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찰스 사치, 아트홀릭 - 우리 시대의 가장 독보적인 아트 컬렉터와의 대화
찰스 사치 지음, 주연화 옮김 / 오픈하우스 / 2015년 5월
평점 :
품절


예술이라는 영역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은 이러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분들과 함께 다양한 작품을 보고 싶어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을것이다. 예술적인 감각을 통해서 창조성을 발휘한다고 하면 활동하고 있는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줄수가 있을것이고 이러한 것을 토대로 상업적인 부분에 까지영역을 넓힐수가 있을 것이다. 찰스 사치는 자신의 자아와 성격이 강한 스타일이다보니 대중들과의 인터뷰나 개인적인 생활에 대해서 알수 있는 기회가 많이 없었는데 이 책의 주요 내용들은 인터뷰를 하는 식으로 찰스 사치의 다양한 생각에 대해서 알수 있는 시간이었다.


 우리가 평상시에 찾을수 없는 가치에 대해서 예술작품을 통해서 이러한 감수성을 충족하고 자아성찰을 하는 것 처럼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 하는 물건들과는 다른 가치가 있기 때문에 찰스 사치와 같은 분들이 이 분야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면서 지속적인 가치를 쌓을수 있다. 현대시대의 미술을 흐름을 이끌어가고 있기 때문에 그가 생각하는 미술의 본질적인 부분들과 예술에 대한 감수성이 궁금해지는 부분이었다. 단순하게 재능이 있다고 해서 좋은 작품이 될수 있는것이 아니라 예술적으로 가치를 높게 평가를 받는것 또한 운적인 부분이 상당히 많이 필요로 하다는 중요한 부분이었다. 현대예술품의 경우에는 시각화된 내용들이 매우 추상적이기 때문에 다들 비슷하게 생각되는 부분이 많아지는데 아주 작은 부분에서 작품의 가치가 결정이 되는것인데 인터뷰의 내용도 예술적으로 표현 된 부분이 적지 않아서 예술에 약간은 문외한 나로서는 어려운 내용도 상당히 많았다.


 찰스 사치의 예술적인 감각뿐만 아니라 평소에 위생관리를 잘하는지, 인종차별을 하는지, 좋아하는 배우는 누구인지에 대해서 종종 이야기를 하면서 개인적으로는 자신의 개성이 나름 강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예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기본적인 특징이라고 생각이 되지만 차별화되는 부분을 다른사람들과는 다른 영역에서 발견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그의 인생에서는 어느정도는 익숙하게 만들어진 성격이라고 본다. 예술계에서는 명성이 높고 경제적으로도 부유한 찰스 사치라도 소박하게 꿈꾸는 것은 일반사람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들면서 내면의 모습들은 예술의 독특함이 아니라 평범함을 추구하고 싶었던 그의 인생을 볼수가 있었다.


 조용하게 인터뷰를 진행하면서도 편하게 읽을수 있었던 내용인만큼 예술에 대해서 조금은 이해하고 작품을 비교하고 현대예술작품의 가치에 대해서도 생각해볼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칸디맘 - 헬레나의 북유럽 라이프스타일
헬레나 슈츠 지음, 홍유진 옮김 / 미메시스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표지부터 아주 밝고 이쁜 느낌이 든다. 노르웨이에 살고 있는 헬레나 슈츠 디자이너가 자신이 살고 있는 북유럽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해서 글과 사진으로 가족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행복의 가치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게 한다. 일상활속에서 느끼는 가정생활은 우리나라와 별 다를것은 없지만 자연환경과 함께 자녀들을 키울수 있는 여건이 다른 곳에 비해서 좋은 느낌이 들엇다. 휴가나 의료보험과 같은 복지적인 혜택과 함께 여름에는 긴 시간을 휴가를 떠날수가 있어서 삶의 여유를 가지고 살아갈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는 곳에 대해서 부러움이 느껴지기도 했다.

 

 SNS를 통해서 자신의 일상을 기록하고 사진일기를 쓰는 사람들도 많이 생기면서 자신의 일상생활에 대해서 사람들과 교류하고자 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어서 책에서 나오는 내용들이 아주 특별하게 심오한 이야기가 아닌 그곳에서 사는 이야기라고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더욱 공감을 할수가 있었던것 같다. 아이들이 자라나면서 성장을 하는 모습들은 부모들에게는 더할나위 없는 아주 큰 기쁨과 행복이라고 할수 있기에 사랑과 관심을 통해서 자라나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은 행복감을 주기에 충분한것 같다.


