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이 온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소년이 온다
한강 지음 / 창비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은 1980년 5월 바로 그날의 한 가운데에서 출발한다. 총성이 울리고 피비린내가 퍼지는 광주 중심, 반투명한 창자를 쏟아내고 죽은 시신들이 밀려오는 상무관에 한 소년이 찾아온다. 옆구리에 총을 맞고 죽은 친구의 시신을 찾기 위해서다. 소년은 친구의 죽음을 직접 목격했다. 그 죽은 사람 중에는 소년 뿐 아니라 청년도 있고 여자도 있다. 그 날의 비극을 만든 가해자는 아직도 살아있는데 이 비극은 조금씩 잊혀진 과거가 되고 있다. 어떻게 이럴 수 있나?

 

한강은 그의 소설 <소년이 온다>를 통해 독자를 그 날의 현장 속으로 되돌려 놓는다. 그러나 기록사진같은 사실적인 현장의 복원이 이 소설의 목표는 아니다. 역사의 인과에 근거한 사실적 진술은 더더욱 목표가 아니다. 화자는 고작해야 16세의 나이로 죽은 한 소년의 혼령일 뿐이고, 그의 눈이 따라가는 초점 인물 또한 16세의 소년이다. 나라가 국민을 공격하는데, 국민들은 시신을 태극기로 감싸고 애국가를 부르는 것이 도무지 이해가 안 가는 어린 소년이다. 소설은 그 혼령과 소년의 눈에 비친 긴박했던 그 날 밤의 긴장감과 두려움의 현장 속으로 독자를 불러들이며, 연약한 시민군들의 의식 속에 그 날이 어떤 모습으로 기억되는지 보여주려 한다.

 

작가는 소년에게 닥친 비극을 직접 묘사하지 않는다. 살아남은 자의 증언 속에서 그 날의 치욕을 힘겹게 끄집어 낼 뿐이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최후까지도 저항했던 인물들에게 치욕이란 무척 부당한 말이지만, 그들 중 누구도 그날 일을 치욕으로 생각지 않는 사람은 없다. 작가는 이처럼 그날의 비참함 자체가 아니라, 살아남은 자들의 부채의식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그 고통의 역사가 지나간 과거가 아닌 현재진행형임을 강조한다. 죽을 것을 뻔히 알면서도 남아있었으며, 총 한발 쏘지 못했으면서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그 날의 기억은 평생을 옭아매는 치욕이었던 것이다. 생활이 무너지고 감정이 메마르고 숨만은 붙어 있어 순간순간 그 날의 악몽을 재생하며 삶을 별 수 없이 이어가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고 있노라면, 자신의 의지로 목숨을 끊은 자는 차라리 행운이라 여겨진다.

 

우리는 증오와 분노를 담아 그 날을 상상하지만, 그 폭압과 살육의 현장 한가운데 있었던 사람들의 끔찍한 트라우마를 상상할 수는 없다. 이 소설이 들려주는 인물들의 이야기도 아주 일부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소년이 온다>는 치욕과 비극의 역사를 지금 이곳으로 불러오며 과거의 현재적 각성을 이끈다. 지금 시대의 주인공이 되어야 했을 소년 '동호'는 죽었지만, 다음 시대의 주인공이 될 오늘날의 소년들에게는 과거와 현재의 연속성에 대한 분명한 자각이 필요할 때이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