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의 발견 - 공자에게 길을 묻다 뉴아카이브 총서 5
장주식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 해당 도서는 출판사에서 제공된 도서입니다. >

 

논어.. 사극을 보다보면 논어를 배웠다고 말하는 사대부들을 볼 수가 있었는데요..

옛 사대부들이 공부했던 학문이니만큼 논어라고 하는 학문은 쉬운 학문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에

책을 읽기전부터 겁이 났었는데요..

시대의 흐름에 맡게 논어를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다고해서 너무 읽어보고 싶었습니다.

논어에는 언어, 인, 나눔, 친구, 정의, 관계의 모든 학문을 배울 수가 있는데요~~

논어를 읽고나면 인간관계가 새로와지고 그동안의 사고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있다고 하는데요~

공자에게는 증삼과 자공이라는 두 제자가 있었는데요..

내려오는 논어 책에서는 증삼과 자공 그리고 공자가 나눈 이야기를 똑같은 내용이었다고 이야기를 하지만

사실 논어를 제대로 읽어보면 서로 다른 내용이라고 합니다.

공자가 두 제자에게 건넨 질문은 똑같지만 두 제자의 나이와 식견이 다르기에

질문에 대한 답도 다르게 해석을 했고 그에 따라 공자가 답한 내용도 다른데요..

이처럼 학문을 번역한 책들은 작가의 주관이 개입되기도 하고 내려오는 과정에서 변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제대로된 논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원본을 그대로 보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공자는 자신의 제자에게 가르치는 내용을 그대로 자식들에게도 가르쳤다고 하는데요..

이는 모든 제자를 내 자식과 똑같이 생각하고 가르쳤다는 것이 아닐까요..

다들 내 자식에게 조금이라도 더 주고싶어하는 마음이 잘못됨을 알려주는 것 같습니다.

모든 사람들에게 동등하게 대해야한다는 것이겠지요..

옛 선인이라 불리었던 공자는 마음가짐과 행동이 항상 일치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칭송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머리도 생각하고 마음에 담고 실질적인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하랑천사에게는 정말 배울 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오직 인자라야만, 사람을 좋아하고 미워할 수 있다.. 라는 말의 속 뜻은

무엇일까요.. 사람들에게 차별화없이 동등하게 대해야한다는 것이 아닐까싶습니다.

사람들의 겉모습을 보고 성급하게 판단을 내리는 우리들에게 마음속 깊은 곳까지 우러러 볼 수 있는

심미안을 가지라는 말이 아닐런지~~

어렵다고 느꼈던 공자의 가르침을 쉽고 편안하게 배울 수 있어 너무 큰 도움이 되었던

도서가 아닐런지 싶습니다.  

현재의 관점에서 새롭게 읽는 고전인 논어..

옛 선인들의 지혜와 가르침을 번역하는 이의 왜곡을 최대한 줄여 원본 그대로를 현 사람들에게

잘 전달하여 공자의 실질적인 가르침이 무엇이었고 숨은 속뜻이 무엇인지를

읽는 이가 자신의 생각을 반영하여 잘 파악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