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그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 (무선) 보름달문고 44
김려령 지음, 장경혜 그림 / 문학동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란 빛의 책표지 안에 그려진 사람들의 표정을 보며 '재미있겠다' 짐작을 했는데 예상이 제대로 맞은 동화에요. 
김려령 작가의 책은 처음인데 주인공이자 화자인 오명랑 작가의 이름처럼 명랑하고 명랑함 속에 우리네 사는 이야기를 실제인양 보여주는 진솔함이 더해져 한편으론 책 속의 동화작가가 동네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가 가상의 허구가 아니라 실제의 이야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어요.
어느 순간 오명랑 작가의 호흡처럼 바쁘게 과거와 현재를 오가고 또 그 이야기를 듣고 있는 세 명의 아이들처럼 다음 이야기가 어떻게 이어질까 긴장하고 있더군요.
그리고 나에게도 건널목 같은 사람이 있지 않았을까?  제가 살아온 시간이 되돌아 봐지고
우리가 모두 '건널목 아저씨'그 사람이 되어 산다면,, 이 책표지처럼 세상이 노란빛이겠단 생각이 들었어요.

칠 년 전, 동화작가로 등단하긴 했지만 이후로 내세울 변변한 작품도 없고 어머니에게 의지해 사는 오명랑 작가는 '이야기 듣기 교실'을 열고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까 고민하다가 자신의 '가슴에 깊이 박혀 있던 마음을 열어 줄'이야기를 하기로 합니다.
그리고 광고지를 보고 찾아 온 세 명의 아이들에게 '그리운 건널목 씨'란 제목의 이야기를 들려주기 시작하지요.
차가 많이 다니지는 않지만 건널목이 없어 등굣길에 무단횡단을 하게 되는 아리랑 아파트 후문에 어느날  빨강 초록 동그라미가 그려진 모자에 돌돌 말린 카페트를 짊어진 건널목 씨가 나타나고.. 그는 건널목이 없어 위험했던 곳에 검은색 천에 흰색 페인트로 그려진 카펫 건널목을 깔아 동네 아이들과 주민들의 건널목과 신호등이 되어 교통정리를 하고 아파트 이곳저곳의 궂은 일을 자청해 찾아 합니다. 
그리고 그는 엄마 아빠의 잦은 다툼으로 힘들어하는 도희와 엄마 아빠 없이 살아가고 있는 태희 태석 남매에게도 또 다른 건널목이 되어주지요. 서로 의지할 곳 없이 외톨이였던 아이들은 건널목 씨를 통해 서로의 마음을 잘 알아주고 보듬어 주는 인연을 맺습니다.
아리랑 아파트 후문에 진짜 건널목이 생겨나고 도희네가 할아버지 댁으로 이사를 가고 태석이의 엄마가 집으로 돌아오자 조용히 그는 떠나고 이들의 가슴에 아픈 과거를 보듬어준 따뜻한 기억의 '그 사람'이 됩니다.

'많은 걸 잃고도 많은 걸 주고간 건널목 씨'는 예전에 도희와 태석, 태희 남매 뿐만 아니라 과거를 거슬러 건널목 씨 이야기를 들려준 오명랑 작가에게도 한 걸음 물러나 과거를 돌아보게 하는 여유를 줍니다.
자신과 가족 모두의 아픈 시절을 들려주는 이야기라 망설였던 오명랑 작가는 그야말로 자신의 가슴에 남아 있던 아쉬움과 원망을 드러내고 어머니와 함께 그것을 치유하는 시간을 갖게 되지요. 그리고 작가로서 쓰고 싶었던 '진심'이 담긴 이야기를 자신의 학생들에게 들려주게 되고 이 과정에 세 명의 아이들 또한 다른 사람의 말을 듣는 법을 배웁니다.
그리고 작가는 진심어린 목소리로 독자인 우리에게도 '그 사람'을 본 적이 있느냐고 묻습니다.

그 사람을 본 적이 있을까요?
'그 사람'은 이상한 차림새를 해서 금방 눈에 띄는 건널목 씨 한 사람이 아니라 우리가 살며 힘들 때 도움을 준, 기꺼이 손을 먼저 내밀어준 누군가를 말하는 것이겠지요.  
그리고 [그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라는 제목 안에 '그 사람이 되어 본 적이 있나요?' 하고 그 주인공이 되어 보라 살짝 권하는 듯도 해요.
우리가 모두 '건널목 아저씨'그 사람이 되어 산다면,, 이 책표지처럼 세상이 노란빛으로 밝겠지요?
사람 사는 냄새가 나는 세상을 보여주고 또 그렇게 살아보자고 이야기 하는 책!  
어딘가에서 건널목 아저씨의 호루라기 소리가 씩씩하게 울리고 있을 것만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