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삼킨 소년
트렌트 돌턴 지음, 이영아 옮김 / 다산책방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누군가의 아들 또는 딸로 세상에 태어난다또 가족의 보살핌 아래 성장하고 마침내 사랑하는 누군가를 만나 또 하나의 가정을 이룬다가정은 정형화할 수 없는 것이기에 형태와 구성은 제각각이지만 하나의 가정은 저마다의 사연과 추억으로 독자적인 세계를 이룬다살아가다보면 일이란 생기게 마련이고 각각의 가족들은 가족이라는 공동체로서 그러한 경험을 함께 하며 더 단단해진다거기서 오는 안정감이야말로 가족의 가장 큰 미덕이 아닐까가족의 형태가 어떠하든 간에 말이다가족이라는 공동체는 서로 기대어또 종종 두 배로 기뻐하며 삶의 굴곡을 함께 헤쳐간다. 가족은 더 이상 전통적인 의미의 혼인혈연입양 등으로 이루어지는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집단 또는 구성원을 의미하는 단어가 아니다. <우주를 삼킨 소년>을 읽으며 나는 전통적 의미의 가족의 개념을 사라지고, 원자화된 개인이 새로운 형태의 분자 가족을 형성하는 시대가 도래했음을 다시 한번 느꼈다.

 

 

저자 약력을 보면 트렌드 돌턴은 수차례에 걸쳐 우수 기자상과 올해의 기자상을 수상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영향력 있는 저널리스트로 소개되고 있다. 그는 소설가로서의 데뷔작인 본 작품 한 편으로 그해의 문학상과 올해의 책을 석권하며 전 세계 34개국을 사로잡았다. <우주를 삼킨 소년>은 작가의 자전적 경험을 담은 소설로, 점점 극단으로 치닫는 가정환경 속에서도 '좋은 사람'이 되는 것을 포기하지 않는 12살 소년 엘리의 성장기를 다루고 있다. 엘리의 엄마 '프랜시스'는 변호사 같은 훌륭한 사람이 되고 싶었지만 바람과는 달리 마약에 빠져 인생이 꼬였다. 새아빠 '라일'은 엄마가 마약에 빠져들게 한 장본인이었다. '오거스트'는 여섯 살 이후로 입을 닫아 버렸다. 또 두 소년을 보살피는 시터인 '아서 슬림' 할아버지는 살인자로서 또 전설의 탈옥수로서 악명이 높은 범죄자다. 이들이 12살 소년 엘리의 가족 구성원들이다. 가족 구성원들의 간략한 프로필만 보더라도 정상적인 가족으로 보이진 않는다. 하지만 엘리는 이러한 가정 환경 속에서도 '좋은' 사람이 되려고 노력한다.

 

할아버지는 좋은 사람이에요?”

슬림 할아버지는 얼떨떨한 표정이다.

그건 왜 물어?”

내 눈에 눈물이 차올라 관자놀이로 흘러내린다.

좋은 사람이에요?”

그래.”

나는 할아버지에게로 고개를 돌린다. 그는 병실 창밖을 바라보고 있다. 푸른 하늘과 구름.

난 좋은 사람이야.”

슬림 할아버지가 말한다.

하지만 나쁜 사람이기도 하지. 누구나 다 그래, 꼬마야. 우리 안에 좋은 면도 나쁜 면도 조금씩 있거든. 항상 좋은 사람이 되는 건 어려워. 그런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안 그렇지.” (p. 23)

 

 

누군가와 함께 한다는 것, 마음을 터놓고 의지할 존재가 있다는 것은 살아가는 데 큰 힘으로 작용한다. 큰 의미를 두지 않고 동반자와 나누는 몇 마디 대화로 울적함이나 불안은 어느 순간 털어버릴 수 있고, 사랑스런 아이의 미소를 바라보는 것만으로 부정적 감정을 떨쳐낼 수 있다집 안 어디엔가 누군가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아니꼭 집 안에 있을 필요도 없고누군가 집으로 항상 돌아온다는 사실만으로도 우리는 큰 위안을 얻는다. 이상적인 가족의 형태는 존재하는 것일까? 이상적인 가족상은 분명히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가족의 형태가 정형화되어 있지 않듯이 이상적인 가족은 획일화된 답지가 아닌 개개인의 입장과 상황에 따라 다른 형태로 존재할 것이다. 우리 각각은 불완전한 존재들이고, 우리 각각이 이루는 가족이라는 공동체도 완전하지 않지만 가족과 함께 만들어 가는 우리의 삶은 우리를 "좋은 사람"으로 "더 나아진 삶"으로 이끈다.

 

 

그날 병원에서 네가 좋은 사람, 나쁜 사람에 대해 물었지 엘리. 나도 그 생각을 해봤다. 아주 많이. 그저 선택의 문제라고, 그때 말해줬어야 하는데. 네 과거도, 엄마도, 아빠도, 네 출신도 상관없어. 그저 선택일 뿐이야. 좋은 사람, 나쁜 사람이 되는 건 말이다. 그게 다야.” (p. 351)

 

 

<우주를 삼킨 소년>"가족"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성장 소설이다. 가족이라는 존재는 때로는 벗어날 수 없는 족쇄가 되어 삶을 구속하고, 절망에 빠지게 만들지만,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서로를 응원하며 힘든 현실의 일렁임을 극복할 때 한층 더 성숙한 삶, 사랑이 충만한 삶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걸 우리는 엘리의 가족을 보며 깨닫는다. 굴곡진 삶을 견뎌내야 할 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묵묵히 지켜봐 주고 지지해 줄 가족의 따뜻한 관심과 조언 아닐까세월의 일렁임을 힘겹게 견뎌내야 할 때 내가 살아 있고 사랑받는 존재라는 것을 느낄 수 있는 것... 묵묵히 나를 지지해주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가족의 온기를 느낄 수 있는 것...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이것 이상의 응원이 있을까각자가 가진 삶의 조각들이 가족의 사랑 안에서 하나의 완전한 조각으로 완성되는 것... 이것이 우리가 꿈꾸는 행복 아닐까?

 

왜 그랬어, ?” “뭐가?” “왜 말을 안 했느냐고.” 형은 작게 한숨을 내쉰다. “그러면 더 안전하니까. 그러면 아무도 안 다치니까.” “그게 무슨 소리야, ?” 형은 달 웅덩이를 내려다보고 빙긋 웃는다. “네가 다칠까 봐 그래, 엘리. 우리가 다칠까 봐. 말하고 싶은 것들이 있지만, 엘리, 내가 말하면 사람들이 겁먹을 거야.” “그게 뭔데?” “중요한 일들.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할 일들, 내가 말하면 사람들이 나를 오해할 일들. 그다음엔 우리를 오해할 거야, 엘리. 그러다가 사람들이 나를 잡아갈 텐데 그럼 누가 널 돌봐줘.” (p. 2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