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림
하 진 지음, 김연수 옮김 / 시공사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둥마이가 좀 더 강했으면, 힘든 시기에 기댈 수 있는 그런 남자였으면 하고 그녀는 생각했다. 삶이란 늘 예기치 않게 터지는 불행의 연속이니까. 38-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둠 속의 희망 - 절망의 시대에 변화를 꿈꾸는 법, 개정판
리베카 솔닛 지음, 설준규 옮김 / 창비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낙원은 도착지가 아니라 그곳을 향해 가는 여정 속에 있다. 때로 승리가 일시적이거나 불완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도대체 어떤 종류의 인간이 낙원을 견디고 살아 남을 수 있을까? 산업화된 세계는 호사와 한적함, 관능미를 갖추고, 막다른 골목과 케이블 TV, 차 두대가 들어가는 널찍한 차고 등이 있는 교외의 저택을 통해 낙원을 흉내내려 애써왔지만, 결과는 차츰 절망과 영혼의 쇠약함으로 이어지는 나른한 권태였고, 낙원이 이미 강제수용소가 돼버렸음을 보여줬다. 수없이 많은 십대들이 그렇게 말할 것이다. 왜냐하면 낙원은 우리에게 용기와 이타심, 창의성과 열정을 요구하지 않았으니까. 이야기에 나오는 낙원은 전부 수동적이고 정태적이며, 유심히 읽어보는 영혼은 없으니까. 196-197



- P1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얀 반 에이크가 등장하는 1420년대에서 1430년대에 북유럽에서 그려진 그림들을 아르스 노바Ars nova, 즉 ‘새로운 미술‘이라 하는 거겠지요. 도시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새로운 소비 문화가 만들어졌고, 상인과 장인 등 제3신분이 등장해 시민사회가 형성되었죠. 이 같은 일련의 변화는 ‘새롭고 정확한 미술‘이 나오는 데 중요한 시대 배경이 되었습니다. 

이 시기의 북유럽 미술을 설명하려면 정확하다는 표현을 반드시 써야만 해요. 북유럽에 새로이 등장한 정확한 미술을 이해하기 위해 이번에는 새로운 시각 매체의 등장에 주목해보려 합니다. 당시의 혁신은 미술 재료와 기법의 변화와도 깊이 맞물려 있거든요. 미술 재료와 이에 따른 제작 방식의 변화가 새로운 그림의 등장을 앞당기는 중요한 물리적 조건이었다는 겁니다. 243

- P2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덤의 수난사 - 죽어서도 편히 잠들지 못한 유명한 위인들
베스 러브조이 지음, 장호연 옮김 / 뮤진트리 / 2015년 9월
평점 :
품절


그들은 채플린의 관을 묻어놓은 곳으로 경찰을 데려갔다. 묘지에서 24킬로미터가량 떨어진 옥수수밭이었다. 경찰이 관을 판 뒤에 밭 주인은 나무 십자가로 그곳을 표시했고 ‘작은 떠돌이‘에 대한 존경의 의미로 지팡이 하나를 걸쳐놓았다. 우나는 그곳이 채플린의 원래 무덤보다 훨씬 사랑스럽다면서 종종 찾아갔다. 1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값의 비밀 - 양정무 교수의 상업주의 미술 이야기
양정무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물론 미술 속에는 사회 변화에 민감히 반응하는 성질이 있다. 미술사학자들은 이것을 찾아내고 밝히는 사람들이다. 어떤 연구자들은 이것을 양식에서 찾으려 하고, 어떤 연구자들은 이를 내용이나 의미 속에서 찾는다. 이제 우리는 여기에 자본을 추가해야 할 것 같다. 미술에서 자본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다시 말해 미술 창작의 물리적 기반이 어떠했는지를 알아보는 것도 미술의 양식이나 의미를 밝혀내는 것만큼 한 시대의 미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말할 수 있다. 즉 미술이 주문되고 거래되는 방식을 먼저 살펴보지 않고 작품의 의미나 양식을 말하는 것은 자칫 공허한 ‘해석을 위한 해석‘으로 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23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