 시 속에서는 사람들이 살고 있다.

 

그들의 넋두리를 꼭 들어 주어야만 할 거 같은 분위기다. 사람들의 살아가는 보편적인 이야기다. 시 속 손주를 키우는 노인네도 부모 사랑을 못 받고 할머니랑 사는 어린 손주도 누렁이도 끝까지 마음이 쓰인다.

 

단촐하니 맞는 저녁 풍경속 산벚나무꽃은 얼마나  환하고 서글플까? 이 시를 읽고 있으면 장욱진의 소박한 그림들과도 겹쳐진다.

 

삽짝 없는 돌담 한켠 산벚꽃이 환하다.
저물어 가는 골짜기 산벚꽃이 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매미들

 

    이면우 시인

 

사람들이 울지 않으니까

분하고 억울해도 문 닫고 에어컨 켜 놓고 TV 보며

울어도 소리없이 우니까

 

요렿게 우는 거라고

목숨이 울 때는 한데 모여

숨 끊어질락 말락 질펀히 울어젖히는 거라고

 

옛날옛적 초상집 마당처럼 가로등 환한 벚나무에 매달려

여름치 일력 한꺼번에 찌익, 찍 찢어내듯 매미들 울었다

낮 밤 새벽 가리잖고 틈만 나면

시집<아무도 울지않는 밤은 없다>.34쪽의 詩

<마음대로 詩 해독解讀> 시인은 여름날 시원하게 울어젖히는 매미를 보자 울음을 참고 사는 사람들이 떠 올랐나보다.

너나할 것 없이 슬퍼도 울 일 있어도 울지 않은 인간이 안되 보였을까. 매미들의 울음에 대해 말을 꺼낸다.

매미가 인간들에게 울며 울음의 본보기를 보여준다. 말해야 할 때 말 못하고 울어야 할 때 울지 못하고 울음을 참다 종국에는 우는 것조차 잊어버린 건 아닐까. 이 시를 읽다보면 신경계가 고장나 본능을 잃어버린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장마 가고 나면 매미가 여기저기서 울어대겠지. 여름 한 철을 살기위해 참고 기다렸던 시간만큼 숨이 끊어져라 울어대겠지. 삶의 바닥까지 가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정재는 카리스마있고 

하정우는 멋지며

전지현은 여전히 예쁘고 액션은 스펙타클했다.

 

열대야에 잠 설치고 남편이랑 떼꾼한 눈으로 아침 일찍 조조영화를 보았다.

영화는 역시 조조다. 좀 부지런 떨면 하루 시간중 영화본 시간은 꼭 덤같다.

 

영화를 검색할 땐 좀 망설였다.

1933년 임시정부 독립군들의 활약상을 다룬 영화라서 무겁고 어둡지않나 싶었다.

그러나 우려했던 것보다 의외로 볼만했다.

 

일제탄압에 항거하며 조국을 위해 독립군으로 지하조직에서 몸을 사리지 않았던 인물들,

손바닥 뒤집듯 쉽게 변질된 인간의 모순과 이중성을 엿볼 수 있다. 

 

이 영화에서 또 다른 재미는 오달수의 연기다.

친한 사람에게 썰을 까거나 애드립 치는 것 같은 능청스러움이 빛을 발한다.

명품조연 맞다. 역시 오달수는 약방의 감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15-08-09 09: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조영화, 좋지요
이 영화, 어서 봐야겠어요. 아직 시간 노리고 있는중입니다ㅎㅎ

데이지 2015-08-09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갑습니다.
저는 조조를 혼자 보는데 휴가라서 남편이랑 봤습니다.
 

지금 여름숲엔 누리장나무꽃 한창이다.
상수리나무는 상수리 열매에 힘을 쓰고
비탈길 나리꽃은 고개 꺽은지 오래

초록은 지치다못해 풋내를 털어내는데
누리장나무는 때를 놓칠세라 가지마다
꽃등을 환히 밝혀 놓았다.

숲길마다 은은한 향기 번지고
우산 펴 든  버섯들

비오는 날의 산책은 일상너머의 설렘처럼
오솔길의 누리장나무꽃은 행운이다.

