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켄리우의 <종이 동물원>을 처음 접했을때의 감동과 놀라움을 잊을 수 없다. 우리는 흔히 SF (science Fiction)가 그리는 미래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 시대와 동떨어진, 혁신적이고 잠재적인 결과를 탐구하여 어쩌면 미래의 언젠가 도달할지도 모를 공상의 영역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SF가 그리는 미래의 어느 시점은 그 아득한 시간의 간극이 걷어내고 보면 또 다른 우리들의 모습이 담겨져 있다. 언젠가 우리는 현재와는 다른 모습으로, 우리와 비슷한 모습을 한 누군가와, 또는 지금은 상상할 수 없는 또 다른 누군가와 공존하면서 전혀 다른 세상에 적응하며 살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세월의 흔적을 걷어내고 바라보면 저마다가 직면한세상에 맞서 살아가는 똑같은 인간만이 남는 것이다. 환경이 달라지더라도 누군가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세상을 살아나가는 삶의 원형은 현재의 삶이나 미래의 삶이나 크게 달라지진 않는다. 내가 켄리우의 단편집 <종이 동물원>을 읽고 느낀 것은 이것이었다. SF가 이렇게 따뜻하고 감동적일 수 있다니...
“우리가 누구인지 정의하는 것은 타인들의 삶으로 이루어진 그물 속에서 차지하는 자리이다.”
"피치 못할 운명과 마주쳤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선택은 적응하는 것뿐입니다."
- 종이 동물원 中 -
<종이 동물원>에서 감동의 여운이 가시지 않았을 때 켄 리우의 소설집 <어딘가 상상도 못 할 곳에, 수많은 순록 떼가>의 출간 소식이 들려와서 너무 기뼜다. <어딘가 상상도 못 할 곳에, 수많은 순록 떼가>는 켄 리우의 '한국판 오리지널' SF 단편집이다. '한국판 오리지널'이라 칭한 이유는 세계 어느 국가에서도 함께 묶인 적이 없는 켄리우 작가의 미출간 단편 중 12편을 엄선하여 엮었기 때문이다. 작가의 데뷔작인 <카르타고의 장미>와 스페인 이그노투스 상 수상작 <사랑의 알고리즘>, 한글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알려진 <매듭 묶기>, 저자가 특별히 아끼는 시리즈라고 밝힌 <싱귤래리티 3부작> 등 총 12편의 작품이 본 단편집에 한데 묶였다. 작품들은 모두 시간과 공간, 차원을 초월하여 다양한 인간군상들이 빚어내는 이야기를 흥미롭게 담아내고 있다.
12가지 이야기 중 어느 하나 흥미롭지 않는 이야기가 없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관심이 가고 흥미로웠던 단편은 <내 어머니의 기억>이었다. 개인적으로는 단편집 <종이 동물원>에서 표제작인 '종이 동물원'을 가장 감동 깊게 읽었었다. <내 어머니의 기억>은 단편집 중 가장 마지막에 수록된 짧은 단편이지만 제목에서부터 '종이 동물원'을 연상시켰기 때문에 가장 먼저 읽었고 깊은 인상을 받았다. <내 어머니의 기억>을 읽으며 예전 알쓸신잡을 보면서 유시민 작가와 정재승 박사의 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삶에 관한 토론이 떠올랐다. 불치병에 걸린 인간이 치료를 위해 냉동인간이 되어 자신의 가족을 비롯해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전혀 다른 먼 미래의 어느 날 깨어나 살아가는 것에 관한 토론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사랑하는 딸이 성장하는 과정을 지켜보기 위해 그와 비슷한 선택을 한 어머니에게 마음이 갔다.
<어딘가 상상도 못 할 곳에, 수많은 순록 떼가>에서 작가는 시공간이 다른 12개의 독자적 세계를 제시하며, 우리를 인간으로 살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묻고 있다. 작가의 말에 인상적인 대목이 있었다.
"제가 쓴 책을 펼쳐 주신 한국의 모든 독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저의 이야기가 외국어로 번역되어 머나먼 나라에 사는 수많은 독자들의 손에서 또 다른 삶을 누리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습니다. 이처럼 시간과 공간, 언어, 문화를 넘어 쓰는 이와 읽는 이가 대화를 나눌 때 우리는 비로서 가장 인간다워진다고. 저는 느낍니다. 우리는 이야기를 짓는 종(種)이니까요."
그의 말처럼 인간은 유일하게 "이야기를 짓는 종(種)"이기 때문에 이야기를 통해 서로 소동하고 그로 인해 가장 인간다워질 수 있는 것 아닐까? 변하지 않은 사실은 켄리우 그의 소설은 여전히 인간을 향하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