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의 노래들 - 80~90년대 한국 대중음악의 마스터피스
최성철 지음 / 뮤진트리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주의사항 : 이 책을 읽으려는 자, 책 속의 음악을 '꼭' 들어볼 것을 권함.(안 그럼 나처럼 됨)


이상한 달이다. 

바라지 않았음에도 여러 책들이 나를 일깨워주고 있다. 

어떤 식의 일깨움이냐?

한 마디로 이런 식이다.

"야, 너! 요즘 편독하는 경향이 생겼더라?"

 몰랐었다. 

나름대로 책을 가리지 않는 편으로, 두껍고, 얇고, 가볍고, 무겁고, 쉽고, 어렵고를 떠나 두루 읽을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 착각이었다는 걸.

 착각이었다. 어떤 책은 너무 읽기가 힘들었고, 어떤 책은 읽으면서도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결국 일종의 슬럼프 상태가 되어서 다른 책들마저 읽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청춘의 노래들>은 한참 그 격류의 여파에 시달리고 있을 때 읽기 시작한 책이다. 

운이 나빴다고 해야 할까? 

이 책 역시 읽는 게 수월하지는 않았다.


 무엇보다 먼저 알려주고 싶은 게 있다.

이 책은 표지에 적힌 것처럼 80~90년대를 관통하는 대중음악의 흐름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우리나라 대중음악이 뭐 별 것 있겠느냐? 하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게 그렇게 단순하지 않은 모양이다.

 지금의 아이돌만큼은 아니더라도 그 시대 역시 어느 시기를 대표하는 많은 뮤지션들이 있었다. 그들 한 사람, 한 사람의 이야기를 풀어 적으면 지금 이 책 한 권만큼씩은 될 것이다. 

 간단히 이야기하자면 이 책은 80~90년대 한국 대중음악의 '요약정리집' 정도가 될 것이다. 


 그 시기에 태어나지 않은 사람들은 거의 '전혀' 모를 것이고, 어린아이였던 사람들은 후반부에 등장하는 몇몇 뮤지션의 이름을 들어본 적이 있거나 리메이크된 노래로 접해본 적이 있는 정도일 것이다. 

 결국 이 책은 80~90년대의 중심이 됐던 사람들에게 가장 큰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책이 될 수밖에 없다. 

 태생적 한계라고 할까?


 문학에서도 느끼는 점이지만 지금 이 시대는 깊이보다는 면적에 더 치중하는 경향이 강하다. 결국 깊이 있는 음악에 대한 욕구도 그만큼 덜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이상한 일이다. 

흔해질수록 가치를 찾고, 진정으로 누릴 줄 아는 이들이 줄어드는 것은. 

몹시도 이상한 일이다.


 읽으면서 생각한 거지만 이 책은 후루룩하고 읽어 넘겨서는 그 가치를 알기 어려운 책인 것 같다. 소개하는 노래를 조금이라도 직접 들어보고 그 소개말의 의미를 찾아보는 과정을 거쳤다면 이 책에 대한 인상도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 

 책은 읽는 것이지 듣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하는 경직된 마음가짐이 즐거운 책 읽기를 포기하게 만들었다.

그러니 이 책을 읽게 된 이들이나, 읽으려는 이들이여, 이 책은 읽지 말고 들어보기를 권한다.



 짧게 어떤 사람이 읽으면 좋을지, 어떻게 읽으면 더 재밌을지만 적고 다시 짧은 감상을 적으려고 했건만 어쩌다 보니 구구절절 여러 말을 늘어놓고 말았다. 

 앞에서도 적었듯이 슬럼프였다. 이 책을 읽으며 이런 생각을 했다. '저자는 뭔가 열심히, 심취하여 곡의 가치를 설명하고, 뮤지션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며 여러 수식어들로 화려하게 치장하고 있는데 와 닿지를 않는구나.' 하고 말이다.

 잔칫집의 번지수를 잘못 찾아온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름조차 모르는 뮤지션이 대부분이고, 특별히 좋아하거나 알고 있는 뮤지션도 거의 없었기에 더욱 그랬을 것이지만 공감하기 어려운 뜬구름 잡는 이야기만 같았다. 

 그러면서도 읽고 있는 자신이 한심스러워 몇 번이나 읽기를 그쳤다가 다시 집어 들고는 했다. 그렇게 며칠이 걸려서 겨우 읽을 수 있었다.


 역시 결론은 이 책은 읽는 데 써서는 안 된다는 거다.

이 책은 음악을 '듣는 데' 써야 한다. 

 소개하는 가수가 누구인지 몰라도, 그 노래가 어떤지 들어보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었는지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한 시대를 주름잡았던 대중음악의 마스터피스라면 그렇게 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얼마 전 혹평한 책이 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책의 쓰임을 오해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과 함께 경솔했구나 싶은 생각도 든다. 하지만 후회라고 적고 싶지는 않다. 그것이 내가 느낀 인상이었고, 어쩐지 그렇게 적어둔 견해에 동의해서는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음악을 책으로 한 책이다.

역사도 책이 되고, 정치도 책이 되고, 경제도 책이 되며, 사랑조차 책이 된다. 

이 각각의 책들은 그 쓰임 역시 제각각일 것이다. 그래야 할 것이다.


 2016년 1월 몇 권인가의 책을 읽으며 협소해진 시야와 좁아진 마음 길을 깨닫는다. 

균형을 잡아야겠다. 다시 마음도 다잡아야겠다.


 정리하자면 이 책은 80~90년대 대중음악에 관심이 있고, 조금이라도 이해가 뒤따르는 사람들이 읽었을 때 가장 쉽게 공감할 수 있을 만 한 책이다. 

 다음으로 최근 방송과 가요 프로그램을 통해 재해석되고 다시 불리고 있는 예전 노래가 마음에 든 사람들이 그 노래들과 함께 읽으면 더 많은 노래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책이다.

 그 시기를 살지도 않았고, 대중가요에도 관심이 없다면 애석하지만 이 책을 읽어도 별다른 즐거움을 느끼기 쉽지 않을 것이다. 


 이 책 속의 행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저자가 소개하는 뮤지션과 곡을 알아야 하고, 최소한의 이해가 전제되어야만 한다.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한 책은 관심 있는 사람들만 읽어도 되는 것 아닐까?

 나처럼 무리인 줄도 모르고 덥석 읽었다가 쑥스러운 처지에 놓이고 마는 일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이것 참, 쑥스럽구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01-26 08: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편독이라 생각하지 말고 선택과 집중이라 여기시면 되지 않을까요.
어차피 세상에 나온 책 나올책 다 못보거든요.그러니 책도 자기 스타일에 맞게 볼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죠.

대장물방울 2016-02-02 19:02   좋아요 0 | URL
^^ 좋은 조언 고맙습니다.
그렇게 생각할게요. 하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