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starla > 다른 이들의 서재에 꽂힌 책

알라딘 마을이 생긴 후로는 전혀 모르던 분들의 서재를 우연히 방문하는 경우도 늘었다. 모처럼 짬이 나서 원없이 서재 순방을 한 뒤 새삼 다시 느끼는 점은, 서재를 꾸린 분들이 참으로 다양하고 그 서재에 담긴 책들도 그만큼 다양하며, 누구든 적어도 어느 면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넘볼 수 없는 정도의 깊이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내가 그냥 독자였다면, 그  사실이 반갑고 감동적이라 만족하고 말았을 것이다. 그러나 편집자로서 나는 그렇게 편하고 말 수만은 없어 문제다.

사실 제대로 된 서평을 쓰자면, 한국에 한두명 있을 그 분야의 전문가에게 들고 가야 할 것이다. 인터넷 서점의 편집자가 논평이나 분석이나 연구나 수필을 쓸 필요는, 물론, 전혀 없다. 편집자는 알라딘에 오는 분들의 눈을 대신 달고 책을 딱 한 발만 먼저 보는 사람이다. 그 눈의 소유자는 두렵게도 너무나 다양한 사람일 수 있으므로, 누구의 눈을 달아야 할 것인가 또 문제다. 전에 다니던 신문사에서라면, 명쾌한 답이 있었다 - 중학교 3학년생의 눈을 달라는 것이었다. (그냥 중학생도 아니고 왜 하필이면 3학년인지는 잘 모르겠다. 글을 읽고 이해하는 수준차는 중1에서 고3까지 어마어마한데?) 알라딘 편집자는 그 눈을 알기 위해 판매통계에 기댄다. 그 분야에 있어서 가장 평균적인 연령의, 가장 평균적인 독서를 하는 분의 눈을 다는 것이 가장 공평하기 때문이다. 거기서 좀더 짱구를 굴리면 그 책을 클릭해서 볼 사람으로 대상을 좁힌 다음 프로파일을 추론해보는 것이다. 그러나 어줍잖은 예측은 대부분은 대충 들어맞고, 가끔은 말도 안되게 빗나가고, 많은 경우 제대로 알 수도 없다. 책이 누군가의 눈에 띄는 데에는 단순한 진열(즉 알라딘의 의도)이나 미끼(가격이나 이벤트)나 충격요법(미디어추천 등)을 넘어서는 무언가 매지컬한 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 눈으로 보기엔 딱 2% 부족한 어떤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하고 내 눈으로 보기엔 딱 2% 넘치는 책이 대중적으로 읽히기도 한다.

결국 인터넷 서점 편집자의 작업은 목적이 비교적 명확한 것이지만, 한계 또한 명확한 것이다. 이 점에 대해 실망스럽게 생각하진 않는다. 한계가 있는 일이라 재미가 없다거나, 한계가 있어서 못해먹겠다, 는 건 싫어하는 일을 할 때 자주 동원되는 변명이지, 진정 깊숙하게 마음쓰는 일에 대해서는 쉽사리 떠오르지 않는 법이다. 오히려 그 한계가 유발하는 어쩔 수 없는 울타리를 이렇게 저렇게 뛰어넘고, 뛰어넘다가 울타리를 조금 무너뜨려 울기도 하고, 울타리를 무너뜨렸다고 사람들한테 혼나기도 하고, 그러다가 또 다시 울타리를 따라서 가면서 교묘하게 그 바깥까지 넘나드는 비밀구멍을 발견하기도 하고, 남들이 그 비밀구멍을 알아채버리면 좀 실망하지만 누가 먼저 발견해도 이상할 것이 없었던 거라고 고쳐 생각한 후 즐거워지기도 하고...

이렇게 생각하다보니 다시 내 자리로 돌아왔다. 내가 모자라 찾아내지 못한 책이나, 알았지만 내게 주어진 한계 탓에 오래 마음쓸 수 없었던 책들에 대해 무수한 서재의 무수한 조용한 독서가들이 정곡을 찔러 말해주고 있다는 것은 고마워할 일이다 - 이것이 사실 애초부터 찾기 쉬운 곳에 이미 놓여있던 정답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zooey 2004-01-10 2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터넷 서점 편집자로 일한다는 것,에 대해 나중에 제대로 써보고 싶다. 음, 맞는 말이다. 요샌 오히려 한계를 즐기기도 하는듯. 예전 내 서재 제목을 '타인의 취향'으로 정했던 건, 위와 비슷한 고민에서 비롯된 결과였다. 나를 위해 쓰는 개인적 공간이 아니니까. 내가 좋아하는 책을 이야기하기 위한 장소가 아니지. 그냥 한발짝 앞서 책을 보고 적절한 자리에 배치, 독자와 책 사이에 다리를 놓아주는 사람이라 생각했다. 지금은...

레이저휙휙 2004-02-14 02: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종종 인터넷 서점의 웹기획자로 일한다는 것에 대해 종종 책을 써보고 싶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