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는 2020년 2월 김설단 작가님의 <붉은방>을 만났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치사율 자체가 높고 본격적인 증상이 나타나기도 전에 사망에 이르는 <붉은방>의 그것과는 다르지만, 원인 모를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과 병의 확산으로 국가의 치안과 경제가 파탄에 이를 것을 염려하는 소설의 분위기가 2020년의 코로나사태와 상당부분 닮아 있었다.
마스크와 손세정제의 값이 폭등하고, 출근길에 마주치는 사람들이 모두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병관리본부에서 발표하는 감염자의 수는 연일 증가하는 것을 보면서 새삼 전염병의 위력을 실감하게 된다.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은 우리가 그것에 대해 무지하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정확한 발병원인을 모르고, 치료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며, 병의 전파속도와 범위를 몰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부재하는 동안 대중의 불안과 공포는 극대화된다.
<붉은방>은 이러한 상황을 스토리에 잘 녹여내고 있다. 전염병에 대응하고자 작전지역에 투입된 전문가 집단인 ‘붉은손‘들이 차례로 희생되고, 상황을 통제하는 대대장이 자신만의 방식을 고수하는 과정에서 병이 확산되고 공포와 불안이가중되는 상황이 소설상에 잘 묘사되어 있다. 하지만, 짧은 분량 (200자 원고지 450매)상의 한계 때문인지 스토리 전개가 단선적인 것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다. 긴장의 고저와 장단을 조율하는 다양한 사건 및 돌발변수, 다채로운 캐릭터 설정이 있었다면 보다 입체적이고 완성도 높은 구성이 가능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실 김설단 작가의 소설은 <저수지의 시체들>을 통해서 먼저 접했었다. <저수지의 시체들>은 논두렁 하드보일드 스릴러를 표방하는 작품으로 ‘무령‘이라는 가상의 촌동네를 배경으로 일어나는 범죄를 겪으며 변화하는 등장인물들의 감정의결을 섬세하게 조각해나가는 인상적인 소설이었다. 따라서 <붉은방>을 접하면서도 이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이 있었는데<붉은방>은 <저수지의 시체들>과는 달리 풍경이나 감정에 대한 묘사 보다는 추리소설 본연의 속도감을 살리는데 주력하고 있었다. 뒤늦게 작가의 말을 보며 깨달은 사실은 <붉은방>은 거의 20년 전에 씌여진 작가의 초기(?)작이라는 사실이다. 스타일을 변화시키기 위해 작가가 얼마나 많은 고민과 노력을 해왔을지 짐작이 된다. 작가의 다음 작품도 기대가 된다.
https://britg.kr/novel-group/novel-about/?novel_post_id=25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