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소설의 제목이자 주요 모티브기도 한 pink의 “please don't leave me"라는 노래를 소설을 접하면서 처음 알게 되었다. 노래가 궁금해서 찾아서 들어봤는데 소설의 내용과 가사만 보았을때의 느꼈던 괴기스러움과는 상반되는 경쾌한 비트의 밝은 노래라 좀 당황했다. 오히려 그런 반전의 효과를 노린걸까?여성이 연인에게 콧노래를 흥얼거리며 “난 마음만 먹으면 다 해버릴거야. 정말로 내 맘대로 해버릴테니까. 내가 상처받으면 말이야. 너를 산산조각으로 잘라 버릴거야...“라는 말을 하면 그 말을 듣는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더 섬뜩하게 느껴지지 않을까?
“너하고 단순한 싸움대회라고 해줘. 가장 세게 때린 놈이 이기는 그런 싸움대회라고. 그런데 자기야. 진심이 아니야. 정말 진심이 아니야. 너없이 살수가 없어. 나의 완벽한 귀여운 "펀치백"이기도 하고. 너가 필요해. 미안하지만...“
“귀여운 펀치백“이라는 표현과 “미안하지만“ 너가 필요하다는 내용은 단순한 연인간의 애칭이라고 하기에는 다소 과격한 표현이다. 작가가 왜 이 노래를 주요 모티브로 삼았는지 이해가 간다.
하지만, 일반적인 시각에서는 도저히 이해 불가능한 광기 어린 소유욕에 관해서는 ‘Boxing Helena'에 비할수 있는 것은 아직 보지 못했다. 외과의사인 남자는 자신이 사랑하는 여자의 다리를 자른다. 여자는 자살기도를 한다. 남자는 다시 여자의 팔을 자른다. 몸통만 남은 여자는 꽃으로 화려하게 꾸며진 제대의 주인공이 된다. 헬레나라는 이름의 여자는 절망하지만, 남자는 그런 여자를 숭배한다. 한국에서는 ‘남자가 여자를 사랑할 때'라는 이름으로 출시된 ‘Boxing Helena' 연인을 박싱(박스, 우리 안에 가두기)하는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일방적으로 변태적인 행위를 저지르는 한 사람의 이야기다.
세상을 살아가는 수많은 사람들만큼이나 다양하고 다채로운 사랑의 이야기가 존재할 것이다. 일반적인 시각에서는 극단적이고 엽기적이어서 사랑이라고 부를 수 없는 행위라 할지라도 타인간의 행위에 대해 우리가 감히 그것을 사랑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을까? 하지만 반대로 그것이 일방적으로 이루어지거나, 행위의 당사자들에게 회복할수 없는 정신적, 신체적 피해가 발생할때 그 당사자들이 사회를 향해 이것도 우리만의 사랑이라고 주장할수 있을까?나나파 작가의 <please don't leave me>는 후자에 대한 이야기다. 세상의 모든 연인들은 ‘이런 사랑도 있다‘고 자신들만의 사랑 이야기를 세상에 외칠 권리는 있지만 그 권리는 세상이 용인해줄수 있는 범위 안에서만 유효하다.
https://britg.kr/novel-group/novel-about/?novel_post_id=108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