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측 증인]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변호 측 증인
고이즈미 기미코 지음, 권영주 옮김 / 검은숲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소설을 읽다보면 두 가지로 진행되는 분위기를 자주 파악하게 된다. 범인이 누군지 밝혀놓고 시작하는 이야기와, 반대로 아무것도 드러내지 않고 점점 사건을 해결해가고 범위를 좁혀가면서 마지막에 그 범인의 실체를 드러내어주는 이야기가 있다.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더라도 결론은 나온다. 범인도 밝혀진다. 그리고 독자인 우리는 즐거움을 느끼면 된다. 또한 추리소설을 읽고 싶어 하는 독자들은 추리 소설을 읽을 때 흔히 스포일러라고 말하는 것들을 피해가고 싶은 순간도 있다. “절름발이가 범인이다!”라고 외치던 어느 영화의 관객을 죽이고 싶을 정도로 미워했다던 사람도 있는 걸 보면, 이런 분야를 접하면서 절대적으로 피해가고 싶은 것이 바로 스포일러일 것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나는 굳이 그걸 피해가고 싶지는 않았다. 뭐랄까, 알면서 봐도 재미있는 소설이 있고, 모르고 봤음에도 ‘뻔하다.’라는 생각에 그 흥분마저 느끼지 못하게 만드는 소설들도 있다고 생각하면서 스포일러의 유무는 책을 읽는 재미에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그저 이야기로의 재미가 충분하다면 스포일러쯤이야 알고 봐도 좋다는 주의다.

그런데 이 리뷰를 쓰고 있는 지금 만큼은, 혹시라도 아직 이 책을 읽지 않은 독자를 위하여 그 스포일러를 완전히(?) 배제하고 이 책의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그러다 보니 많이 답답하다.) 모든 독자가 나처럼 스포일러를 아무렇지도 않게 만나고 싶지는 않을 테니까 말이다. 그리고 약간은 뜻밖의 마무리에 조금 놀랐다. (솔직히 많이 놀랐지만 안 그런 척 하고 싶다. 독자로서 일종의 어설픈 고정관념 같은 것을 가지고 책을 대했다는 점에서 나 혼자 괜히 자존심이 상한다.)

교도소 내의 면회실 철망을 사이에 두고 앉아있는 부부. 철망을 사이에 두고 부부는 입맞춤을 한다. 한 명은 철망 안쪽에 다른 한 명은 철망 바깥쪽에서. 한 명은 이미 살인사건으로 사형선고를 받은 상태이고, 그 누구도 이해 못할 짓이라고 하겠지만 다른 한명만은 희망을 놓지 않겠다고 말한다. 결정적인 증거가 발견되었으니 이제 다 괜찮다고, 사건을 번복할 수 있는 희망이 생겼다고. 그때부터 사건은 다시 시작한다. 어렵게 붙잡은 그 희망을 결코 놓을 수 없었기에.
스트립댄서 미미는 재벌가의 방탕한 외아들과 사랑에 빠지고 초스피드로 결혼을 한다. 물론 시아버지나 시누이 될 상대는 그들의 결혼을 반대하는 것은 물론이고 미미를 그저 돈이나 뜯어낼 목적으로 들어온 사람 취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미는 그 집 안에서 행복할 거라고 생각하지만 그것도 그리 오래 가지는 못한다. 행복할 것만 같았던 미미의 신혼생활은 결혼 몇 달 후 시아버지가 그 집안에서 살해당하던 날 끝이 난다. 결혼을 반대했던 시아버지에게 미미의 남편은 폭언을 하고, 그런 남편이 용의자로 몰릴 것이라 생각했던 미미는 경찰 조사에서 위증을 한다. 그래, 미미는 남편을 사. 랑. 해. 서. 위증을 한 거다. 그렇게 위증을 했는데도 진짜 범인은 제대로 밝혀졌을까? 범인은 정말 누구인가?

여기까지 이야기를 듣다 보면, 위증을 한 미미가 어떻게 되었나 하는 것과 범인이 남편인가 아닌가 하는 궁금증이 동시에 생긴다. 그리고 왜, 무슨 이유로 미미의 시아버지는 살해되었나 하는 것도. 물론 범인이 밝혀지면 살해된 원인도 같이 나오니 그것까지는 애써 궁금해 할 필요가 없다. 더군다나 이 책의 분위기로 보면 살해의 이유가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다. 그저 ‘범인은 누구인가?’ 하는 것과 이미 읽어본 독자들이 말하는 이 글의 짜임새가 궁금해질 뿐이다.


