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레오 리오니라는 작가가 쓴 “프레드릭”이란 동화책을 읽어보셨나요?

그 책을 보면, 정말로 깜찍한 쥐 한 마리가  등장합니다.

다른 쥐들이 열심히 일을 해서 먹이를 모으는 등 부지런히 겨울채비를 할 때 주인공 프레드릭은 겨울채비와는 상관없어 보이는 햇살 모으기, 이야기 모으기, 색깔 모으기를 하고 있습니다. 마치 어린시절 읽었던 ‘개미와 베짱이’의 베짱이처럼 말이지요. 하지만, 추운 겨울이 되고 먹을 것이 동이 났을 때 프레드릭은 다른 쥐들에게 자신이 모았던 따뜻한 햇살을 느끼게 해주었고, 재미난 이야기를 들려주었으며 온갖 색깔들을 말해주어 지루하고 긴긴 겨울을 무사히 보낼 수 있도록 도와준답니다.




춥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가볍게 옷을 입기엔 아직 이른 요즘 같은 때에는 숲에 가도 아주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는 한 생명을 느끼기엔 조금은 무리가 있지요. 하지만 전 충분히 봄을 느끼고 있답니다. 따뜻한 햇살 때문이냐구요? 아니요! 저도 작년 봄에 프레드릭처럼 열심히 모아둔 것이 있답니다.




작년 이맘때쯤... 지리산 화엄계곡엔 노오란 복수초가 한창이었습니다.

아침엔 꽃잎을 잔뜩 웅크리고 모으고 있다가 햇볕이 점점 따뜻해지는 오후가 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 그 노오란 꽃잎을 활짝 열고 곤충을 유혹하던 복수초! 아무리 낮이라도 흐린 날엔 절대 꽃잎을 열지 않는 고집! 그 복수초를 거의 보름동안 마음으로, 눈으로, 카메라로 모으고 또 모았더랬지요.




그리곤 한참을 잊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요며칠 봄샘추위를 겪고 나니 다시 그 복수초가 생각나더란 말입니다. ‘꽃잎을 열었을까?’를 궁금해 하며 매일매일을 열심히 들여다보게 만들던 녀석들... 노오란 그 꽃잎들이 가슴에 박혀 작년 봄 그 춥디 추운 지리산 화엄계곡에서 따뜻하게 지낼 수 있게 만들어 주었던 녀석들... 생각만으로도 마음을 훈훈하게 하던 그 녀석들이 봄이 오는 소리에 또 생각이 나더란 말입니다.




제가 사는 남쪽엔 벌써 산수유 꽃망울이 열리고, 매화가 꽃을 필 준비를 하고, 계곡에선 산개구리알을 볼 수 있습니다. 대전의 봄소식은 어떤지요? 제가 젤루 좋아하던 식장산의 봄소식이 오늘은 왠지 궁금합니다. 프레드릭처럼 식장산에 가서 봄을 모아 제게 전해주실 분 안계신가요?

 

-대전충남생명의숲 2006. 5월 소식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란빛 고운 털머위를 찾아서...




지난주 여수 오동도에 다녀왔습니다.

오동도는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 보호되는 곳으로 동백꽃으로 아주 유명한 곳입니다. 동백꽃 아시죠? 추운 겨울철에 정열적인 빨강의 꽃을 피우는 조매화, 동백꽃을요! 지금 오동도는 그 정열의 붉은 꽃을 취하도록 볼 순 없지만, 막 피려고 하는 수많은 동백꽃몽우리와 함께 노란빛 고운 털머위를 만나실 수 있답니다.

남부지방 바닷가 근처에서는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털머위지만, 중부지방에서는 일부러 관상용로 심지 않는 한 흔히 볼 수 있는 야생화는 아니랍니다.




이제부터 털머위에 대해 제가 소개해 드릴게요.

우선, 털머위라는 이름은 그리 낯선 이름은 아닐 겁니다. 왜냐하면 우린 ‘머위’라는 식물을 알고 있으니까요. 봄에 산과 들에 가면 습한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래서 집 근처에도 심어서 그 둥글넓적한 잎을 삶아 쌈나물로 먹기도 하고, 잎자루로 나물을 만들어 먹기도 하는 머위는 여러분께서도 많이 친숙하실 겁니다.




