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해
임성순 지음 / 은행나무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미난 이야기를 기대했었다. 유쾌한 웃음을 기대했었다. 작가의 전작을 읽고 나는 그런 꿈을 꾸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극해]는 무게감이 무거운 소설이었다. 해양 사고 사례를 듣고 이야기를 만들었다는 작가의 작품 속에는 진지하다 못해 김윤석, 하정우 같은 배우들이 등장해 거칠게 서로의 생명을 두고 싸움박질 할 것 같은 느낌을 자아냈다.

 

유키마루는 피로 물들었다. 처절한 인간사투의 장처럼, 투견이 아닌 투인의 장처럼 변해버린 무간지옥. 사람과 사람이 아니라 짐승들이 모여 싸움박질을 벌인 그 참혹한 광경이 글을 지나 눈으로 내게 흡수되기 시작했다. 잔인했다. 참혹했다. 그리고 슬퍼졌다. 난간도 갑판도, 사람들도, 온통 피투성이였지만 그들은 모두 이내 파도에 휩쓸려 버렸다. 이리 될 것을 왜 그들은 서로를 뜯어먹지 못해 안달했던 것일까.

 

p. 298  왜 그랬던 거야? 도대체 왜?

           약자를 잡아먹는 것은 죄가 아니잖아요.

 

동물의 세계에서는 그럴지도 모른다. 생존의 현장이니까. 하지만 사람의 세계에서 그가 한 행동은 범죄 그 자체다. 인육을 먹다니......!너무 잔인했지만 그에게도 트라우마가 있었다. 약육강식. 사람의 세상에서 멀어져 바다라는 자연에 짐승같은 남자들만 우글우글 집어넣고 법대로 살아라라고 말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지도 모른다. 단절된 동안 완전 무림 세상일 그 곳의 일을 뭍에 사는 우리들은 알 길이 없으므로. 하지만 조선 놈들이 우리 지배를 받는 것도 다 자연의 이치라고 하는 부분에서는 양 주먹에 힘이 불끈 쥐어졌다. 책에서처럼 살인의 동기는 중요하지 않았을지 모른다. 그저 혼자 있는 먹잇감을 사냥해서 맛나게 먹었을 뿐이었을지도. 하지만 그의 살인이 당연한 포식으로 이어진데서 비극은 시작되었다.

 

p302 두려워하지 마세요. 당신도 틀림없이 맛있을 겁니다.

 

누가 그를 그렇게 만든 것일까. 그를 범했던 선원들이? 아니면 그를 조롱했던 일본인들이? 아니만 바다와 그 자연들이? 어쩌면 그 모두가 그를 미치게 만들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어쨌든 그에게서 벗어난 일등 항해사는 살아남았다. 칠레 선원들에 의해 구조되면서 유키마루와 멀어졌다. 조난이 구원이 된 것이었다.

 

하지만 끝난 것이 아니었다. 작가후기에서 언급된 것처럼 타인의 인권 따위는 침해해도 상관없다는 식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어 또한 그들이 인정받고 유능하다는 소리를 내뱉는 세상에 우리가 내던져져 있어 비극은 우리에게도 그에게도 아직 종결지어진 것은 아니었다. 다 읽고 나서야 일제강점기가 배경이 되어 있음을 실감했다. 그만큼 소설은 지금의 현실과 그리 동떨어져 있지 않았다. 그래서 더 끔찍했고 그래서 더 절망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