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혼자가 아니에요>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당신은 혼자가 아니에요 - 가정용 곤충에 관한 은밀한 에세이 ㅣ 1881 함께 읽는 교양 9
조슈아 아바바넬.제프 스위머 지음, 유자화 옮김 / 함께읽는책 / 2011년 2월
평점 :
0.
우습겠지만 이것은 벌레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저자가 이 책의 존재를 '생물학'이라는 분야의 서가로부터 격리시켰을 때, '벌레'라는 것은 결코 그 즉물적인 형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그것은 하나의 '상상물'로 우리에게 '개입'한다. 가정용 곤충이라는 '은밀한' 에세이의 형식으로.
1.
군 생활을 철원에서 한 필자는, 이 책의 내용이 '다정다감'하게 들려오기도 한다. 그 곳에서 내가 본 가장 아름다운 풍경은, 아마 이맘때쯤이었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막사 밖 구석탱이에서 한창 고참들에게 갈굼을 당하면서 바라보았던 '집게벌레의 비행'이다. 그 '풍경'을 바라보지 않았다면, 당신은 나와 곤충에 대해 이야기할 권리가 없다.(ㅋㅋ) 주황색 날개를 푸드덕거리며 1~2미터 가량을 비행하는 녀석들의 징그러움이란.(흐뭇) 게다가 녀석들은 내 머리 속이나 은밀한 부위까지 침투하며, 간혹 아침에 침낭 속에서 일어나다가 필자가 온몸으로 애무한 녀석들의 '잔해'를 발견하기도 했다. 여튼 필자가 이야기하고픈 것은 하나이다. 그들(곤충 혹은 해충)이 우리들 '곁'에 있지 않다는 믿음이란, 마치 '그렇지 않기를 바라는'(즉 벌레로부터의 '자유'를 갈망하는) 인간의 생존욕구, 그것의 발현일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하지만, 군대같은 곳에선 그 욕구의 발현이라는게 좀 '무디게' 나타나는데, 확실히 그 곳에선 벌레와 해충 말고도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여하건 이 책에는, 당신이 '별로 알고싶어하지 않는' 진실들(곤충들)에 대한 비교적 상세한 주석들이 실려 있다. 다만, 한국적 생활양식과는 좀 동떨어진 관계로, 빈대나 흡혈진드기 같은 '서양식' 식사습관을 가진 녀석들도 나오니 참조할 것.(물론 이건 필자의 사견이다. 서울 바닥에 빈대로 넘쳐나는 집이 있을지 누가 알겠는가?!)
2.
다만 이 책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필자는 약간의 의문점이 드는데, 대체 저자가 이토록 친절하게 이들에 대한 정보 - 그들의 삶부터, 좋아하는(싫어하는) 음식, 생식, (약간 애매한)퇴치법에 이르기까지 - 를 이야기해주는 것은 어떤 '의도'를 가지는 걸까, 하는 것이 그것이다. 요컨대 저자는 우리들이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앞으로도 혼자가 아닐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저자는 그들을 '피하는' 방법 또한 알려주며, 단순히 '공존'이라는 지루한 모티브로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적당히 피하면서 살아라, 하는 것처럼 들리는데, 이 또한 '종교적인' 색체를 떠나 '지혜'를 가지라는 오묘한 말로 마무리된다.
여하건 우리들은 곤충들을 '확대'해서 바라보면서, 저자의 말처럼 그들을 하나의 '에어리언' 처럼 생각할는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이것은 꽤 중요한 문제이다. SF영화를 비롯한 모든 '상상적' 생산에서 우리들이 너무도 '자연스럽게' 취하고 있는 '어떤 것'이란, 결국 이러한 존재(혹은 주체)의 절대적 태도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뻔한 얘기로 설명하자면, 우리 또한 '외계인'일 뿐이라는 것. 그러므로 우리가 이러한 '생명 에세이', 혹은 우리들이 가진 외계인이라는 외적 존재를 인식함에 있어 잊지 말아야 할 하나의 '코드'란,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우주적'인 생명의 관점이다.
3.
이 책이 필자의 생활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아직 두고 봐야겠다. 실제로 '개미군단'을 방으로 맞이한 작년 여름의 '전투'에서, 필자의 전략은 육탄공격(!)이었다. 그들은 조직적으로 필자의 '시간'을 공략했다. 게다가 체격이 큰 인간은 동시에 에너지소모가 크고, 그들은 수적 우위까지 점하고 있지 않은가. 결국 필자의 전략은 모든 공격으로 그들을 초토화하여 '단시간'에 전투를 끝내는 것이었다. 책에서 설명하는 그들의 '성질' - 몇몇을 살해해서는 결코 해결되지 않는 - 을 깡그리 무시한 필자의 무대포 공격은, 단 두시간 만에 무릎을 꿇었고, 개미군단이 점점 더 밀려오는 좌중을 바라보며 결국 한숨짓고 말았다.
어쨋든 중요한 것은, 그들이 인간과 '함께' 공존할 수 없다는 사실만은 아니다. 그들은 단순히 저능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활터전을 침범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들이 '다만 그래야 하기 때문인' 것이다. 인간이 콘크리트와 시멘트로 온 세상을 칠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4.
또 한 번 말하지만, 이것은 벌레에 관한 책이 아니다. 이것은 오히려 '인간이라는 벌레'에 관한 책이다. 카프카의 변신으로도 느끼기에 부족했던, 그리하여 아직도 부조리로 남아있는 인간의 '복수적 현실'에 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