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포 4
패트리샤 맥코믹 지음, 전하림 옮김 / 메타포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미국도서관협회 <최고의 책>으로 선정되었다는 <컷>이 메타포의 네번째 책으로 나왔다. 청소년기의 예민한 문제를 다룬 전작들이 좋아서 메타포를 기다렸는데, '컷'은 회색표지의 검은손 붉은 핏자국으로 섬뜩하게 다가왔다. 청소년 자해의 거부감으로 초반엔 몰입하기 힘들었으나, 끝까지 조마조마한 긴장감으로 내려 놓지 못했다. 엄마로서의 무게가 더 느껴지는 책읽기여서, 캘리가 아버지와 화해하고 자해에서 벗어나려는 의지에 비로소 안도할 수 있었다.  제목이 주는 이중성, 손목을 칼로 긋는 'Cut'과 자해를 끝내라고 외치는 'Cut'의 울림이 마음에 담겼다. 청소년 성장소설은 독자가 주인공과 동일시되어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받아들이고 극복하려는 의지를 제공하는게 최고의 장점이라 생각된다.

거식증과 약물중독, 자해라는 극한 상황까지 치달은 청소년들을 치료하는 '식마인즈'에 오게 된 캘리를 중심으로 같은 그룹인 베카, 타라, 데비, 시드니, 아만다가 나온다. 치료과정으로 정신과의사인 브라이언트와 상담하는데, 캘리는 말하지 않고 속으로만 이야기를 풀어낸다. 캘리의 심리묘사가 마치 독자도 캘리의 마음속에 들어간 듯한 느낌을 갖게 했다. 얼마나 힘들었기에 자해하고 침묵하는지 가슴이 아팠다. 의사 브라이언트, 그룹지도자 클레어, 간호사 루비의 친절과 배려에 캘리의 마음도 조금씩 움직인다. 전문가들이 서두르거나 다그치지 않고, 존중하고 기다려줌으로 문제를 치료하고 극복해가는 과정이 좋았다.

식마인즈에서 한밤중 자해를 하곤, 피가 나는 손목을 누르고 간호사 루비에게 달려간다. "오, 아가, 너도 많이 무서웠을거야. 뭐가 널 이렇게 힘들게 하는지 말해 주면 안되겠니? 그게 뭔지는 모르겠지만 이렇게 하는 것보다 더 아프진 않을 거야."라고 말해주는 루비가 있어 캘리는 마음의 빗장이 풀리고, 드디어 브라이언트 의사에게 말문을 열면서 문제가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스스로 자해도구를 가져오는 캘리에게 "세상의 모든 자해도구를 가져와도 어딘가엔 남아 있을 거야. 너를 안전하게 지켜줄 수 있는 것은 오직 너뿐이야."라는 말로 스스로 극복하도록 조언한다. 참 감동적인 장면으로 침착한 전문가들에게 존경심이 일었다.

착한 소녀 캘리는 동생 샘이 천식에 걸린 것과 부모를 근심하게 하는 것이 다 자신의 잘못이라 생각한다. 엄청 나쁜 아이가 된 자신을 벌주기 위해 자해하고, 짜릿한 통증과 솟구치는 피를 보며 만족스러운 기분을 느낀다. 이런 자책감을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고 침묵함으로 아무도 캘리에게 '니 잘못이 아니'라고 말하지 않는다. 아픈 동생 때문에 충분한 사랑과 위로를 받지 못한 외로움이 죄의식으로 발전해 결국 자해를 반복하는 것이다.

엄마의 퀼트선물과 전화에도 사랑이 확인된 듯, 가족이 잘 있는지 보고 싶어 식마인즈를 빠져나오지만 두려움에 젖는다. 전화를 받고 당장 달려온 아빠의 품에서 따뜻한 사랑을 느끼는 캘리. 아빠에게 샘이 아픈건 내 잘못이 아니었다고 말하고, 샘을 돌보지 못한 아빠는 자신의 잘못이었다고 고백한다. 비로소 죄의식에서 벗어나고 위로 받은 캘리는 문제를 극복하고 자해에서 벗어나기를 희망하며 식마인즈로 돌아간다.

음, 범죄자들이 책과 영화에서 수법을 배웠다는 말이 생각나, 혹시 자해를 배우게 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에 중학생 남매에게 이 책을 읽혀야 할지 잠시 망설였다. 걱정과는 달리 캘리가 침묵을 풀고 문제를 극복하는 과정에 감동하고 안심되어, 중학생 남매에게도 읽어보라 권했다. 미국 아이들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문제가 된 다이어트 폐해나 약물중독, 자해하는 소설 속 아이들을 보며 우리 남매는 어떻게 느낄지 궁금하다. 부모는 자녀에게 따뜻한 관심과 사랑을 충분히 주고, 이 책을 읽은 청소년들은 크고 작은 자기 문제의 핵심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스스로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면 좋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노아 2008-04-13 16: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중적인 의미를 가진 제목이 인상적이에요. 그런데 범죄자들이 TV나 다른 매체에서 배웠다고 말하는 것은 책임회피를 위한 변명이 아닐까 생각해요. 그러고 나면 꼭 해당 매체가 두들겨 맞잖아요. 청소년 보호법 어쩌구 하면서요. 물론, 여과 없이 다 보여줄 순 없지만요^^;;

순오기 2008-04-14 01:01   좋아요 0 | URL
이중적 의미가 잘 살아나는 작품이었어요.
TV에서 너무 자세히 알려주는 것은 좀 그렇더라고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