그런데 털머위는 바로 이 친숙한 머위와 잎이 닮았지만, 잎 뒷면에 털이 있다하여 털머위가 되었답니다. 그리고 머위와는 달리 산과 들보다는 바닷가 근처에서 자라는 늘 푸른 여러해살이풀이지요. 그리고 형태적으로 보면 머위는 겨울에 잎이 지지만 털머위는 잎에 광택이 있고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으며, 꽃의 형태도 다르답니다. 머위의 꽃과 잎, 털머위의 꽃과 잎은 사진으로 확인해 보시구요~!




털머위도 어린 잎자루를 머위처럼 나물로 먹기도 하고, 뿌리를 포함해서 모든 부분을 약으로 씁니다. 특히 목이 붓고 아픈데, 임파선염, 설사, 풍열로 인한 감기와 인후염에 효력이 크다고 하며 종기, 타박상에 생으로 짓찧어서 바르기도 한다는 군요.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이란 책을 보면 민간에서는 물고기독을 푼다고 하여 잎을 달여서 먹기도 한다고 합니다.




조금은 멀게 느껴지는 여행이 되실 지도 모르겠지만, 여수 오동도에 오시면 막 피어나는 붉은 동백꽃송이가 여러분을 반기겠지요? 더불어 예쁜 동박새의 맑고 청명한 울음소리에 귀가 취할 때쯤이면 노란빛 고운 털머위에 여러분의 두 눈이 콕콕 박혀 즐거운 숲 여행을 떠나실 수 있을 겁니다.

 

- 대전충남생명의숲 11월 소식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마워라, 고마리!




#1 외양간 앞

  “우리 누렁이 먹을 쇠죽을 끓여줘야 겠구나. 어디보자, 이 꼴(풀)을 솥에 넣고……. 어이쿠, 근데 꼴에 ‘고만이’가 섞여 있네? 얼른 골라내야 겠군.”




#2 동네 이장님 방송

  “아아, 알려드립니다. 새마을 운동의 일환으로 오늘부터 우리 마을에서 잡초제거 작업이 있겠습니다. 논두렁과 냇가 부근의 ‘고만이’를 집중적으로 제거할 예정이오니 한분도 빠짐없이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축사 밑의 냇가

  “A축사 밑의 냇가에 ‘고마리’가 군락을 이루고 있습니다. 신기하게도 다른 축사 밑의 냇가보다 이곳의 물은 눈으로 보아도 깨끗하다고 느낄 정도입니다. 바로 고마리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이 고마리가 갈대, 물옥잠처럼 수질정화식물이라고 합니다……. 생명의숲 윤기자였습니다.




  어린시절 시골에서 자란 기억이 있는 분이라면, 저처럼 시골과 가까운 곳에 사는 분이라면 지금도 흔하게 볼 수 있는 식물이 있습니다. 바로 “고마리”라고 불리는 식물입니다. 시골에서는 ‘고만이’라는 이름으로 더 친숙한 식물이지요.




  고마리는 전국에 걸쳐 도랑이나 산지의 물가에 무리를 이루며 30~100cm 정도까지 자라는 한해살이 식물입니다. 잎은 서로 어긋나며 줄기에는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습니다. 연분홍, 흰색 등의 꽃은 8~10월에 줄기의 끝에서 여러 송이가 모여 피는데 꽃잎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꽃잎처럼 보이는 부분은 실은 꽃받침이지요. 도랑에 무리를 지어 피어있는 고마리를 보면 우리가 부르는 영락없는 잡초입니다. 그만큼 흔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꽃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앙증맞고 작은 꽃이 어찌나 귀엽고 사랑스러운 꽃인지, 또 얼마나 고마운 꽃인지 금방 느끼실 수 있습니다.

  

  장면 1을 다시 살펴볼까요? 농부아저씨가 쇠죽을 끓이면서 고마리를 골라내는 모습……. 네. 농부아저씨의 말처럼 쇠죽에 고마리가 섞여 들어가면 쇠죽이 묽어져버리기 때문에 소 키우는 농부들은 고마리를 아주 싫어했다고 합니다. 




