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이 인정한 문제 있는 일반화를 고정관념이라고 한다.
가장 흔하게는 인종과 성별을 이야기할 때, 고정관념이 끼어든다.
이때 아주 중요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데, 엉터리 일반화로 생기는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잘못된 일반화는 무언가를 이해할 때 항상 생각을 방해한다.
간극 본능은 세상을 ‘우리’와 ‘저들’로 나누고, 일반화 본능은 유리가 저들을 더 똑같은 사람으로 생각하게 한다. - P209

광범위한 일반화는 좋은 의도라는 명분 뒤에 쉽게 숨을 수 있다. - P231

이런 본능 탓에 우리는 6장에서 소개한 거짓 일반화 또는 1장에서 언급한 그럴듯한 간극이 단지 진실일 뿐 아니라 운명이며, 따라서 변하지 않고 변할 수도 없다고 믿는다.
이 본능이 어떤 식으로 진화에 도움을 주었을지 생각하기는어렵지 않다. 역사적으로 인간이 살아온 환경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따라서 어떤 대상이 작동하는 방식을 터득한 뒤, 그것을 재평가하기보다 끊임없이 지속되리라 생각하는 게 분명 훌륭한 생존 전략이었을 것이다. - P2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들은 내가 그들이 몰랐던 거대한 발전을보여준다는 이유로 나를 종종 낙천주의자라고 말한다. 그럴 때마다 화가 난다. 나는 낙천주의자가 아니다. 순진한 소리나 떠벌리는 사람이 아니다. 나는 아주 진지한 ‘가능성 옹호론자‘다. 이는 내가 지어낸 말인데, 이유 없이 희망을 갖거나 이유 없이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 과도하게 극적인 세계관에 끊임없이 저항하는사람을 뜻한다. 나는 가능성 옹호론자로서 이 모든 발전을 바라보고, 앞으로도 더 발전하리라는 확신과 바람을 갖고 있다. 낙천주의가 아니라 상황을 명확하고 합리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며, 세계를 건설적이고 유용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 P100

나쁘지만 나아진다
부정적 뉴스를 볼 때 더 긍정적 뉴스로 균형을 맞추는 것은 해법이 아니다. 그것은 자신을 기만하고, 안심시키며, 반대 방향으로호도하는 편향일 뿐이다. 마치 설탕이 너무 많이 들어갔을 때 소금을 잔뜩 넣어 균형을 맞추는 것과 비슷하다. 좀 더 강렬한 맛을내겠지만 건강에는 좋지 못하다. - P1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들은 저마다 이 사회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생각이 다르고,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고자 데이터를 선별해서 해석한다.
정치인과 언론뿐만 아니라 여러 과학자도 마찬가지다. 정말로 불행한 일이다. - P67

여기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일까? 나는 게임과 협상에서 슈츠의 관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계산이 필요한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익일지 모른다. 그러나 게임 판에서 멀리 떨어져 바라볼 때에만 상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왜 그게임을 하고 있는지,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무언의 합의나 정직한 대화로 어떻게 불확실한 상황을 바꿀 수 있을지 물어야 한다. - P90

대개 이 믿음은 통시적이어서 본질적으로 과거부터 미래까지 퍼져 있다. 이를테면 열심히 일했으니 물질적 안정으로 보상받아야 하고, 파트너를 사랑하니 오랜 세월 함께해야만 하고, 끝까지 자녀를 돌봐야 한다는 믿음이다. 그런데 세상은 이러한믿음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아무것도 장담할 수 없다. 따라서 당신이 사는 이야기가갑자기 뒤바뀌어서 지금까지의 삶이 로맨틱 코미디가 아닌 비극의 서막이었음을 깨닫는 순간, 당신은 상실감을 넘어 서사적 분노를 느끼게 된다 - P104

"인간이란 얼마나 괴물 같은 존재인가!
이 얼마나 진기하고, 괴물같고, 혼란스럽고,
모순되고, 천재 같은 존재인가!
모든 것의 심판자이면서도 하찮은 벌레와 같고,
진리를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불확실함과 오류의 시궁창 같고,
우주의 영광이면서도 쓰레기와 같다."
블레즈 파스칼 - P117

우리는 개소리를 단순한 장난으로 치부하지만, 프랭크퍼트가 지적했고 지금 우리도 듣고 있는 개소리는 거짓말보다 더 많이 진실의 가치를 파괴하고 진실을 도외시한다. 거짓말쟁이는 계속 진실에 관심을 둔다. 그들은 진실을 파악하고 의도적으로 다른 말을 한다.
그러니까 프랭크퍼트의 말이 맞았다. - P1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루서 스피어는 이렇게 썼다. "조던의 재능 중 특히 양날을 지닌 재능은 자기가 옳은 일을 하고 있다고 자신을 설득하고, 그런다음 무한해 보이는 에너지로 목표를 추구하는 능력이다. (…) 그는 자신의 관용과 관대함을 자랑스러워했다. (…) 하지만 조던은파리 한 마리를 잡는 데 대포알을 쓰는 것도 마다하지 않았다. - P151

