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에필로그에서, 발란데르가 사건 수사 중에 미뤄두었던 현실 문제를 하나씩 마무리 짓는다. 그 중에 여든 연세인 아버지와 이탈리아 여행 계획이 있었다. 그 여행을 떠나기 전 설레임으로 로마 지도를 펼쳐 보고, 목적지 기상 상황을 확인하고, 짐을 싸놓고서 발란데르가 잠시 휴식을 취하는 동안 베르디 음악을 들었다. 「라 트라비아타」를! 아마도 ˝축배의 노래˝일 것이다.

나의 예상대로다. 발란데르 형사가 연쇄살인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골머리를 썪이는 동안 음악이 언급되지 않고, 사건이 해결되고나면 음악이 나올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사건을 잘 해결하였다는 칭찬을 들었고, 망설였던 청혼을 결행했고, 아버지와 여행을 앞두고 있는 발란데르가 행복한 순간에 다시 음악을 들었다. 주인공의 휴식과 행복감이 연상되는 음악인 것이다. 작가가 음악을 효과적으로 활용했다고 생각한다.

「라 트라비아타」는 베르디 오페라 중에서도 유명하다. 특히 제 1 막의 파티 장면에서 불리는 ˝축배의 노래˝가 유명하다. 술잔을 들고 축배하고 노래를 부르는 내내 흥겨움이 넘친다. 주인공의 들뜬 마음을 표현하는 데 이만한 곡이 없을 것이다. 게다가 에필로그에 제격인 노래다.

그는 위스키 잔을 들고 앉아 「라 트라비아타」 를 들었다. (542)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madhi(眞我) 2016-10-24 20: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중학교 때 「춘희」를 재밌게 읽었어요. 그래서 라 트라비아타에 대한 환상성이 있죠. 오페라를 한번도 보지 못 했지만.

오거서 2016-10-24 21: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 생각입니다만, 중학교 때 춘희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까요? 예술가의 삶과 사회의 음지를 알아야 하는데 말이죠. 오페라는 베르디 작품 중에서도 유명하고 아름다운 선율이 많아요. 유튜브에서 La Traviata 검색하여 쉽게 찾아서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네트렙코와 빌라존이 콤비를 이루는 공연이 가창력 좋고 화질이 뛰어나서 볼 만 하더군요.

samadhi(眞我) 2016-10-24 21:04   좋아요 0 | URL
어렴풋하지만 그때 춘희의 삶을 이해할 것 같은 기분^^이었어요. 그 이후로 춘희와 비슷한 작품을 만나거나 비운의 예술가들 이야기를 들으면 늘 춘희를 떠올리곤 했죠.

마르케스 찾기 2016-10-25 00: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페라 유명한 아리아들을 모아서 발매한 CD만 닳도록 들어요ㅋ 클레식은 대학생때 거의 속아서(?) 셋트로 몽땅 구매한 뒤 거의 손을 안 대고 있지만ㅋㅋ
오페라는,,, 기껏 돈죠바니와 피가로의 결혼만 관람해 놓고선 ˝반했다˝는 표현을 써도 될련지 모르지만ㅋ (귀여운 여인의 줄라아로버츠처럼ㅋ 알아듣지 못하는 말들의 향연이 펼쳐져도 어찌그리 아름다운지,,,)
전곡 다들어 있는 CD는 비싸고 방대해서ㅋㅋ 간간히 듣기엔 유명 아리아만 모아놓은 게,, 살짝 발만 담구는 제겐 맞더라구요ㅋㅋ
이것저것 모아놓인 것이라 들으면서, 이건 어느 오페라의 어느 부분이다라고 말하는 전문성은 없지만,,, 폰에도 다운받아 걸으며, 버스 맨 뒷자리에서 듣기엔 이보다 더 좋은 건 없구나,, 합니다ㅋㅋ

여행을 앞둔, 행복한 순간에,, 위스키 한 잔 마시며 듣는 라트라비아타라면,,, 저 역시 축배의 노래가 어울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편한 일인용 쇼파에 신발 벗어 발밑에 아무렇게나 던져놓고, 술 잔든 손을 살짝씩 까딱대며, 흥얼거리기도 하면서ㅋㅋㅋ

페이지 사이사이에 음악을 넣은 소설이라,, 오거서님도 한 번 써 봄직해도 좋겠다는,, 건,,, 망구 제 느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