독특하게 독자를 우롱한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은 내가 느낀, 이 책에 대해 처음 떠올린 단어다. 내가 많이 읽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나름 추리소설을 즐기는 독자인데, 이제까지 이런 생각으로 책을 읽어본 적은 없었던 것 같다. 나는 그저 이 책을 이야기로 즐기고 반전이 나오면 ‘와아~’하고 좀 놀라주고, 스토리가 탄탄하면 작가에 대한 칭찬을 좀 해주고, 범인이 잡히면 왜 그런 죄를 저질러야만 했는지를 찾아내려고만 애썼던 것 같다. 그대로 정석적이고 기존에 내가 고수해왔던 독자의 자세를 취하려고만 했던 건가 보다. 그래서 300페이지도 안 되는 분량의 이 책을 읽어가면서 가장 큰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도 몰랐던 것이었나? 마지막에 다다라서 범인을 발견한 순간(다 읽고 나서 생각해보면 범인은 의외로 쉽게 추리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나는 이 책을 시작도 하기 전에 내 마음대로 정해놓은 방식대로 이야기를 접했던 것이었다. 분명 그렇게 하라고 한 것도 아닌데, 왜 기존의 틀에서만 맞추어서 그 눈으로 책을 읽었는지 모르겠다. 총 11장으로 구성된 이 책을 마지막까지 다 읽고 나서는 결국 저절로 다시 1장으로 돌아가게 된다. 다시 확인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그만큼 작가가 만들어낸 트릭에 나는 속았다. 나는 그만큼 추리소설을 대하는 독자의 자세를 버렸던 것이다. 시선을 놓지 말고 처음부터 끝까지 긴장하면서 읽어야 했던 것을, 처음부터 긴장과 예리한 눈초리를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에잇~! 화가 나~!

정신과적인 질병 중에서 ‘사람은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병’이 있다고 한다. 흔히 ‘그럴 수’도 있는 사람의 성격중의 하나로 보기 쉬운데 그 정도에 따라서는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라고 했다. 인간이 가지는, 질병으로까지 보기 모호한 그 정도에서 보면 이 책의 작가는 작가가 만들어낸 그 트릭에 그러한 성향을 가진 독자들을 끌어들이는데 성공한 셈이다. 독자가 이미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면서 이야기를 진행시키고 있던 사이에 그 트릭 안에서 헤매는 것을 뻔히 보고도 모른척하고 놀게 내버려두다가, 결국은 마지막에 가서야 ‘너 속은 것도 몰랐지?’라고 놀려주고 있다. 괘씸하기도 하지만, 독자의 입장에서 보면 그러한 작가에게 고마워해야 한다. 읽는 재미를 충분히 즐기게 해주고 있으니까 말이다. 특히나 마지막에 등장하는 바로 그 ‘변호측 증인’의 보는 순간은 이야기의 정점을 찍는다. 그저, 정말 뜻밖이어서 놀라울 뿐이다. ‘당신이 증인이었어?’

나오키 상 수상작가인 미치오 슈스케는 “그 누구와도 공유하고 싶은 않은 전설의 걸작”이라고 했다. 그만큼 그 당시에 태어난 이 작품을 보면서 충격이었나 보다. 1960년대에 이 책이 처음 나와서 지금 6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60여 년 전에 써진 이 작품을 지금 만나는 독자의 눈으로 보면 자칫 촌스러움을 느낄 법도 한데, 전혀 그렇지 않다. 오히려 요즘 무분별하게 ‘나는 추리소설이다.’하고 쏟아져 나오는 많은 책들보다 충분히 월등하다. 읽어가는 재미는 충분할 듯하다. 단~! 어떤 책을 보더라도 마찬가지겠지만, 지나친 기대감은 금물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진 2011-12-04 2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애거서 크리스티의 소설들의 스포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놀라울 정도로 많지요...
특히 오리엔트 특급살인의 반전은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지요!

책 내용이 모두 스포일러라면 리뷰쓰기 좀 그럽니다..
제가 읽은 추리소설중에도 몇권 그런 책이 있어서.. 쩝

지나치게 기대할만큼의 스토리는 아닌가보군요.
그래도 미치오 슈스케가 극찬, 극찬했는데 기대를 아예 접을수가 있어야지요 ㅋㅋㅋ

pjy 2011-12-05 1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포일러 쯤이야... 매우 반기는! 정말 다 읽고나서도 헤매는 사람으로 매우 궁금한 소개군요^^; 긴장하면서 예리한 눈초리로 읽어보겠습니다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