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동물원이란 공간의 의미는 무엇일까? 평소에 접할 수 없는 야생동물들을 볼 수 있는 곳? 아니면 자연에 있어야 할 야생동물들을 가두는 나쁜 곳? 동물원은 우리에게 친숙한 공간이다. 그곳은 학창시절 우정을 나눴던 공간이고, 연인과의 아련한 추억이 담긴 공간이며, 따뜻한 봄날 아이와 함께했던 기억이 서려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우리는 친구, 연인, 가족과 함께 동물원을 찾지만, 그곳에 속해 있는 동물의 삶에 대해서는 대체로 무지하다. 동물원을 방문하면서 동물들의 복지에 대해 고민하기보다는 일상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동물과의 조우에 감사하고 동행한 사람들과 추억을 쌓기 바쁘다.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사실은 동물원은 애초에 동물이 아니라 인간을 위해 만들어진 공간이라는 것이다. 동물원이 더 자연에 가깝고, 야생다운 환경을 만들기 위해 공을 들이는 이유도 동물보다는 관람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일 수밖에 없다. 관람객이 환경에 몰입하여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각종 체험형 동물원이 등장하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동물의 행복은 우선시되는 목표가 아니다. 인간의 흥미와 편리를 위해 동물들의 삶이 희생되고 있는 곳, 이것이 동물원의 이면에 감춰진 진실이다. <너구리 집을 나가다>는 독자가 동물원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과 동물들이 겪고 있는 고통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동물원은 제국주의 국가의 침략과 폭력의 상징이었다. 하지만 야만이 전시되던 시대를 거쳐 동물원도 꾸준히 진화해왔다. 다행스럽게도 진보의 물결은 동물원에도 불어닥쳤다. 동물원의 교육적 기능과 동물 복지가 거론되었고, 멸종위기종을 번식시키고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보전센터의 역할도 대두되었다. 동물원의 존재 목적이 관람에서 보전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동물원 동물들의 삶에 이상 징후가 있다는 것은 최근 발생한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감지되었다. 불법 포획되어 쇼 돌고래로 살다가 고향의 제주 바다로 돌아간 제돌이의 삶이 그랬고, 인간에 의해 동물원에서의 삶을 강요당하다가 인간의 실수로 우리를 나와 인간의 안전을 위해서 사살당한 퓨마 뽀롱이의 비극적인 삶이 그랬다.



인간은 자연에서 멀어질수록 자연을 그리워하고 야생의 동물들을 더 가까이 두고 보고 싶어 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인간이 다양한 동물을 한 장소에서 편하게 보기 위해 만든 동물원이라는 공간이 내포하고 있는 부작용이 생각보다 심각하다는 것이다. 인간이 자연이 아닌 인공의 환경에서 동물이 태어나게 했다면 그리고 그들이 죽는 순간까지 불행한 조건 속에 살다 갔다면 그것은 모두 인간의 책임이다. 일생을 닫힌 공간 안에서 사람들의 시선을 받으며 시달리고 있는 동물원의 동물들은 그들이 생명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도 이윤과 효율의 잣대만으로 평가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 <너구리 집을 나가다>의 작가가 말하고 싶었던 것 아닐까?




너구리 집을 나가다 – 브릿G (britg.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