  장면 2에서는 동네 이장님께서 냇가의 잡초 특히 고마리를 집중 제거할 거라는 방송을 하시는군요. 시골에서는 ‘고마리’보다 ‘고만이’라는 이름이 더 친숙한 까닭도 이 식물의 줄기와 뿌리 뻗음이 좋아 너무 잘 퍼지기 때문에 이제 고만 자라서 그 정도로만 머물러 있으라는 의미로 ‘고만이풀’이라 부르게 되었기 때문이라지요?




  장면 3은 축사 밑에서 고마리 때문에 냇가 물이 깨끗해 보인다는 기자의 말입니다. 기자의 말처럼 고마리는 수질환경 개선에 일등공신 역할을 하는 식물입니다. 납이나 카드륨과 같은 중금속을 흡착하여 제거하고 오염된 물에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여 물을 깨끗하게 하는 것인데요, 200여 평의 고마리 군락지가 있으면 가축 50여 마리의 배설물을 정화할 수 있을 만큼  수질정화능력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깨끗한 물에서 자라는 고마리의 어린잎과 연한 줄기를 이른 봄에 뜯어 나물과 국거리로 이용하기도 하였고, 민간에서는 지혈제, 요통, 소화불량, 시력회복 등의 약제로도 활용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고마리의 참모습은 수질을 깨끗하게 하는 환경지킴이의 역할에서 찾을 수 있겠지요. 신경 써서 특별히 심지 않아도 생활하수, 축산폐수 등으로 오염되고 약간은 지저분한 곳에 저절로 자라며 우리의 환경을 지켜주니 얼마나 고마운 식물입니까? 냇가나 산지의 물가에서 자라는 고마리를 보며 한번 외쳐볼까요?

  “고마워, 고마리~”라고요!

 

-대전충남생명의숲 2005. 10월 소식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의 특산식물, 벌개미취!




  가을!

  코끝을 스치는 선선한 바람이 불고, 그 바람가운데에는 들의 곡식과 각종 열매가 잘 익으라는 보살핌의 따가운 햇살이 내리쬐는 가을입니다. 이런 가을이 오면 여러분들은 어떤 꽃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혹시  가을하면 흔하게 볼 수 있는 꽃이 무엇인지는 알고 계시나요?

  하늘하늘 바람에 가느다란 허리를 맡기며 고운 얼굴로 웃는 코스모스가 생각나는 분들도 있을 거구요, 쑥부쟁이니 구절초니 하는 국화과 식구들을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자, 이번 달 만날 야생화는 저 멀리 멕시코가 원산인 코스모스는 아니구요, 가을에 흔한 국화과 식물이지만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인 벌개미취입니다.




  우선, 벌개미취의 생김부터 살펴보지요. 벌개미취의 꽃은 6~10월에 피는데 국화과 꽃의 대부분이 그렇듯이 가운데 노란 꽃밥이 있고, 주위에 연보랏빛 꽃잎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들은 꽃밥과 꽃잎이 아니라 하나하나가 모두 꽃이랍니다. 못 믿으시겠다면 국화과 식물을 한번 자세히 들여다보세요. 꽃밥으로 보였던 그 노란색 하나하나가 모두 꽃이라는 게 확인되시죠? 잎을 한번 볼까요? 길쭉한 모양의 잎은 줄기에 어긋나 달리는데, 단단하고 양끝이 뾰족합니다. 전체적인 키는 50~80cm 정도로 자라며 햇빛이 잘 들고 습기가 충분한 계곡 주변으로 배수가 잘 되고 영양분이 풍부한 사질 양토에서 잘 자란답니다. 그러나 워낙 생명력이 강한 식물이라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데, 억척같은 삶을 일구신 우리네 할머니의 모습과도 닮았답니다.