 빠르게만 달려왔던 우리들의 일상생활과는 달리 시간을 여유있게 보내는 스칸디맘의 모습을 통해서 산책을 하면서 여가를 즐기고 함께 여행을 통해서 새로운 풍경을 보고 느낄수 있는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감수성을 불러 일으키는데 충분한 역할을 할수 있을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책에서 보이는 밝은 느낌의 사진들은 보고 있기만 해도 기분을 리프래시 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어서 사진책처럼 보고 느기는 것도 좋은 감상이 될수 있어 보인다. 누군가에는 이러한 방식이 꿈꾸는 삶이 될수 있지만 일상에서 조금의 여유를 통해서 우리도 즐겁고 밝은 기운의 삶을 살아갈수 있다고 본다. 행복한 여정의 북유럽 라이프스타일과는 다르겠지만 자신만의 방법을 꿈꾸어 보면서 책에서 본 북 유럽의 여행을 마치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
이어령 지음 / 열림원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자신의 가족과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는 것은 인생의 슬픔중에서도 가장 큰 영역에 들어갈만한 비극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대상이 사랑하는 자식이었다고 한다면 부모의 입장에서도 함께 있는 동안에 잘해주지 못했던 것에 대해서 아쉬움을 넘어서 연민을 느끼게 하는 부분이 있다. 우리들에게 가족과 함께 보내는 일상적인 삶의 모습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게 한다.


 이어령 선생님은 우리나라의 지성을 대표하면서 창조의 아이콘으로 다양한 이야기를 의미있게 전달을 해주고 있는데 그동안 이야기들이 세상의 만물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 대해서 통찰력있는 글을 보여주셨다고 한다면 이 책의 내용은 딸에게 조용하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와 함께 선생님 자신에 대한 모습에

대해서도 다시 바라볼수 있는 에세이 같은 느낌이었다.


 손에 쥐고 있는것이 사라졌을때 느끼는 허무함은 말로 표현할수 없을 정도로 깊어지게 되는데 딸을 잃고 나서야 다시 딸을 얻을수 있었다는 역설적인 표현은 그동안의 아버지로서의 부족한 역할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았던 계기가 된 것 같다. 딸의 탄생을 통해서 가족을 이끌어가야 하는 아버지의 역할을 하게 되었지만 책속에 살고 글속에서 꿈꾸고 젊은날의 선생님의 모습은 문학청년의 모습으로 그렇게 시절을 보내왔던것 같다.


인간의 유한성에 대해서도 우리가 생각을 해야 하지만 결혼을 해서 자식을 낳고 이러한 과정에서 사랑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새롭게 배우고 가족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서 다시 생각을 해보는 계기가 된것 같다. 딸이 아버지, 어머니께 보내는 편지와 함께 서로간의 마음을 주고 받은 편지 내용을 보면서도 감성이 묻어나있는 내용들과 함께 멀리 떨어져 살아온 시간이 길었지만 가족간의 끈끈한 마음과 애정을 느낄수가 있었다. 가까운 가족들과 자식들에게도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있는 부모님과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항상 좋은 마음으로 애정을 다해서 좋은 시간을 가져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몸과 마음을 살리는 행복공간, 라운징
이상현 지음 / 프런티어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상생활속에서 내가 숨쉬고 여유를 부릴수 있는 공간이 한번쯤은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할때가 많다.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휴식을 취하고 재충전을 하는 생활이 우리들의 일상생활이지만 이것도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바쁜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는 자기가 마음놓고 쉴수 있는 공간쯤은 하나씩은 꼭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을 해본다.


 지인들의 집을 방문하면서 느끼는 점 가운데 자신의 삶을 조금 더 여유있게 살아가시는 분들은 집안에도 자신이 생각할수 있는 공간, 차를 마실수 있는 다도방들이 있어서 단순하게 잠을 자고 밥을 먹는 공간과는 또 다른 느낌이 들었다. 육체적으로 푹 쉬는 것이 필요로 하지만 정신적으로 지쳐 있는 우리들에게는 이러한 부분에 쉼이 필요로 한데 꼭 집에서만 휴식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활동과 취미를 가지면서 이러한 부분에 만족감을 더욱 높여가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것이다.

 책에서 말하고 있는 제3의 공간에서 우리가 일과 가정을 떠나서 좀 더 다른 나를 만나볼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가질수아 있는데 집이 아니더라도 자신이 편하게 여정을 풀수 있는 공간과 활동에 대해서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보면서 가끔씩은 쉬어가는 시간을 마련하는것도 필요로 하겠다.