다윈은 간섭하지 말라고 특별히 강력하게 경고한다. 그가 보기에 위험한 것은 인간의눈에서 비롯된 오류 가능성, 복잡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우리의 무능력이다. - P188

내가 모델로 삼으려 했던 자는 결국 이런 악당이었던 것이다. 자기 자신과 자신의생각에 대한 확신이 너무나 강한 나머지, 이성도 무시하고 도덕도무시하고, 자기 방식이 지닌 오류를 직시하라고 호소하는 수천 명의 아우성-나도 당신과 마찬가지로 인간이요ㅡ도 무시해버린
‘남자. - P202

데이비드의 정서적 해부도를 쫙 펼쳐놓고 볼 때 가장 눈에 띄는 원흉은 그 스스로 상당히 자랑스러워했던 두툼한 "낙천성의 방패가 아닌가 싶다. 데이비드는 "자기가 원하는 것은 다 옳은 것이라고 자신을 설득할 수 있는 무시무시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쓴 루서 스피어는 그가 자기 자신에게 갖는 확신과 자기기만과 단호함이 세월이 흐를수록 더 강화되는 모습에 충격을 받았다. - P202

"내겐 그리 충격적이지 않네요." 내가 어류의 범주가 해체된 일에관해 숨 가쁘게 설명하고 나자 그가 한 말이다. 그것은 정확히 그가 자기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이기도 했다. 우리는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우리 발밑의 가장 단순한 것들조차 거의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 말이다. 우리는 전에도 틀렸고, 앞으로도 틀리리라는 것. 진보로 나아가는 진정한 길은 확실성이 아니라 회의로, "수정 가능성이 열려 있는" 회의로 닦인다는 것. - P2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는 코넬대학에 들어가 겨우 3년 만에 과학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런데도 직장을 구하는 데 애를먹었다. 대학들은 말쑥하게 타이를 매고 허세와 지시봉으로 강의실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사교적인 남자들을 찾고 있었다. - P32

마치 내가 살아오는 내내, 그 질문을 할 순간만을 열렬히 기다려왔다는 듯 아버지는 내게 인생에는 아무 의미도 없다고 통보했다.
"의미는 없어. 신도 없어. 어떤 식으로든 너를 지켜보거나 보살펴주는 신적인 존재는 없어. 내세도, 운명도, 어떤 계획도 없어. 그리고 그런 게 있다고 말하는 사람은 그 누구도 믿지 마라. 그런 것들은 모두 사람들이 이 모든 게 아무 의미도 없고 자신도 의미가없다는 무시무시한 감정에 맞서 자신을 달래기 위해 상상해낸 것일 뿐이니까. 진실은 이 모든 것도, 너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란다." - P54

언젠가 아버지와 내가 할머니가 계시는 양로원에 도착해서 출입문으로 들어서고 있는데 휠체어를 탄 노부인이 우리 앞길을 막아선 적이 있다. "속도 좀 줄이세요!" 아버지는 이렇게 고함을 치고는마치 그분이 자기를 치기라도 했다는 듯 바닥에 주저앉아 찡그린얼굴로 몸을 뒤틀어댔다. 나는 아버지가 너무 겁을 줘서 그 가련한노인이 말 그대로 죽어버리지 않을까 걱정되고 창피해서 온몸이움츠러들었다. 하지만 부인의 반짝이는 눈빛과 얼굴 가득 번지는미소를 보고서 나는 그분이 농담을 잘 받아들이는 분이라는 것을,
상대방의 농담을 농담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람으로 봐주는 사람들에 목말라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 P57

하지만 그가 유감을 품은 상대는 손쉬운 표적들에게서 돈을갈취하는 사기꾼이 아니라 손쉬운 표적이 되는 사람들이었다. 그렇게 허술한 사고, "진실이 아니란 걸 우리가 분명히 아는 것을 믿으려 하는"50 그런 사람들이 "우리 사회에 엄청난 고통"51을 초래한다고 그는 썼다. 바꿔 말하면 헛된 희망을 품는 뇌, 그러한 상상의비약에 취약한 뇌가 악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P88

그는 16세기에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사실을 믿었다는 이유로 화형당한천문학자 조르다노 브루노Giordano Bruno를 영웅으로 칭송했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화형을 당하기 전 브루노는 이렇게 일갈했다고 한다. "무지는 세상에서 가장 유쾌한 학문이다. 아무런 노동이나 수고 없이도 습득할 수 있으며, 정신에 우울함이 스며들지 못하게 해주니 말이다." 그리고 데이비드는 이 인용문을 독자들에게, 만약 그들이 행복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진실을 차단해버린 적이 있다면 그들 역시 브루노를 살해한 자들과다르지 않다고 경고하고 비난하는 데 사용했다. - P125

데이비드 스타 조던에 관한 논문을쓴 역사가 루서 스피어도 똑같은 현상을 눈여겨보았고, 데이비드가 자신의 이미지를 해칠 수 있는 정보는 교묘하게 편집하거나 삭제하는 재주가 있음을 포착했다. - P145

데이비드 스타 조던은 지속적으로 오만을 복용하는 것이야말로 실패할 운명을 극복하는최선의 방법임을 보여주는 증거인지도 모른다. - P1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