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켄지, 경제상식 충전소 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CEO 켄지 - 서른여섯, 침몰 직전의 회사에 올라타다
사에구사 다다시 지음, 황미숙 옮김 / 오씨이오(oceo)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망해가는 회사를 살리는 전문가가 쓴 소설이다. 일본 최고의 기업회생 전문가이자 현직 CEO인 저자는 자신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한편의 소설에 담은것으로 소설의 그 내용의 중심에는 턴어라운드 경영의 한 예가 담겨있다.소설의 내용은 대기업에서 근무하던 일개 과장에 불과하던  켄지가 도산 지경에 처한 소규모 회사에 뛰어들어 칠전팔기 끝에 어엿한 경영자로 변해가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장수를 소망하지만, 사람이 영원히 살 수는 없는 법으로 사람에게는 수명이 있다.
기업도 마찬가지이다.기업은 조직에 의해 움직이는 만큼, 잘만 한다면 사람의 수명보다 오래오래 유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대체로 기업수명이 사람의 수명보다 짧은 것을 보면, 기업이라는 법인의 존속 및 발전이 얼마나 어려운지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소설처럼 이야기를 써 나가다가, 중간중간에 도표 등을 통해 경영이론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데 이런 이유로 소설이지만, 시사점이나 조언에 걸리면 한 차례 더 음미를 해야 하니까 쉽게 읽어내려가기는 어렵다.
저자는 경영이 어떤 것인지 손에 잡히듯 생생히 묘사하고 있다. 회사는 종업원들과 운명을 같이 하는 한배를 탄 사람들이다. 망망대해에서 배를 운행하는 선장의 역할을 하는  CEO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거리를 던져주었다. 회사가 어려울때면 빛을 발휘하는  'Turn around' 전략은 이 시간에도 위기속에서 탈출구를 찾고 있는 기업들에게 한 가지 희망이 될 수 있는 방안임에는틀림없다.  켄지는 누적된 적자의 원인이 영업부·제조부·개발부 사이의 의사소통 부재로 원가 산정이 주먹구구식인 것을 발견한다. 직원 41명의 작은 기업에서조차 의사소통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사옥을 매각해야 하지만 그곳은 회사가 태어나고 자란 곳으로 직원들의 사기가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
3년 만에 적자에서 탈출한 회사는 다시 3년 동안 초고속 성장을 이룬다. 이때 저자는 CEO가 성공에 도취됐을 때의 부작용을 경고한다. 너무 빠른 성장으로 조직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삐걱거리게 되는 것. 켄지는 회사에서 손을 떼라는 자이쓰 회장의 말을 들은 후에야 비로소 성숙한 경영자로 거듭나게 된다.
 CEO에 대해 직장인들이 관심을 갖는 이유는 CEO형 인재로 스스로의 역량을 키워 생존 경쟁력을 키우려는 목적일 것이다. 이럴 때 CEO에 대해 ‘유사 체험’해 보면 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책으로 리더의 ‘차가운 전략적 기법’이 어떻게 ‘뜨거운 집단’을 만들어내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주인공 켄지를 지켜보면 경영자가 갖춰야 할 마인드와 판단력, 경영전략의 룰을 습득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경영은 차가운 것이지만 때론 훈훈한 감동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내용들이어서 자신이 다니는 회사의 경영자의 유형에 대해 또 동료들과의 관계나 거래처등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비교해볼 수도 있을것 같아 어려운 시기에 회사의 경영에 대해 고민하고 그 탈출구를 찾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