 

 이러한 행복공간 라운징을 자신이 직접 제작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자신이 이상적으로 꿈꾸는 주택을 짓거나 내부 인테리어를 새롭게 하는것도 이러한 부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규격적인 모습이 아닌 자연과 하나된 모습과 함께 평소에 생각하지 못했던 곳에서 휴식의 진정한 묘미가 발생이 될수 있으니 공간감각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다고 하면 자신의 이상향으로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서 상상을 해봐도 좋은 소재가 될 것 같다. 때로는 내가 살고 있는 집에 이러한 공간이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어떠한 시각적인 디자인으로 만나게 되면 무엇인가 마음이 통했는 것 처럼 아주 반가운 마음을 가진적이 많이 있었던 경험이 있다. 실내의 다양한 공간적인 구조를 보면서 우리가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배치가 있을수 있고 자주 찾아가는 마트나 재래시장에서도 이러한 라운징의 즐거움을 경험할수도 있을것이다.


 다른사람은 잘 인식하지 못하지만 내가 편안하게 활동할수 있고 생각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한다면 자신의 상상력과 지혜를 더욱 풍부하게 할수 있을것이다. 누군가는 미술관, 박물관이 될수도 있고 조용한 카페가 될수도 있기 때문에 자신이 활동경험을 통해서 좋은 라운징의 공간을 찾아보면 좋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떻게 의욕을 불태우는가 - 이나모리 가즈오
이나모리 가즈오 지음, 양준호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의욕을 높이 세워서 자신이 하는일에 매진을 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사회생활과 자신의 일상을 가꾸어가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부분이 상당히 많다. 저자이신 이나모리 가즈오는 일본의 유명한 기업인 교세라의 창업자이자 많은 경영도서를 통해서 기업과 관리, 조직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해서 다양한 경영원칙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

책 제목처럼 주요한 내용들은 회사를 움직이는 리더나 경영자의 입장으로 조직원들을 어떻게 하면 함께 가는 길로 만들어갈수 있을지에 대한 내용이다. 경영자는 직원들이 열심히 일해주길 바라고, 직원은 반대로 회사에서 많은 수준의 복리와 급여를 생각하는 부분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완벽한 회사는 없겠지만 적어도 조직원들에게 의욕을 불러 일으키게 할수 있는 자발성을 발휘할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게된다.


취업준비를 하던 시절에는 면접을 보기 위해서 준비하는 회사에서 대해서는 아주 잘 준비하고 입사를 하면 무엇이든지 다 할것같은 열정을 가지지만 그곳에서의 생활이 또 익숙해지게 되면 의욕적인 부분이 점점 사라지게 되는 현상을 종종볼수가 있다. 모든 근무환경이 이러한 분위기를 가지는것은 아니지만 자신이 어떠한 일을 맡아가면서 할수 있는지에 따라서 충분히 달라질수 있는 부분이라고 본다. 기본적으로 주인의식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게 되는데 내가 일하는 이 공간이 내가 가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조금 더 능동적인 생활을 할수가 있을 것이다.

직원들에게 어떻게 의욕을 불러일으킬까에 대해서 7가지 강력한 방법을 책에서 제시를 하고 있는데 모든 부분들이 우리가 일하는 일상의 공간에서 실천을 해봐야 할 내용이지만 비전에 대해서는 회사가 가지고 있는 비전과 함께 개인이 함께 추구하고자하는 방향이 일치할수 있도록 회사에서 많은 기회의 제공이 필요로 할 것이다. 누구나 조직원들은 성장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즐기고 이러한 과정에서 자신의 잠재적인 의욕부분까지도 발산이 될수 있을것 같다.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회사가 이러한 개인의 장기적인 발전방향까지 커리어 로드맵을 통해서 마련해줄수 있다고 한다면 외형적인 수준을 넘어서 조직원들이 이에 대한 만족감은 더욱 커질수 있다고 본다.


직원들과 함께 업무를 영위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다양한 일들에 대해서 매몰적인 방법으로 가는 것이 아닌 동길감이 느껴질수 있는 일의 선순환을 통해서 누구든지 다양한 업무에 조화가 될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로 하겠다. 구성원사이의 조직이라는 하나의 둘레가 있기 때문에 이곳에서 해결을 해야 할 문제에 대해서도 충분히 더 고려를 해봐야 할 것이다.

의욕이라고 하는 부분에 대해서 직원들이 발산할수 있도록 회사와 경영자는 훌륭한 조언의 역할을 해주는 것이 최선인데 이러한 방향성에 대해서 고민이 될때에는 책의 내용을 참고해보면 도움이 될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