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제8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임현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현 작가의 '고두(叩頭)'는 존경하는 뜻으로 머리를 조아린다는 뜻이다. 동양문화와 유교적 색채가 물씬 풍긴다. 우리 사회에는 장유유서의 서열문화와 착한 콤플렉스가 만연하고 있다. 유교적 틀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예의가 없다느니, 되바라진 사람이니 하면서 수군거린다.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 삶이고 자기만족의 삶인지 헷갈릴 때가 많다.직장생활을 하다보면 마음이 들지 않아도 상사에게 머리를 조아리고, 크게 잘못한 것이 없어도 사죄하면서 뉘우치는 모양새를 취해야 예의바르고 괜찮은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게된다. 진심에서 우러나지 않아도 사회의 관행이나 미덕이 그러하니,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올바른 행동이라 암암리에 배우게 되는 것이다.

 

수백 년 간 누적되어 온 유교식 예절문화가 가끔은 불편할 때가 많다. 스스로 그 틀을 벗어나려고 몸부림쳐도 오래지 않아 양심의 가책을 느껴 '아 이러면 안되는구나! 하고 반성하게 된다. 어떤 때는 가끔 이런 생각을 할 때가 있다. 모든 가식을 훌훌 털어 버리고 정말 나답게 살고 싶은 생각, 자아를 꼭 꼭 숨기고 사회에서 요구하는 윤리의식이나 공중도덕에 얽매여 원하지도 않는 사과와 예의를 지키며 살아가는 것도 보통 큰 스트레스가 아니다. 마음에서는 떳떳하고 올바른 행동이었다고 생각해도 타인의 평가는 외부의 형식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행동으로 보여주지 않는 예의와 도덕은 무시되고, 반대로 마음과는 다른 형식적인 예절과 도덕이 그 사람 평가의 잣대가 된다.

 

주인공 연주는 불우한 가정 환경에서 자란 학생으로 소위 말하는 예의바른 학생이 아닌 문제가 많은 학생으로 남들에게 비춰진다. 학교를 마치고 동태탕 맛집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을 두고 온갖 낭설이 떠돈다. 술집에 나간다느니, 모텔에 들락거린다느니 하면서 얼굴 예쁜 연주를 가십거리로 삼는 선생님이 많다.  윤리선생으로 연주의 행동이 못마땅한 김선생은 연주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으려고 훈계하고 나무래도 사과하는 것은 연주가 아닌 부유한 친구였다. 죄책감을 느끼고 반성할 줄 아는 것도 우리가 생각하듯 부유하고 교육을 잘 받은 부유한 집안의 학생이라는 것이다.

 

나는 여기서 사회적 편견을 발견하게 되었다. 불우한 가정에서 자란  연주는  본래 그런 환경에서 자랐으니 너는 그럴 수밖에 없다는 우리 사회의 편견을 보는 것 같다. 그 사람이 되어 보지 않고는 누구도 그 사람을 평가할 수 없는데 우리는 이미 사회적인 윤리의식이나 도덕의 잣대로 모든 것을 평가하는 데 익숙해져 있다. 연주가 관심을 가져주는 선생님에게 사랑한다고 고백했을 때 선생님은 학생을 올바르게 선도해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과 외롭고 힘든 여학생의 의지처가 되어주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이중적 잣대로 고민하게 된다. 결국 후자쪽으로 기울어 연주와 하룻밤을 보내게 되는데 그 죄책감과 선생이라는 신분의 멍에때문에 갈팡질팡하고 그 날의 행동을 후회하게 된다. 연주도 윤리선생님에게 짐이 되는게 싫어 오랫동안 학교에 나타나지 않는다.

 

방학이 끝나갈 무렵 교무실에 찾아와 선생님을 진심으로 사랑했다고 고백하고 임신한 사실도 알게된다. 주변에선 곱지 않은 시선으로 윤리선생을 바라보고 자기들끼리 수군되는데, 결국 김선생은 윤리선생으로 도리에 벗어난 행위와 죄책감이 학교를 그만두게 된다. 김선생 자신은 결코 연주에게 성적 욕망을 풀기위해 한 행동이 아닌데 주변에선 그렇게 보니, 아무리 항변해도 소용이 없다.

 

작가의 얘기처럼 우리 사회는 보이지 않는 인습이 너무도 많다. 그래서 솔직히 자기를 드러내놓고 살아가기가 쉽지 않다. 오히려 이기주의자라는 소릴 들어도 솔직하게 살고 싶은 작가의 바람도 느낄 수 있었다. 가식적이고 형식적인 예의와 도덕에 갇힌 삶이 결코 행복한 삶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사회에 봉사하고 남을 위해 사는 삶이 오히려 자신을 위하는 길이라는 위로가 오히려  불편하게 들리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