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내밀한 몸의 정체
나탈리 앤지어 지음, 이한음 옮김 / 문예출판사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남성중심의 여성관에 반대하여 여성 우월주의로 적은 여성 몸에 대한 책. 관찰된 과학적 사실을 적시하다가 은근슬쩍 여성 우월론으로 적는 똑똑한 메갈녀같은 고급진 쓰레기책.
남성우위이던 여성우위이던 문제는 무심한 자연의 몸을 우월사상이라는 자기의 자괴감을 감추는 용도로 사용하여 부당한 형이상학으로 발전하는 건데 이 책은 그런 형이상학에 충실한 과학에세이책.
별하나 준 이유는 이런 형이상학 쓰레기책과 비슷한 남성우위 형이상학책도 많다는 사실을 역설적으로 일깨워줘서 별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마수트라 동문선 문예신서 93
바찌야나 지음 / 동문선 / 199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적인 내용이 가득한 성애전인 이책은 인도인의 그 시대의 풍습 문화를 알 수 있는 점 빼곤 그 다지 특별한 내용이 없다.
성적인 영상물이 넘쳐나는 현시대에 이 책의 성적 내용은 하품이 날 정도로 뻔한 내용.
다만 이 책에서 특이한 점은 섹스시 때리기와 손톱으로 할키는 행위를 긍정적으로 묘사한 점. 어쩌면 남성과 여성이 서로 섹스를 하는 것은 일종의 지배와 투쟁의 행위도 포함하는 의미가 아닐까?라고 인도인들은 해석하는 것 같음.
이 책의 밑바닥에는 상대를 만족시키기 위한 애정과, 성을 금기시 하여 높은 지위에 두는 엄숙주의를 배격하는 문화가 깔려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7-12-22 2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마수트라는 명상의 고난위도 단계인데 서양의 섹스문화의 우위 때문인지 수행의 의미보다 행위가 더 부각되는 거 같아 안타까울 때가 많습니다. 인도의 카스트적인 무게가 더 실려 있다면 이 책이 잘못 쓴 거라 생각되네요

보빠 2017-12-22 21:21   좋아요 2 | URL
명상의 일종이라곤 생각 못 해봤는데..요가(철학)의 한 형태로 기술한 책인 것 같네요. 사람의 삶을 있는 그대로 더 아트만에 다가기위하여 성을 대한다는 느낌은 이 책에 묻어 있긴 하네요. 명상이 뭔지 좀 더 공부해보겠습니다.
 
논쟁으로 보는 불교철학 - 연구총서 14
이효걸 외 지음 / 예문서원 / 1998년 6월
평점 :
절판


혼란한 불교 이론에 대한 재미있는 논쟁중심으로 잘 적은책.. 이 책은 돈오돈수보다는 돈오점수 수준의 학구적인 사람들에게 잘 어울리는 책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온한 신화 읽기 - 바가바드기타는 인도를 어떻게 신비화하였는가
박효엽 지음 / 글항아리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힌두교의 최고 경전에 올라선 바가바드기타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소개한 책.

직설적이고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여 '기타'에 대한 해석의 난도질을 하여 '기타'의 신성을 부수어뜨리는 듯하면서 이중적인 , 삼중적인 숨은 의미를 소개하여 바가바드기타에 대한 흥미를 일깨우며

그 기타의 사상이 요가로 나타나는 과정을 잘 설명.

 물론 개인적으로 나는 '참 나' '진짜 나'를 주장하면서 체제를 옹호하고 카스트 제도를 적극적으로

지키는 사상을 담고 있는  바가바드기타를 좋아하지 않지만 현재 전세계에 부는 요가 운동이 요가 철학의 한 형태인 힌두교(힌두교의 한 형태가 요가인지??? 애매하긴 하지만)의 최고 경전을 읽는 것은 현대사회에 하나의 사악한(내 개념으로) 종교인 힌두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요가에 관심있는 분(한국 요가는 실제로 힌두 요가라기보다는 기독교화 된 요가이지만), 힌두교에 관심있는분, 인도에 관심있는분, 누군가를 지배하고 싶은데 고단수로 지배하고 싶은 분, 그런 지배에 저항하고 싶은분에게 이 책을 추천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느 수학자가 본 기이한 세상 - 큰스님, 왜 이러십니까? 환망공상幻妄空想의 수상록 어느 수학자가 본 기이한 세상 1
강병균 지음 / 살림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교 수학자가 한국 불교에 끼어든 참나, 진아,청정심으로 위장한 힌두교적 유아론을 과학적 사례와 싯다르타의 주장을 근거로 하여 비판하는 내용.
읽다 보면 개독 목사나 한국의 고승이나 유아론(아트만)에 사로잡힌 힌두교랑 차이가 없다는 것을 느낀다..
 진정한 불교는 무아와 연기에 의거한다. 쓸데없이 신 비슷한 개념인 참나, 진아, 진여같은 웃기고 사악한 개념을 박멸하자.

=> 개독 목사 욕하는데 지겨우신 분들은 이 책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깨끗한 한국 현대 스님들도 사상적으로는 개독 목사놈이랑 비슷하네요. 개독 목사놈은 여신도 빤스와 돈을 탐하고 존경받는 스님들은 그걸 탐하지 않았지만 철학적으로는 개차반 비슷.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