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그림이야기>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이야기 그림 이야기 - 옛그림의 인문학적 독법
이종수 지음 / 돌베개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 다닐 때 고전문학은 굉장히 좋아했는데, 옛 그림과는 그다지 친하지 않은 편이다. 오히려 서양화 쪽은 가끔 전시회 같은 곳에서 접할 기회가 있어서인지 약간은 익숙해져 있는데 동양화는 나에게 있어서 미지의 세계로 남아 있다. 그래서 이 책 <이야기 그림 이야기>를 읽게 되었을 때 전혀 모르는 분야라서 애먹을 듯한 예감이 들었다.  

이 책에서 다루는 '이야기 그림'이라고 하는 것은, 중국의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그려져 말 그대로 그 이야기를 짚어가며 감상해야 하는 좀 독특한 장르다. 이야기(=텍스트)가 있고 그 텍스트를 이미지로 나타낸 결과물이 이야기 그림이고 이러한 이야기 그림은 두루마리 형태로 펼쳐가며 읽는 권(卷), 벽에 걸어놓고 음미하는 축(軸), 둘러 세워두고 감상하는 병풍, 그리고 서적에 삽입할 목적의 삽화, 이렇게 네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이 책에서는 각 분야당 두 편의 작품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한 장면 한 장면 분석하며 읽기를 통해 당시 시대 상황이나 화가의 의도 등을 아울러 파악하는 방법을 선택한듯 하다. 그림에 대해 별로 아는 것이 없는 내게는 세밀한 분석이 약간은 고역이었다. 예전에 고전문학강독 같은 수업 시간에는 비록 한문으로 쓰여진 옛 글을 다루었지만 굉장히 흥미로웠는데 동양화의 분석은 역시 내 분야가 아니라서 그런지 수월하게 읽어지지 않았다.  

이 책에 등장한 그림 중에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은 장대천의 <도원도>였다. 이상향을 다룬 도연명의 <도화원기>를 바탕으로 해 그려진 <도원도>는 <도원문진도>, <어부도> 등의 다른 도원도 계열들과 달리 신비로운 색채와 화사한 꽃나무들, 그리고 입구만 보이는 동굴의 묘사로 추상적인 느낌이 강하다. 그 동굴 안쪽으로 어떤 세계가 펼쳐질지 일종의 여운을 남겨놓은 느낌이다. 또한 구사와 왕위군의 <노신 논문·잡문 160도>의 삽화인 <도우미 문객 식별법>이라는 그림 역시 꽤 흥미로웠다. 좀 난해한 그림이지만 양쪽의 글씨와 선은 예술을 지배하고 소유하려 했던 휘종과 건륭 황제의 것이고, 피를 흘리는 얼굴 앞에서 무덤덤하게 글을 쓰고 있는 문인들은 권력에 기대어 참혹한 현실을 외면하던 당시의 문인들을 상징한다고 보면 된다. 텍스트의 내용과 아주 제대로 부합하는 삽화가 아닐 수 없다. 

이 책을 읽으며 옛 그림과 인문학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새로운 읽는 방법을 느낄 수 있었고 전혀 모르던 동양화 관련 내용들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기초 지식을 갖추게 된 듯 하다. 하지만 낯선 미술 용어에는 주석이 붙어 있었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다. 읽기에 결코 녹록치 않은 책이었지만 꽤 속이 들어찬 책이라는 느낌이 든다. 역시 새로운 분야에도 도전해 볼 가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