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팔리는 글은 처음이라 - 한 번 깨달으면 평생 써먹는 글쓰기 수업
제갈현열 지음 / 다산북스 / 2025년 5월
평점 :
글을 나 자신을 팔기 위한 도구로 생각하고 쓰는 법 “팔리는 글은 처음이라”/도서제공 다산북스에서 보내주셨습니다.
“내 글을 시장에 파는 것이 아니라, 시장이 내 글을 사는 것이다.”
인스타그램이나 스레드에는 조회수나 팔로워의 법칙들이 흘러 다닙니다. 흘러 다니는 이유는 그 글을 원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죠. 좋아요, 팔로우, 조회수 모두 그 글을 사는 행위입니다. 이 책은 사람들이 원하는 글에 포함된 세 가지 요소 “가치, 공감, 근거”부터 시장이 원하는 글의 구조까지 전방위적 글쓰기를 다룹니다.
집중해서 읽어야 할 구간은 “파트3 구조 익히기”입니다.
“시장을 먼저 생각하고 시장에 질문을 던지고 거기서 나온 답을 기준으로 내가 팔아야 하는 것을 해석하는 것”
취준생들에게 필요한 글쓰기는 어디서 시작해야 할까요? 저자는 취준생의 시장인 기업의 인사담당자에서 답을 찾았습니다. 채용하는 사람의 시선, 즉 시장의 정보를 판매자인 취준생에게 전달한 겁니다. 우리는 이걸 거꾸로 하죠. 책을 판다면 경력편집자나 출판사 대표, 서평가에게서 답을 찾으려고 합니다. 정작 책을 사는 독자들에게 질문해야 한다는 건 잊고 마는 거죠. 하지만 시장에 존재했던 수많은 대가는 “시장 우선주의”로 성공했습니다.
전통의 광고모델들에 답이 있었습니다. 주목A – 관심I – 욕구D – 구매A AIDA모델에 글을 맞춘다면 시장에 맞춘 글이 됩니다. BAB모델도 있습니다. 전B- 후A – 유도B입니다. FAB모델이나 PAS모델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통째로 보여드리고 싶을 정도인데요. 마케팅에서 쓰는 구매유도프로세스에 맞춰서 예시를 들었는데 제가 당장 사고 싶을 정도라서 리뷰를 이렇게 써야 하는 게 아닌가! 싶었는데요. 구조에 맞춰서 생각해보니 간단하더라고요.
“자기가 팔아야 하는 시장에서 가장 주류가 되는 글의 구조를 가지고 와서 그 구조로 글의 구성 연습을 시작하는 것. 이것이 제가 말하는 ‘형식의 구조’의 핵심입니다.”
딱 이것만 이해해도 이 책은 값을 하는 책입니다. 그런데 글의 소재까지 떠먹여 줍니다.
“우리가 준비해야 하는 세 가지, 가치, 공감 그리고 근거”
나의 주장에는 사용가치가 있어야 합니다. 정서적 심리적 변화나 기대가 있으면 더 좋습니다. 정서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면 브랜딩이 되죠. 그리고 공감을 끌어낼 수 있는 명확한 근거가 있다면 글은 완성됩니다.
SNS에서 글을 쓴다면 문학보다는 시장에 가까운 글을 쓰게 됩니다. 소설가나 에세이 작가가 되실 분 아니면, 아니 그분들조차 신간을 팔기 위해 꼭 읽어봐야 할 책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