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성한 아들이 결혼해 어머니를 집에 모셔서 식사를 하는데, 생선대가리를 어머니의 밥그릇에 올려놓으면서 "어머니, 이거 좋아하시죠?"라고 생색을 냈다는 우습지 않은 우스갯소리. 실제로 엄마가 생선 가운데 토막은 마다하면서 대가리와 꼬리를 드시면서 종종 맛있다고 하실 때마다 뭔가가 치솟는 느낌이다. 몸에 베인 엄마근성. "엄마가 엄마를 아끼지 않으면 나중에 자식들이 알아줄 거 같아?" 같은 말이라도 곱게, 조근조근 말할 수도 있을 텐데, 왠지 엄마에게는 버럭 화를 내며 타박하는 일이 일상적이 되곤 한다. 후회하고, 후회하고 있는 것조차 까먹고 또다시 생채기를 내는 대화를 이어가다 먼저 토라져버리는 일이 다반사.


신경숙 소설 속의 고향집. 평상이 있고, 텃밭이 있고, 헛간이 있고, 개집이 있고, 엄마가 있어야 완성되는 그 치유의 공간. 『엄마를 부탁해』에 등장하는 고향집. 평상이 있고, 텃밭이 있고, 헛간이 있고, 개집이 있고, 엄마가 있어 완성되던 그 공간은 결코 치유의 장이 아니다. 자식들이 장성할수록, 잊혀져가는 엄마가 처절하게 상처받고 마모된 공간이다. 엄마를 회환 없이는 떠올릴 수 없는 죄 많은 자식들의 엄마,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엄마에 대한 참회록일 수도 있으며, 엄마를 벗은 엄마는 과연 어떤 사람이었나를 분석하는 심층적인 보고서일 수도 있는, 신파이면서 신파가 아닌, 피하고 싶었으나 피할 수 없었던 이 책.


엄마를 잃어버린 가족들은, 엄마를 잃어버렸고, 잊어버렸다는 것을 뒤늦게, 그리고 절절하게 깨닫는다. 소설가인 딸이, 장남이, 남편이, 그리고 엄마가 번갈아가면서 이야기하는 '엄마'는 동일인물이면서도 하나로 포개지기를 거부한다. 엄마의 다양한 모습들을 수용하지 못하는 것은 남은 가족, 엄마를 잊고, 잃고 나서의 가족들이다. 엄마의 자리를 박제해놓고, 편할 때만 찾는 것이 익숙했던 가족들에게, 엄마의 부재와 낯선 얼굴들은 충격과 경악, 자신들이 층층이 쌓아올린 과오의 강력해져만 가는 재확인이다.


'괜찮아, 나는 괜찮다'는 말에 편의적으로 속아 엄마가 홀로 뇌졸중을 앓았으며, 극악의 두통과 망각 증세에 시달려왔음을 방치해왔고, 문맹인 엄마가 지하철 서울역에 홀로 남아 자식들에게 연락할 수 없음을 그제야 서늘히 상기하는 가족들의 모습에 피가 식는다. 자식들이 예전에 살았던 서울의 모처를 거지의 형상으로, 농지고 피투성이인 슬리퍼 차림으로 터벅터벅 걸어다는 것을 단서로 남겨두는 엄마의 모습에서 귀가가 아닌 정리의 형상이 느껴지는 이 불길함. 엄마는 망각의 시간을 거슬러, 거슬러 삶과의 별리를 가족의 동참 없이 진행시키고 있는 듯하다.


초경도 시작하지 않은 17세에 시집와 여섯 아이들 낳고, 그 중 한 아이를 사산으로 잃었으며, 정작 필요할 때는 없고, 끊임없는 방랑벽과 바람기로 가정을 위태롭게 한 남편이 있었으며, 시지푸스같은 노동의 굴레를 안고 살아 그것이 본연의 모습처럼 각인되었고, 살뜰한 보살핌의 결과가 고마움보다 귀찮을 때가 종종 생기는 즈음이 잦아졌으며, 정작 엄마의 실존과 욕구에는 모두가 무감했던 까닭에 엄마의 실종은 회복불능의 처참함으로 삶을 피폐화한다. 엄마의 삶을 피폐하게 한 이들이 맞게 된 부메랑마냥. 엄마를 엄마가 아닌 '박소녀'로 기억하는 것은 엄마가 은밀하게 의지처로 삼았던, 지금은 넋이 나가버린 가난한 촌부 한 사람뿐인 것을.



"엄마가 파란 슬리퍼에 움푹 파인 내 발등을 들여다보네. 내 발등은 푹 파인 상처 속으로 뼈가 드러나 보이네. 엄마의 얼굴이 슬픔으로 일그러지네. 저 얼굴은 내가 죽은 아이를 낳았을 때 장롱 얼굴에 비친 내 얼굴이네. 내 새끼. 엄마가 양팔을 벌리네. 엄마가 방금 죽은 아이를 품에 안듯이 나의 겨드랑이에 팔을 집어넣네. 내 발에서 파란 슬리퍼를 벗기고 나의 두발을 엄마의 무릎으로 끌어올리네. 엄마는 웃지 않네. 울지도 않네. 엄마는 알고 있었을까. 나에게도 일평생 엄마가 필요했다는 것을"(p254)


세상의 모든 딸들이 입버릇처럼 말한다. 그것은 얼핏 엄마에의 찬사처럼 비치지만, 엄마를 규정짓는 굴레이기도 한 "나는 엄마처럼은 못할 거야. 내 자식에게 엄마처럼은 하지 못할 거야.". 엄마의 인생을 내 인생의 담보물처럼 여기고, 그것을 당연하게 누려왔던 시간들이 전 인생에 걸쳐져 있다는 것에 경악한다. 나는 절대 그렇게 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면서도 엄마의 희생은 기꺼이 그래야만 한다고 마음껏 욕심내왔던 이들에게, 이 책은 경종이 되기도 하고, 살가운 희망이기도 하다.


엄마 또한 일평생 엄마가 필요했다는 것을 애써 외면하며 살았다는 것을 안다. 엄마의 엄마는 부재하지만, 이제 보살피고 보살핌을 받는 관계가 역전되는 시간이 가까워져만 온다. 엄마의 모래시계가 다 떨어져버리기 전에, 엄마를 잊고, 잃어버리지 않는 한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시간이 엄마와 나 사이에 남겨져 있음에 소박하지만 절대적으로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