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국으로
나서영 지음 / 가나북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다. 삶과 죽음에 대해 벗어날 수 없으며, 항상 흔들리고, 고통스러워 한다. 예기치 않은 상황이 불러오는 절망과 비극에 대해 속수무책이 되어가는 인간의 존재,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인간은 점점 더 자신의 나약함과 마주하게 된다. 작가는 그런 인간의 존재론적인 취약함을 소설 속에 드런내고 싶어 헸으며, 인간이 추구하고 싶어 하는 사랑에 대해서 정수와 지승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인간의 이중적인 모습 속에 숨어있는 사랑의 본질이 영원하지 않으며, 언제나 깨질수 있다는 걸 가상의 인물 지승과 정수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소설 속 인물 정수는 미술이 전부인 인생을 살아가고 있다. 미술을 통해 자신의 색깔을 드러내고 있으며, 국전에 매년 자신의 작품을 내지만 번번히 퇴짜였다. 정수에게는 변태 성욕자라는 꼬리표가 따라 붙었으며, 팔각정 천장에서 누군가를 엿보는 악 취미를 가지고 있다. 아무도 알지 못하는 그 은밀한 곳에서 다른 남녀의 사랑을 엿보면서 자신이 가지지 못한 욕구를 채워 나가려는 정수의 마음, 그가 이런 행위를 하는 건 누군가의 사랑에서 비롯되었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중학교 국어교사 이지승. 정수는 지인의 추천으로 지승이 다니는 학교에 미술강사로 부임하게 된다. 미술실 한켠에 자신의 작품을 내걸면서 몰래 지승을 관찰하고 있는 정수는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미술 작품을 보여주고 때로는 그것을 선물로 주곤하였다. 지승은 그런 정수의 모습에 점점 빠져 들었으며, 두 사람은 시화전을 준비하게 된다. 이런 가운데 학교 교감 선생님의 멸시로 인해 정수는 학교에 나올 수 밖에 없었고, 그걸 바라보는 지승의 내면을 엿볼 수 있다. 일개 교사였던 지승은 정수가 내쳐지는 것에 대해서 아무것도 할 수 없었으며, 그 불완전함과 나약함이 두 사람의 사랑으로 이어진다.


절망이었고 비극이었다.학교에 나왔던 정수는 그럼으로서 지승과 함께 할 수 있었다. 정수가 사라진 미술실은 또다른 미술강사로 채워졌으며, 그 곳에 지승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은 없었다. 시화전을 준비해야 했던 지승은 정수와 함께 하였으며, 두 사람은 점점 사랑에 빠져들게 된다. 불완전한 존재와 또다른 불완전한 존재가 만나 완전함으로 나아가는 건 어쩌면 그들의 욕심이었다. 지승이 가지고 있는 옛사랑에 대한 기록들은 정수에게 있어서 견딜 수 없는 욕망을 부채질 하였으며, 지승에게 자신을 채워줄 무언가를 요구하고 있다. 자신이 알고 싶어했던 질문에 대한 끊임없는 요구, 그럼으로서 그들은 신을 갈구하였으며 절망과 우울함으로 이어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