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무턱대고 구입하지 않는다. 대체로 한 두권. 관심이 있어 구입해도 읽지 않은 채 방치된 책들이 너무 많~어 더 이상 욕심은 부리지 않기로 했다. 도대체 읽지도 않고 놔두면서 신간에 눈길이 가는 심뽀는 대체 무슨 심뽀인지 몰것다.
요즘 읽는 책이다. 나는 칼 세이건만큼 완벽하게 과학적이면서 시적인 표현을 쓰는 과학저술가를 알지 못한다. 리처드 도킨스의 글은 냉철하며서도 냉소적이어서 신랄함의 쓴 맛을 느끼곤 하고 마이클 셔머의 글은 사실적(예를 많이 들어가며)이며 대중적(쉬운)이다 보니 깊은 맛이 떨어지고 프리먼 다이슨의 글은 소년적인 감성이 물씬 풍기는 따스한 글이지만 약간 밋밋한 맛이 나고 리처드 파인만의 비권위주의적, 자유가 넘쳐나는 글은 달달한 맛이 나지만 결국 그의 글은 랠프 레이턴이 받쳐 주었기에 완전한 자신의 글이라 할 수 없고 스티브 핑커는 자신의 이론을 증명하기 위한 빡빡함은 목구멍에 넘기기 힘든 텁텁한 맛을 느끼곤 한다.
이 책은 2장 읽고 있지만, 결국 신을 부정하는 책이다. 그는 1장에서도 말했지만 우리의 신이 거대한 우주에서 보면 작은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의 글을 읽으면서 하늘의 별을 보고 호기심을 느꼈지만 우주에 위성을 쏘아올릴 수 없었던 전 세대의 체제(혹 권력)를 유지하기 위한 인류의 상상력의 산물일뿐이는 것을 확인할 뿐이다. 나는 칼 세이건이 백혈병으로 죽었어도 신은 절대 찾지 않았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는 신을 찾기에는 너무 멀리 우주를 떠 돌아다녔다.
이 책은 다른 말 할 것 없이 다치바나와 사토의 대담집<지의 정원>에서 다치바나의 한대목에서 이 책의 진가를 알 수 있다.
영상을 통해서도 교양을 얻을 수 있다고 봅니다. 특히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들은 뛰어나죠. <바람계곡의 나우시카>는 애니메이션도 좋지만, 만화 완전판을 꼭 보셨으면 합니다. <모노노케히메>,<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동일한 노선에 있는 것이 바로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입니다. 미야지키 감독의 작품 중에서도 단연 발군이지요. 굉장합니다. 만화 나우시카에 비하면 애니메이션 나우시키는 새끼손가락 끝마디 정도에 부고 합니다. 특히 마지막 에피소드에는 이제까지의 미야지기 하야오의 이미지를 격파해 버리는 묵직한 사상이 드러납니다. 미야자키 감독에게 그 장면을 왜 애미메이션에는 넣지 않았느냐고 물었더니 불가능했다고 말하더군요(62p)
나는 말콤 글래드웰의 저 사진을 볼 때마다 필립 로스의
<휴먼 스테인>의 주인공 콜먼을 떠 올리곤 킥킥거리고 웃곤 한다. 너무 닮았어~~ 이러면서. 혹 필립 로스가 저 말콤의 외모를 염두해두고 콜먼의 캐릭터를 묘사한 것은 아닌가, 의심하곤 했었다. 아, 물론 전혀 그럴 일 없을 것이고 필립 로스나 말콤 글래드웰이 그런 소리 들으면 자존심 강한 그 양반들 기분 팍 상할라.
필립 로스의 <휴먼 스테인>의 번역자 후기에 <나는 공산주의자와 결혼했다>에 대한 언급이 잠깐 나온다. 필립 로스의 작품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유태인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속한 유태교에 대한 전통, 불합리함에 진절머리를 내며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하는 반골적인 사람이다. 그는 첫번째 부인과 이혼하고 그 이후에 몇 차례 결혼과 이혼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나오지 않지만,
1990년 로스는 오랫동안 친구로 지내온 여배우 클레어 블룸과 결혼했으나 1994년 이혼하고 1996년 블룸은 그들 부부의 결혼 생활을 낱낱히, 그리고 로스의 좋지 않는 면을 적나라하게 기술한 회고록 <인형의 집을 떠나며>를 출간한다. 일부 비평가들은 로스가 이에 대한 반발로 <나는 공산주의자와 결혼했다>(1998)를 발표하고 전처 블룸의 이러한 비난에 은근히 맞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287p).
번역자의 말에 의하면, <나는 공산주의자와 결혼했다>는 한때 부인이었던 클레어 블룸에 대한 반격으로 나온 작품이라는 것. 그 때 번역자 후기의 저 대목 읽으면서 그 때 저 (과거 한때) 부부의 감정적인 싸움이 볼 만 했겠다, 싶었다. 필립 로스의 작품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순수문학치곤 흡입력 상당한 작품임. 아마 저 공산주의자도 그렇지 않을까.
나는 이사카 고타로의 정치성을 좋아한다. 그래서 그런지 그의 작품이 나올 때마다 눈여겨보고 있고 거진 다 사서 읽는 편이다. 이 책 검색하다가 읽은 리뷰어의 글에 완전 공감했는데, 그가 쓰길 이사카 고타로의 작품은 리뷰쓰기가 쉽지 않다는 것. 나는 그의 작품 그러니깐 최근에 나온 작품 <그래스호퍼>와 <모던타임즈>을 빼고 다 읽었는데, 리뷰는 단 한편도 남기지 않았다. 심지어 그의 작품의 정치성, 명랑성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느낄 수 있는 젊은 감성을 열혈 좋아함에도 불구하고 페이퍼에 단 한줄의 글조차 남기지 않았다는 것. 그의 작품을 읽고 나면 뭔가 묵직함이 있기한데 그게 뭔지 그리고 어떻게 풀어야할지 갈피를 잡지 못하겠다. 꼭 글로 써서 간직하지 않고 흘러 보내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이 사람의 작품을 읽으면...그런 생각이 든다. 고타로의 최근작이 나왔다길래, 그리고 저 표지가 넘 맘에 들어 나우시카와 함께 주문 넣었다. 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