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징가 계보학 창비시선 254
권혁웅 지음 / 창비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과서에 실린 시를 제외하면 시를 접하는 게 거의 처음이라 긴장과 설렘이 뒤섞였다. 시를 쓰는 친구에게 부탁해 선물받은 이 시집은 굉장히 '서사적'이라 산문쪽에 관심이 있는 나에게 맞을 거라고 했다. 과연. 이 시집에는 산문시가 더 많았다. 그래서인지 생각보다 쉽게 읽혔다. 

   권혁웅이란 시인을 난 <두근두근>으로 먼저 접했다. 굉장히 재밌는 사람, 이라고만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 시집을 읽으면서 뼛속까지 시인인 사람이라고 느꼈다. 그가 말하는 언어는 너무 감미롭고 아름다웠으며 아이러니였다. 

  시집을 리뷰해본 적이 없기에 조심스럽긴 하지만 단편집 리뷰하듯 마음에 들었던 시 몇 편을 적어볼까 한다. 내가 소개하고싶은 시는 표제작인 <마징가 계보학>과 <독수리 오형제>다.

사내에게 역마가 있었다면 여자에게는 도화가 있었다. 

  <마징가 계보학>은 마징가z, 그를 이긴 그레이트 마징가, 그리고 짱가, 그랜다이져. 그 순서로 이루어져있다. 그냥 가볍게 읽어나가다가 마지막 그랜다이져에서 찡해져왔다. 그들이 거기서 세월가 계란을 잊은 채... 초록빛 자연과 푸른 하늘과... 내내 행복하기를 바란다 이 부분에서 작가의 따뜻한 마음을 읽을 수 있었다. 

  <독수리 오형제>는 다섯마리의 새가 모여 불새가 되는 모양을 그렸다. 독수리 형은 작은 집을 나와서 더 작은 집에 들어갔고 콘돌 둘째형은 이름난 싸움꾼이었고 백조 누나는 술잔을 집었고 제비 정복이는 그냥, 바빴고 올빼미 셋째형은 연탄가스를 마셨다고 했다. 그들은 불타는 곰발바닥들을 버려두고, 그렇게 하늘로 날아올랐다 그 본문보다 각주가 더 마음에 들었다. *사실 독수리 오형제는 독수리들도 아니고, 오형제도 아니다. 다섯 조류가 모인 의남매다. 다섯이 모이면 불새로 변해서 싸운다. 이 각주를 몇 번이나 읽었다. 

  이 시집을 읽으면서 시집이 결코 어렵지 않다고 느꼈다. 그건 내가 시를 몰라서일 것이다. 계속 읽어가며 좀더 알아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개츠비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방대수 옮김 / 책만드는집 / 2001년 8월
평점 :
품절


 몇 년 전부터 언니의 책장에 꽃혀있던 이 책을 오늘 아침 집어들었다. 많이 알려졌음에도 정이 안 가는 책이었다. 내가 책을 들고 학교로 가자 사람들이 한 마디 씩 했다. "야 그거 재미없어." 이 책을 모두 읽었다는 사람은 없었다. 나는 바짝 긴장을 하고 책을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그런데, 생각보다 재밌었다.

  위대한 개츠비를 읽으면서 윤대녕작가의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중 "천하제일 남가이"가 떠올랐다. 개츠비의 매력을 설명하는 부분 때문이었다. 어쨌든 매력있는 캐릭터였다. 개츠비는 '나'에게만 매력있는 캐릭터인게 문제이긴 했지만.

  개츠비는 '귀족집안의 자식이며, 옥스포드대학을 나왔다'는 상상을 지탱해오며 '개츠'라는 이름을 '개츠비'로 만들어버린 사내이다. 그는 가난때문에 놓친 여자를 기다리며 불법적인 일로 부를 쌓는다. 하지만 여자의 남편에게서 '상상'의 세계가 깨어지고 살인죄까지 덮어쓴 개츠비는 자살한다. 사람들은 개츠비를 이해하려고도 궁금해하지도 않았다. 개츠비는 쓸쓸한 장례를 치른다.

  나는 책을 읽을 때 몇쇄나 나왔는지 확인하는 버릇이 있었다. 사람들이 그렇게나 재미없다고 하는데. 별로 팔리지 않았겠지 하며 뒤를 펴보았다. 31쇄였다. 난 그 글자를 보고 다시 글을 읽었다. 발음도 잘 되지 않는 이름을 입안에서 말해보았다. 이 책에는 재미 이상의 힘이 있을 거라고, 섵불리 추측해보았다. 정서도 풍경도 뛰어넘는, 그 무언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세계문학상 2회 수상작, 영화화. 그 명성을 보고 아무런 거리낌없이 책을 빌렸다. (정신이 없기도 해서 눈에 익은 제목을 고르기도 했다) 어쨌든 기대를 잔뜩 품고 읽은 책 치고는 실망이었다. 내가 축구를 좋아하지 않아서인지도 모르겠지만, 지루하고 더디게 읽혔다. 실제로 에피소드가 끝날 때마다 축구얘기가 나온다...

 아내가 결혼했다. 나는 그녀의 친구가 아니다. 친정 식구도 아니다. 전 남편도 아니다. 그녀의 엄연한 현재 남편이다.

