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왜 수학을 어려워할까?>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아이들은 왜 수학을 어려워할까? - 발달신경생리학자가 들여다본 아이들의 수 세계
안승철 지음 / 궁리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아이들은 수학을 영어 만큼이나 어려워한다. 아니 아이들은 영어보다도 수학을 싫어한다. 어려워하기에 더욱 싫은 수학. 내 어린시절은 어땠을까? 아! 정말 부끄럽지만 초등학교 2학년때 구구단을 못 외워서 나머지 공부를 한 적이 있다. 무작정 외우다보니 외움의 한계에 봉착하여 나머지공부를 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사실 생각해보면 정말 쉬운 거 아닌가 말이다. 수학이 인생을 살아가는데 뭐가 필요하다고 이러나...... 싶어서 짜증스럽기까지 했다. 돈은 많이 헤아려봤자 1천만원 이상은 아닐텐데 말이다. 옷을 살때 미분과 적분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밥 먹을때 집합이 필요없지 않는가. 하지만 그 의문은 나이와 함께 풀려나갔다. 세상 모든 것이 수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말이다.
아이들은 수학이 싫단다. 열손가락 열발가락까지 동원해도 20의 수가 넘어버리면 울어버리기까지 한다. 인내심을 갖고 가르치는 엄마는 얼마 못가서 화를 내고 만다. 화를 내버리니 아이는 더욱 주눅이 들고, 수학의 세계는 점점 어려워져만 가는 것 같다.
속셈학원이 무수히 많은 시절, 아니 지금도 많다. 수학을 전문으로 하는 학원이 여기저기 보인다. 한 선생님 아래 많아봤자 10명정도의 아이들이 반을 구성한다. 수학은 맨 투 맨 공부다. 그래서 한 반 이래봤자 고작 10명이다. 한 선생님은 이 10명의 아이들이 그저 버겁기만 하단다. 아이들의 이해력은 하늘의 찌뿌둥한 먹구름처럼 답답하다는 수학강사들. 학교에서 못 따라잡는 수학을 방과 후 학원에서 까지 연장하는 투혼을 보인다.
정말 아이들은 왜 수학을 어려워할까? 안승철님의 <아이들은 왜 수학을 어려워할까?>를 보면 속시원하게 이해가 간다. 게다가 태어난지 얼마 되지 않은 아이들조차도 수의 개념이 있다니...... 깜짝 놀랐다. 저자 안승철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2000년도에 같은 대학원에서 생리학을 전공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수학과 크게 관련 없어 보이는 저자는 왜 수학에 관한 책을 썼을까?
누구나 그렇듯 저자 역시 아이의 아버지. 아이에게 수학을 가르치다가 속이 터질 듯 하여 이 연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아이를 가진 부모들의 마음을 잘 아는 그가 시도한 아이들과 수학의 연관성은 많은 부모들에게 영향력있게 다가갈 것 같아 나 또한 반가웠다.
1년동안 책을 써 오면서 그 궁금증을 풀었다는 저자. 저자의 정답을 나도 쫓아보고자 서둘러 책을 펼쳤다.

저자가 연구하다가 알아낸 사실중 한가지를 소개해볼까 한다.
영아들은 본능적으로 세 개 이내의 수량을 인지한다. 사실 서너개 이내의 대상은 금방 눈으로 알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즉지(subitizing)라고 한다. 하지만 세어야 할 대상의 수가 즉지의 벙위를 넘어서면 셀 수밖에 없다.
(중략 ) 이러한 사실은 즉지가 본능에 가까움을 의미한다. 보능에 의존한 수 감각은 '세는' 능력과는 다르다.
1992년 <<네이처>>에 실린 캐런 윈의 유명한 실험의 내용이다.
5개월된 영아들 앞에 인형극장 크기의 작은 무대를 설치한 후 무대 옆으로 손을 넣어 미키마우스를 무대 위에 올려놓는다. 영아들이 미키마우스가 올라간 것을 보면 막을 올려 아기들의 시야를 가린다.
이번에는 미키마우스를 쥔 다른 손이 무대 옆으로 들어와 막 뒤에 미키마우스를 놓는다. 그리고 미키마우스를 쥐고 들어온 손은 빈손으로 무대 밖으로 사라진다.
이때 미키마우스를 감춰진 문을 통해 빼돌린 후 아기들의 반응을 보았다.
결과는?????
두개의 미키마우스 인형이 놓은 경우에 비해 한개의 미키마우스 인형이 놓ㅇ느 경우 아기들은 오래도록 무대를 응시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 두개의 미키마우스를 보여주고 막으로 가리고 한개의 미키마우스를 빼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아기 몰래 미키마우스 인형을 제자리에 갖다두면 아기들은 막이 내려가고 나서 한개의 인형이 있을 때보다 두개의 인형이 있을 때 더 오래 무대를 바라본다.
아기들은 한개만 있어야 하는데 두개가 생기니 이상해서 쳐다보는 것이다!!!!!!!!

한참 수를 가르친다고 아이를 앞에 앉혀놓고 질문하면 질문에 대한 대답은 바로 나오지 못하고 아이는 연신 눈알을 굴린다. 그러다가 쓰윽 내미는 양 손. 손가락을 접어가면서 셈을 한다. 어린 아이들은 당연히 그 모습이 이쁘겠지만, 초등학교 들어가서 한참 수에 대한 개념이 박혀 있어야 할때 손가락 셈을 한다면 엄마는 분명 머리 끝까지 화가 날 것이다. 버럭! 소리지르면서 손 넣어라고 하겠지?
손가락 쓰는 것이 그저 나쁜 것일까? 하고 의문을 가진 저자. 다양한 시각에서 한 실험으로 결과를 얻어낸 저자. 결론을 말하자면 손가락 운동과 수학적 능력이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손가락 운동을 하면 수학적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 까지 알았다는 희소식.
다양한 면을 연구한 저자. 아이들의 뇌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격는 수학은 다그치면서 강요할 것이 아니라 제대로 알고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물론 그가 소개한 글 중에서는 수학적 장애도 있었다.
어려워하는 이유를 안 것만큼 성공적인 것은 없다. 이제부터 아이들에겐 무조건 적인 강압식 교육보다는 시기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아이에게 접목시켜 접근하는 것이 가장 현명할 듯 하다. 평소 놀이로도 수학적 사고가 가능하니, 이 책을 다시한번 완독하고 수학속에서 허우적거릴 우리 아이들을 구원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