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사이언스 - 프랑켄슈타인에서 AI까지, 과학과 대중문화의 매혹적 만남 서가명강 시리즈 2
홍성욱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가명강처음에 무슨 말인가 싶었다선뜻 다가오는 의미가 없어서이기도 했고 1권과 2권에서 다룬 내용들이 무언가 색다른 듯한 느낌이 들어서이기도 했다책 표지 안쪽을 보니 서가명강에 대한 설명이 달려있었다.

 

서가명강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이런생각과는 전혀 다른 의미였기에 조금 당황스럽기도 했지만 궁금하기도 했다우리나라 최고의 대학에서는 어떤 내용의 강의를 진행하고 있는지도 궁금했고외국의 유명 대학 강의들과는 어떤 점에서 다른지도 궁금했다.

 

1권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에서는 법의학자의 눈으로 바라본 다양의 죽음의 양상들과 의미를 다루고 있는데 가볍지 않은 내용임에도 읽는 내내 눈을 떼지 못할 정도로 흥미로운 내용들로 가득차 있었다.

 

바로 2권 <크로스 사이언스>를 읽었다이 책의 저자 홍성욱 교수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과 문명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하고 있다이 책에서는 과학과 대중문화의 크로스(교차)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저자의 의도처럼과학이라는 낯선 분야의 이야기가 대중문화라는 친숙한 분야와 어우러지면서 멀게만 느껴졌던 과학이 우리의 일상에서 얼마나 자주 접하게 되는지를 알게 되었다.

 

이 책은 모두 4부로 이루어졌다. 1부 대중문화와 과학의 크로스, 2부 세상과 과학의 크로스, 3부 인간과 과학의 크로스, 4부 인문학과 과학의 크로스대중문화세상인간인문학과 과학의 크로스문과 출신인 내게도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들은 결코 낯설지 않았던 이유를 각 파트의 제목에서부터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프랑켄슈타인걸리버 여행기유토피아, 1984 등의 문학 작품에서 찾을 수 있는 과학의 모습들도 흥미로웠지만 무엇보다 흥미로웠던 부분 중 하나는 사이보그에 관한 내용이었다이 부분은 들어가는 첫 문구부터 상당히 강하게 다가왔다.

 

요즘은 사이보그로서의 인간이 예상 외로 많다.(p.219)

 

이해하기 힘든 이 말은 다음 문장을 읽으면 바로 이해가 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심장박동기를 장착한 인간이다.

 

그 후 저자는 600만불의 사나이소머즈 등을 예로 들면서 인간과 사이보그의 경계가 무엇인지에 대한 화두를 독자에게 던진다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사회에서 인간과 사이보그를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을까앞에서 설명했듯이 우리 주변에 이미 사이보그로서의 인간이 적지 않은데....

 

과학은 우리의 삶과 동떨어진 채 어딘가에 별도로 존재하는 무언가가 아니다일상 속에서 우리와 함께 나아가는 우리의 삶 그 자체이다우리가 제대로 알지 못했을 뿐이다책 제목처럼 과학은 이미 크로스 사이언스라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