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혼자가 아니에요>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당신은 혼자가 아니에요 - 가정용 곤충에 관한 은밀한 에세이 1881 함께 읽는 교양 9
조슈아 아바바넬.제프 스위머 지음, 유자화 옮김 / 함께읽는책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꽤 오래 전 중학교 시절, 묘한 경험을 한 적이 있다. 바닥에 사마귀가 있는 것을 모르고 누군가가 밟았는데, 그 사마귀 안에서 길고 검은 정체불명의 것이 나와서 꿈틀거리는 것이었다. 그것을 보고 나는 사마귀 뱃속의 내장이 사후경직으로 인해 밖으로 삐져나와서 움직이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었다(근육조직이 거의 없는 사마귀에 사후경직이라니, 지금 생각해 보면 말도 안된다). 그때는 디카 같은 것을 갖고 있지 않았기에, 그 기괴한 장면을 사진으로 남겨 둔 것은 없지만 그것의 꿈틀거리는 모습은 나의 기억 속에 꽤 선명하게 남아 있다. 그리고 얼마 전에야 사마귀 뱃속에서 나왔던 그것이 '연가시(nematomorph, hairworm)'라 불리는 기생충의 일종임을 알게 되었다. 그로 인해 기생충이나 그 외의 곤충류에 약간의 흥미가 생겨, 칼 짐머의 <기생충 제국>이라는 책을 사서 읽기도 했다. 확실히 그러한 것들에 대해 흥미는 있지만, 사진 따위를 보면 혐오스럽다고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라 참 이율배반적이다. 

그런데 얼마 전에 읽은 <당신은 혼자가 아니에요(원제 : A Field Guide to Household Bugs)>라는 책은, 번역본 제목만 보면 고독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위한 심리치유 책 같다는 느낌이 들지만, 원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상은 그렇게 따뜻한 내용이 아니다. 우리 주변에 서식하는 각종 곤충 종류를 멋지게(!) 확대해놓은 전자현미경 사진들을 곁들여, 어쩌면 혐오스러울 수도 있는 '가정용 곤충'에 대한 이야기들을 이 책에서는 꽤 코믹하게 풀어내고 있다. 이 책에 등장하는 곤충들은 아주 오래 전부터 인간과 더불어 살아온, 꽤 친숙한(!) 것들이다. 인간을 물어 가렵게 하는, '자유로운 영혼' 빈대, 인간의 머리카락에 주로 서식하는 '미치광이 침입자' 이, 알레르기의 주범인 집먼지 진드기, 역시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되는 '살갗 위의 굿 서퍼' 모낭진드기와 옴진드기, 어쩌면 다른 것들보다는 좀 낭만적일지도 모르는 '도서관의 보헤미안' 서양좀벌레와 집게벌레, 인간을 성가시게 하는 것으로도 부족해서 병까지 옮기는 파리, 출몰하는 것만으로 정신적 데미지를 선사하는 '천하무적 몬도가네' 바퀴벌레, 인간의 피를 빨아먹는 벼룩과 흡혈진드기 등 혐오스러우면서도 발랄한(?) 곤충들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꽤나 자주 등장하는 '가정용 곤충'들의 전자현미경 확대 사진들은, 상당히 못생기고 혐오스러운 곤충들의 적나라한 모습이 드러나 있어서 보는 것만으로도 괜히 온 몸이 근질근질해지는 효과를 가져다 준다. 그나마 지금은 벼룩과 빈대 따위가 창궐하는 시대가 아니라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중세시대에만 해도 자다가 그러한 것들에 물리는 일은 너무나도 흔했다. 또한 그러한 곤충들이 어떤 먹이를 좋아하고, 어떤 방식으로 번식하고, 퇴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저자는 꽤 유머러스하게 이야기하고 있어서, 만약에 이 책에 나오는 퇴치법들을 진담으로 받아들이고 실행했다가는 자신의 목숨이 위험할지도 모른다. 벌레를 퇴치하기 전에, 인간이 먼저 퇴치당한다고 보면 될 듯 하다. 또한 꽤 인상에 남는 것이 빈대의 번식에 대한 것이었는데, '빈대의 짝짓기는 무척 거칠어서 곤충학자들은 이것을 '외상성 수정'이라고 부른다. 암컷 빈대의 몸에는 생식기 개구부가 없어서 수컷이 암컷의 배를 잘라 벌리고 그 안에 정자를 넣는다.(p.27)'고 한다. 꽤나 거칠고 하드코어한 방식이 아닐 수 없다. 아마 빈대들은 번식을 하는데도 거의 목숨을 걸 정도의 큰 결심을 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인간 입장에서는 빈대 같은 것들이 많아지는 것이 전혀 반갑지 않지만, 그런 식으로 그들은 계속 자신들의 종을 열심히 번식시켜 나가는 것이다.  

그 외에도 집먼지 진드기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는 인간과 애완동물의 비듬이라던지, 카프카의 <변신>에서 주인공이 변한 벌레는 아마도 바퀴벌레가 아닐까 하는 가설이라던지, 에드가 앨런 포의 <고자질하는 심장>에 등장하는 '익명의 나무 먹는 벌레' 이야기 등 벌레와 관련된 꽤나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이 책에 포진해 있어서, 결코 읽다가 지겨워지거나 할 일은 없다.  하지만 이러한 곤충들이 실제로 우리 주변에 함께 살고 있다는 것이 그저 즐거운 일은 아니다. 벌레를 심하게 무서워하는 나로서는 이런 녀석들과 함께라니 차라리 혼자인 쪽이 마음이 편할 듯 하다! 아마 벌레 오타쿠(!)가 아니고서야,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도 나와 같은 생각을 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