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 - 김훈 장편소설
김훈 지음 / 학고재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맨 첫 장 <선비>에서 눈에 띈 것이 공간성이었다. 워낙 대비되게 써 놓아서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 정약종이 칼을 받을 때, ‘하늘을 바라보며 누워서 죽게 해달라고 요청했다.’는 문장과 흑산 가는 배 타기 전에 사람들이 찾아낸 죽은 거지 여자아이. ‘얼굴은 물 쪽에 처박혀 보이지 않았고’라는 문장. 정약전이 흑산을 향한 돛배에 타서 바다를 바라보니 ‘물과 하늘 사이를 바람이 내달렸다.’는 문장에서. 수직의 선을 기준으로 위와 아래를, 수평의 선을 사이에 둔 전경과 배경의 흐릿한 경계를… 이는 자연스럽게 하나의 알레고리를 떠올리게 했다. 천주교도의 믿음과 백성들의 참혹함, 산 자의 막막함 같은 것들 말이다.



처음에는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다. 원래 소설을 읽으면 대개 화자(작가)가 신경 쓴 묘사나 대사 같은 것들이 눈에 띄기 마련이고 또 나 스스로도 그런 것에 감응되기 마련인데, 어쩐지 이 소설에서 내가 감응 받은 것들은 저자가 신경이나 썼을는지 모를 그런 것들이었다. 흑산으로 유배를 떠나는 정약전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는 <선비>에서, 돛배가 뜨기 전날 ‘물소리에 실려서 정약전의 의식은 먼바다로 흩어졌다. 정약전은 불려가듯이 잠들었다.’라는 문장이 아주 선명하게 다가왔는데, ‘불려가듯이’라는 말이 애초에 내가 품고 있던 ‘과연 정약전은 진짜로 천주교를 배교한 것인가?’ 라는 의문에 해답처럼 주어진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실제 그런지 아닌지는 모르겠고 소설 안에서도 그런지 아닌지 알지 못하겠다. 그런데도 나는 그 ‘부른 이’가 천주가 아니었을까 하고 생각 했더랬다. 그러자 정약전의 진실이 바로 목전에 보이는 것 같았다. 마부 마노리에 대해서도 ‘마을과 마을 사이에 길이 있어서, 그 길을 사람이 걸어서 오간다는 것이 마노리는 신기하고 또 편안했다.’라는 문장에서 ‘편안했다’가 또 그렇게 와 닿았다. 너무나 자연스럽게 천주교를 받아들이게 되는 마노리라는 한 인물의 천성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육손이> 장에서 신접살림을 차리게 된 황사영과 그의 처 명련(정약전의 조카)이 밤일에서 ‘제 몸의 기쁨으로 남자의 기쁨을 빨아들였다.’ 라는 문장 또한 ‘빨아’라는 어감에서 느껴지는 젊음의 신선함과 적극성이 명련을 지금 살아 숨쉬는 존재로 다가오게끔 만들었다. 이런 식의 표현들이 소설 전체 여기저기서 출몰한다. 인물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흑산, 하늘, 바다, 강물 같은 것들에도 똑같이 해당됐다. 처음에는 의심했지만 읽을수록 확실해졌다. 어떤 의도가 있을 것이었다. 그것은 저 공간성과도 떼어놓고 생각할 것이 아닌 것만 같았다.



<<흑산>>은 한 명의 주인공이 있는 소설이 아니다. 마노리, 문풍세, 박차돌, 황사영, 오칠구, 육손이, 창대, 아리, 강사녀, 길갈녀, 오동희, 순매, 조 풍헌, 박한녀, 오호세. 이 모두가 주인공들이다. 이 소설에서 중요한 것은 이들을 피지배층이니 학대 받는 자들이니 하는 식으로 묶어서 부르지 않는 것이다. 이름으로 불려져야 한다. 분류된 개념어로 호명하는 것이 몹시 꺼려진다. 독자들 각자가 가장 가슴에 와 닿는 사람들을 보면 그뿐이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나는 이들 중에서 박차돌과 문풍세가 가장 와 닿았다. 박차돌은 삶의 비극성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풍세는 진실한 영웅의 면모를 보여주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특히 그랬다. 생각해 보니 이 둘은 가장 소설적인 인물이기도 하다. 마노리도 문풍세와 더불어 흥미롭다. 각자의 직업이 마부와 사공이라는 점도 그렇고 마노리가 의주와 서울을 연결하고 문풍세가 육지와 흑산을 연결한다는 점에서도 그랬다. 처음부터 공간성이 와 닿았던 소설이라 그런지 그들이 소설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예사롭지 않다. 전령의 역할을 하는 천사의 환생 같다는 생각을 했다. 좀 유치하긴 하지만. 어쨌든.



참게와 고등어와 날치도 빼먹을 순 없겠지. 많은 이들이 <<흑산>>을 역사소설이라고 말한다. 광고 카피를 빌려 말하자면 이것은 <<흑산>>을 반만 아는 것이다. 절반 이하 일지도 모르겠다. 나머지 절반 또는 그 이상. <<흑산>>은 지리소설이다. 예부터 지리에는 동물, 식물, 광물, 날씨, 풍토 같은 것들이 모두 포함된 것이었다. 각종 물고기에 대한 묘사가 구석구석 자리잡고 있는 것을 굳이 얘기하지 않아도, 이름의 분명한 호명(주요인물들을 ‘그’라든가 ‘그녀’라고 말하지 않는다. 이 소설에서는), 인물만큼이나 주어 역할을 많이 하는 산, 섬, 하늘, 강물, 바람. 첫 장부터 등장하는 비상한 공간성. 이런 것들은 역사에 포함되어 있다기 보다 지리의 영역으로 보여진다. 왜 이런 방식이어야 했을까? 나 개인적으로 역사책이나 역사소설, 평전(전기)류를 좀 싫어하기 때문에 오해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역사는 그 역사의 주된 흐름이라는 측면 때문에 소수의 몇 명 위주로 작성 되는 것이 보통이다. 왕이니 황제니 장군이니 학자니 하는 사람들. 피라미드가 누구의 무덤인지 확인할 수 있지만 피라미드를 짓다가 죽은 이들의 이름은 역사에 쓰여 지지 않는다. 역사는 정말 많은 것들을 배제해야만 앞으로 나갈 수 있는 장르다. 지리는 역사가 배제한 많은 것을 메워줄 수 있다. 책으로 쓰여진 역사들을 고고학이 때론 공격하고 때론 지원하듯. 그렇게 말이다. <<흑산>>은 지리가 역사를 보조하는 수준을 떠나 리드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의를 다투려는 목적을 갖지 않는다’는 저자의 말이 내겐 그런 뜻으로 들렸다. 판단을 통해 ‘인물’의 뒤나 위에 다른 말을 만들지 않겠다는 의지로 읽혔다. 이백여 년 전에 박해 받던 천주교가 오늘날 이런 위상이 된 건 모두 이와 같은 사람들 때문이다. 라는 식의 말. 그럼으로써 ‘이와 같은 사람들’로 묶여 싸잡아 배제되고 천주교만이 부각된다던가 하는 식의 것들. 개별의 실존 외에 덧붙일 것은 없다. 라는 느낌이랄까.


당면한 곳만이 삶의 자리. 라고 작가는 말한다. 참게도 고등어도 날치도, 사람도 마찬가지다. 그걸 느끼는 순간 우리는 들고 있던 판관의 의사봉을 자신도 모르게 내려 놓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2-02 10: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2-02 20:5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