수수하지만 여름숲의 귀한 꽃
이 꽃이 피었다 지면
무더운 여름도 꼬리내리고 상수리처럼
열매 달고 가을을 준비하겠지.

살아가다 이런 날 하루는
게으른 소걸음이어도 그만이고
에움길로 들어서 조금 돌아가도 좋지.

비오는 날 여름숲엔 누리장나무꽃 한창이다.^^
그 향기 그리우면 여름숲에 가 볼일이다.
 

살아가다 이런 날 하루는
게으른 소걸음이어도 그만이고
에움길로 들어서 조금 돌아가도 좋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일요일에 내게 들리는 종소리는 공기가 팽팽하게 잡아당긴 선율이었고 솔잎을 비롯한 숲 나무들의 모든 잎과 주고받은 선율이었다.  또한 자연의 힘이 취해 조절한 후,계곡에서 계곡으로 메아리처럼 울리는 소리의 한 부분이었다. 메아리는 어느 정도까지는 본래의 소리다."(171쪽)

나는 가능하면 많은 시간을 혼자 지내는 것이 건강에 좋다고 생각한다. 누군가와 함께 있자면  곧 지루해지고 시간도 헛되이 보내기 마련이다. 상대방이 세상에서 가장 착한 사람일지라도 마찬가지다. 나는 혼자 있는 걸 좋아한다. 나는 고독만큼이나 편안한 친구를 만난 적이 없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방에서 혼자 지낼 때보다 밖에 나가 사람들 사이에 있을 때 더 외롭다. 생각하거나 일하는 사람은 언제나 혼자다."(189쪽)

 책 <월든. 현대문학>은 소로가 1845년부터 2년간 이 호수 북쪽에 기거하면서 쓴 책이다. 소로는 거기서 손수 집을 집고 밭을 일궈 자급자족하며 살았다. ​그 오두막집 앞에는 이러한 글귀가 씌어 있다고 한다.


"나는 숲에 간다. 삶의 가장 본질적인 것들만을 대면해 보고 싶기 때문이다."

 

주말이다. 주 중에 앞만 보고 열심히 산 사람들에겐 황금 같은 시간이다. 오래전 카드회사인가 하는 광고 카피에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라는 문구가 유행했다.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더러는 여행을 떠나고 또 더러는 나름 근사한 계획을 세우는 이도 있겠다.

 

주말 오전에 소로의 글을 읽으며 본질적인 것과 대면하는 것은 뭘까. 그에 따른 방편은 있을까. 혼자 궁리하다 짧아도 좋으니 나만을 위한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 고독과 외로움속에 나를 방치해 보자. 묵상이 가능한가 보게.

 

고독과 외로움, 그것은 혼자 일때 느낄 수 있는 감정이다. 문학평론가 정여울도 이 책을 읽으며 처음으로 자신이<혼자있음>을 잘 견디지 못하는 인간임을 알았다고 고백한다.

 

 단 하루도 자유롭지 못한 관계라는 그물코에서 벗어나 온전히 나를 위한 외로움과 고독에 빠져보는 것이다. 그럼 내면의 나가 생활인의 내게 무슨 소리인가를 들려줄지 모른다. 비단 나만의 생각일지 모르지만.

 

지금까지 진지하게 그런 시간을 가져본 적이 없다.  식구들, 가족들, 주변인들, 속에 섞였을 뿐이다.  릴케의 일화가 떠오른다. 어느날 한 청년이 자작시 한 편을 들고 시인 릴케를  찾아간다. 청년은 시인에게 시를 보여주며 자신이 시인이 될 수 있는지를 묻는다.

 

릴케는 청년에게 이런 답을 주었다. "당신은 밖을 쳐다보고 있습니다. 그것은 당신이 지금 하지 말아야 할 일들입니다. 그 어느 누구도 당신을 충고하거나 도와줄 수 없습니다. 당신 안으로 들어가십시오."

 

고독한 묵상의 시간을 가지라는 얘기다.  소란 속에서는 내면의 소리를 들을 수 없으니 고요해질 수도 침잠할 수도 없는 일이다. 홀가분한 주말 우리에서 벗어나 '나'만의 시간을 틈내 보는 건 어떨까!

 

"나는 숲에 간다. 삶의 가장 본질적인 것들만을 대면해 보고 싶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