  아내와 나는 축구로 만나게 된다. 나는 레알의 팬 아내는 바르셀로나의 팬이었다. 그것을 계기로 결혼을 하게 된다. 하지만 아내는 자유연애를 지향한다. 아내의 바람과 술의 생활을 눈감고 지내다가 어느날 아내의 통보를 받게된다. "결혼을 하고 싶다"고. 하지만 남편도 사랑한다고. 결국 아내는 결혼하게되고 두집살림을 하게된다. 그렇게 아슬한 시간을 보내다 아이가 생기게되고 뉴질렌드로 떠나기로 한다.

  책을 읽고나서 대중에게 사랑은 받을만한 소설이라고 느꼈다. (나는 제외됐지만) 이 소설을 읽으면서 일처다부제에 대해 그냥 넘어갈 순 없다. 부권이 높은 우리나라에서 일부다처제도 아닌 일처다부제는 생소하기 그지없다. 실제로 영화나 책 리뷰에서 "여성의 외도를 조장한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어쨌든 평등, 자유문화가 판치는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곤 할 수 없다. 하지만 "제도"와 "편견"과의 싸움일 뿐이다. 아직 읽으면서 자연스럽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지만 가능하겠다,란 생각은 들었다. 마지막에 주인공도 수긍하지 않던가. 세상이 변하고 있다. 그 변화하는 시각에 맞는 신세대적 도서는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밀과 거짓말
은희경 지음 / 문학동네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블로그를 시작하는 단계라 리뷰 형식이 자주 바뀌는데에 사과 말씀 드립니다)

 내가 은희경 작가님을 싫어하는 건 아니지만 그녀의 작품을 읽다보면 오묘한 기분이 들곤 한다. 분명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이고 여성적인, 매력적인 문체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묘하게 공감하지 못할 벽이 있다고 해야할까. <비밀과 거짓말>에서도 그걸 느낄 수 있었다.


타향이 다 고향처럼 느껴지는 사람은 성숙한 사람이다. 그러나 세계가 다 타향처럼 느껴지는 사람이야말로 완성된 인간이다. 
비밀과 거짓말~148p

  책을 모두 읽고 다른 사람의 리뷰를 읽었다. 보통은 내가 리뷰를 마치기 전까지 리뷰를 보지 않지만 어수선함? 끝나지 않은 아쉬움? 같은 것들이 나를 다른 사람의 리뷰로 이끌었다. 모두들 <새의 선물>과 비교하며 <비밀과 거짓말>에 실망을 표했다. 하지만 난 그에도 공감할 수 없었다. 난 은희경작가의 <새의 선물>에도 공감할 수 없었다. 그녀의 단편집에는 관심이 많고 많이 찾아 읽기도 한다. 그런데 묘하게 은희경작가의 장편에는 공감이 가지 않는다.

  은희경작가의 글이 많이 변했다. 이 변화가 그녀의 소설에게 있어 발전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도 천재는 아니었다
김상운 지음 / 명진출판사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학교 도서실의 야심찬 새 책(?), 아버지도 천재는 아니었다. 자기계발서류는 잘 읽지 않는 편이라 당연히 스쳐지나가기만 했다. 그러나 우연히 야간자율학습시간에 책이 떨어졌고 친구가 대출해 놓은 이 책을 읽게 됐다. (리뷰도 그냥 심심해서) 책을 읽다보면 우연히 읽게 된 책이 꽤 재밌게 느껴질 때가 있다. 기대감도 뭣도 없는 상태이기때문일지도 모른다. 어쨌든 난 이 책을 생각보다 재밌게 읽었다.

 

  책의 첫머리를 읽으면서 '잘난 사람이 자식들에게 남기는 책'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이 책의 '생각의 힘'을 주로 말하고 있었다. 자기계발서가 그렇듯, 정말 옳은 소리만 하고 있었다.

 

  (책이 없어서 인용을 못하는 것에 대해 사과한다.) 어렸을 때부터 천재소리를 듣고 자란 아이들은 쉬운 일에만 도전하려고 한다. 하지만 열심히 하는 아이라는 소리를 듣고 자란 아이들은 꾸준히 발전한다. 사실 나는 전자쪽에 해당되는 타입이다. 지금까지 제대로 된 노력을 했다는 느낌이 없다. 고등학교 1학년 때 "공부 쉽게 하려고 한다"는 국어선생님의 꾸지람이 들리는 듯했다.

 

  부정적인 생각이 들 때는 눈 앞에 구름을 만들어 본다. 화가날땐 붉은 구름, 우울할 땐 회색, 파란색 구름 일 것이다. 그걸 지긋이 바라보다 보내 버린다. 꽤 괜찮은 방법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 감정을 회피하려고 하면 더욱 커지는 게 부정적인 생각이니까.

 

  제일 반성캐 했던 것은 '잠'에 대한 이야기였다. 무의식이 활동하는 잠, 그 잠을 자지 않으면 효율이 떨어진다는 이야기. 천재들은 꿈에서 보았던 무의식, 그것을 활용한다는 얘기였다.

 

  이 책의 화자는 자신의 아이에게 얘기하고 있지만 나는 나같은 십대, 그리고 이십대에게도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자기계발서가 그렇듯 '이걸 좀더 일찍 읽었더라면'하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늦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흔해빠진 비유지만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때'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