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실격은 우리나라 문학에도 많이 영향 미친 글이다.

 이 책에 대해 워냑 유명한 평론도 많고, 블로거들도 많다.

 

 그러나 난 이 책은 근대인으로 탄생한 인간의 공포를 주인공이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근대사회 산업혁명 정신이 일반인들까지 파고든 시점에서 어느 나라던지 정신병을 앓을 수 밖에 없다.

 정신병은 간단히 말하면 나라는 주체가 제어가 안되고 공격받을 때 나오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근대는 신을 버리고, 타인과 연결을  오직 돈이라는 매개물을 통해서 보이며 그 돈을 벌기 위해

항상 타인을 의식하는(근대 이전에는 마을 사람이나 또는 자연신을 의식하면 되지만) 삶을 살아가도록 강요 받는다.

 

 실제적인 접촉이 가능한 마을 사람은 나를 이해해줄 확률이 높다.

 자연(신)은 누구나 공평하게 인간을 대하기 때문에 나라고 특별히 부당하게 대함을 당할 가능성은 없다.

 

 그러나 근대이후 인간은 자연/신을 저버렸고 돈을 벌어야(얼굴도 모르는 타인들에게 인정을 많이 받아야)하는 삶속으로 추방되었다.

 

 그럼 근대로 집입된 한 개인은 살기위해서 어떻게 할까?

 

  주인공 요조처럼 타인이 나를 버릴수도 있다는, 타인을 날 공격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에

광대처럼 타인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

 

  요조의 타고난 기질이나 습성따위는 근대사회에서 오직 무시되어버린다.

  오직 타인에게서 얼마나 인정 받아야 인간으로 인정받을 수 있느냐만 중시되는 세상에

감수성 강한 요조가 탄생한 것이다.

  

   공포심때문에 타인에게 인정받을라고 발버둥쳤지만 요조는 타인의 그 폭력적이고 퇴락해가는

인간성들을 경멸한다..그러나 어쩌랴 근대는 서로가 서로에게 가해자면서 피해자이고 그 싫어하는 타인의 모습이 자기안에도 있다는 것을 알고 좌절한다.

 

   주인공의 요조는 요조의 가치관에 비하면 인간 실격인것이 맞다.

  그러나 그 요조는 요조 아닌 근대인의 모습이기도 하기 때문에 인간실격이 아니라

  인간성을 잃어버린 '근대인 실격'이 맞는 말이다.

 

  타인과의 소통이 좌절되고 타인에게 인정을 받아야하는 근 현대인의 모습. 이것이 요조로하여금 인간실격을 이루게 한 것이다.

 

   어쩌면 이렇게 인터넷으로 타인과 소통하는 나의 블로그도 어쩌면 인간실격의 한 모습이기도 하다.

  악인을 만나던 변태를 만나던 이상한 인간을 만나던 진정한 대화는 얼굴을 보고 하는 대화인데

 ...슬프네.

 

  이상, 누군가와 인간의 소통을 원하는 인간실격자가 요조라는 인간실격자를 평가한 내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