  벌개미취의 학명은 Aster Koraiensis로 속명인 Aster는 희랍어 ‘별’에서 유래된 것으로 별처럼 생긴 꽃 모양이란 뜻이라고 하고, 종명의 Koraiensis는 ‘한국산’이란 뜻입니다. 학명에서 잘 나타나듯이 벌개미취는 다른 나라에는 없고 우리나라에만 있는 한국 특산식물이며 북한에서는 별모양의 뜻을 담아 “별개미취”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 우리가 부르는 벌개미취는 벌개미취와 닮았지만 꽃이 더 작고 숫자도 많은 개미취에   벌판, 들판을 뜻하는 ‘벌’이 합쳐져 ‘벌개미취’가 된 것이랍니다. 




  어린잎은 나물로도 먹으며 요즘은 각 곳의 원예농가에서 화훼용으로 활발히 재배되어 길가에 많이 심어 도심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벌개미취.

  9월에는 가을바람을 닮은 벌개미취의 고운 연보랏빛을 따라 숲 속 여행을 떠나보시는 겁니다!

 

-대전충남생명의숲 9월호 소식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이냄새 폴폴~ 오이풀!

  하루에도 몇 차례씩 소나기가 내리더니 오늘은 가마솥 더위가 기승을 부립니다. 이렇게 더운 날엔 식사를 준비하는 것도 또 더운 음식을 먹는 것도 곤욕스러워 자꾸만 시원한 것을 찾게 되지요. 그래서 요즘 제가 즐겨하는, 즐겨먹는 음식이 바로 오이입니다. 가늘게 채를 썬 오이를 미역과 함께 얼음을 띄워 넣은 냉국을 해먹기도 하구요, 여러 가지 과일과 함께 오이샐러드를 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오이요리를 준비할 때면 그 풋풋하고 시원한 냄새에 또 한번 더위가 가시는 듯 하거든요.

  숲에서도 이처럼 시원하고 풋풋한 오이냄새가 나는 풀이 있습니다. 냄새도 우리가 즐겨먹는 오이냄새와 똑같아 이름도 오이풀이라고 하지요. 야생화나 나무를 공부하다보면 오이풀처럼 그 냄새 때문에 이름 붙여진 것들이 제법 있습니다. 생강냄새가 난다하여 생강나무, 누린내가 난다하여 누리장나무, 오줌냄새가 나서 노루오줌 등 재미난 이름이 붙은 것들이 많이 있지요. 가끔 나무 이름, 풀 이름에 대해 너무 어렵게만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알고 보면 식물의 이름은 냄새면 냄새, 모양이면 모양, 쓰임새면 쓰임새 등 그 식물의 특성에 맞게 이름 지어진 것이므로 특성만 잘 관찰해도 이름을 알아맞히기는 식은 죽 먹기랍니다. 자, 다시 오이풀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오이풀은 산과 들의 풀밭에서 자라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오이냄새가 나는 잎은 어긋나며 7~9월이 되면 가지 끝마다 길죽한 원기둥모양으로 검붉은색의 꽃 이삭이 달립니다. 특이한 점은 대개의 꽃들이 아래서부터 위로 피어 올라가지만 오이풀은 반대로 위에서부터 피는 것이 특징입니다. 
 

 오이풀도 우리가 먹는 오이처럼 먹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잎에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무기질이 고루 들어있으며, 칼슘, 철, 구리, 아연 등의 미량 원소도 많이 들어있어 봄철 새로 돋아난 부드러운 잎을 나물로 무쳐 먹거나 생즙을 내어 먹습니다. 또한 화상과 설사, 지혈에도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오이풀의 잎이나 뿌리줄기를 짓찧어 화상 입은 곳에 붙이면 신통하다 싶을 만큼 잘 낫고, 지난달 만났던 짚신나물처럼 지혈작용이 강하여 갖가지 출혈에 피를 멎게 하는데도 많이 쓰인다고 합니다.

  지금 지리산 노고단에는 오이풀의 형제인 산오이풀이 한창이라고 합니다. 오이풀처럼 오이냄새가 나지만, 높은 산의 중턱이상에서 자라기 때문에 ‘산’이 붙어 산오이풀이지요. 자, 이번달은 풋풋하고 시원한 오이풀의 향기를 찾아 숲으로 떠나보는 건 어떨까요? 그렇다고 냄새를 맡겠다고 잎을 전부 뜯으시는 건  곤란하시구요!

 -대전충남생명의숲 소식지 8월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