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을 품은 야구공
고동현 외 지음 / 영진.com(영진닷컴) / 2019년 5월
평점 :
품절


 

야구팬은 모두 마약중독자다. 그들의 마약은 바로 통계다.”
-로버트. S. 와이더- (p. 154)

 

2018년 한국시리즈 우승팀은 SK 와이번스였다. 6차전 연장 13회까지 가는 혈투 끝에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린 SK 와이번스의 우승은 여러모로 화제가 됐다. KBO리그의 계단형 포스트 시즌 시스템은 정규시즌 우승팀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구조다. 4위와 5위 팀이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치른 뒤 이긴 팀이 3위 팀과 준플레이오프를 치른다. , 준플레이오프 승리 팀은 2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여기가 승리한 팀이 마침내 한국시리즈에 올라올 수 있는데, 이미 한국시리즈에 진출해 있는 정규시즌 우승팀에 비해 체력적으로 매우 불리한 위치에 있다.

 

SK의 우승은 역대 다섯 번째로 정규시즌 비우승팀이 정규시즌 1위 팀을 꺾고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한 '업셋 우승'이었다. (전후반기 리그 및 양대 리그의 경우를 제외한 역대 업셋 우승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1989년 정규시즌 2위 해태 타이거즈, 1992년 정규시즌 3위 롯데 자이언츠, 2001년 정규시즌 3위 두산 베어스, 2015년 정규시즌 3위 두산 베어스) 역대 KBO리그에서 정규시즌 비우승팀이 포스트 시즌 이전 단계부터 시작하여 우승한 확률은 13.8%에 불과했다. 더더군다나 2018년 정규시즌 1위 두산과 2SK의 승차는 무려 14경기 반 차이였고, 이러한 승차를 뒤집고 이룬 SK의 업셋 우승은 역대급 기록이라 할 수 있다. (비록 양팀의 정규시즌 전적은 88패였지만...)

 

작년 SK의 우승 과정을 지켜보며 나는 과연 이 경이적인 우승의 원동력은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한 궁금증을 가지고 있는 와중에 올해 출간된 본서 <수학을 품은 야구공>을 접하게 되었고, 책을 읽으며 SK 우승에 대한 실마리를 찾은 기분이었다. 야구는 여러 스포츠 종목 중에서도 세분화된 기록을 통한 통게적 분석이 가능한 스포츠다. 혹시 영화 머니볼 (Moneyball, 2011)’을 기억하는가? 머니볼은 메이저리그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단장 빌리 빈의 실제 이야기를 소재로 한 영화다. 스몰마켓 구단이었던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는 빌리 빈이 부임하면서, 주어진 예산 한도에서 선수단을 운영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중심으로 효율화를 추구하고 (예를 들어 타율이 낮아 몸값이 산 선수 중에서 출루율이 높은 선수를 영입하는 전략), 이 결과 주목받지 못했던 팀이 200220연승과 함께 지구우승을 차지하는 결실을 맺는다.

 

본서 <수학을 품은 야구공>은 제목에서 엿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야구를 사랑하는 고등학교 수학교사, 스포츠부 기자, SK 와이번즈 Data 분석그룹 매니저 등으로 구성된 전문성과 현장감을 갖춘 4명의 저자들은 이론과 추상의 영역으로만 남아있던 수학과 통계를 통해 독자들이 야구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저자 중에서 SK 와이번즈 Data 분석그룹 박윤성 매니저는 서문에서 자신이 머니볼 키즈였음을 고백한다. 또 본서와 인연을 맺을 수학을 품은 야구공 키즈를 향한 기대감도 숨기지 않는다.

 

책에서는 야구기자로는 최초로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등재된 야구 기록의 아버지 헨리 채드윅으로부터 비롯된 야구기록의 역사를 다룬다. 1970년대 초 빌 제임스에 의해 고안된 통계적, 수학적 야구분석방법인 세이버메트릭스의 등장과 이를 활용한 오클랜드의 빌리 빈, 수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200486년만에 밤비노의 저주를 깨고 보스턴 레드삭스의 우승을 이끌고 시카고 컵스로 이적하여 108년만의 염소의 저주를 깨고 우승을 이끈 테오 앱스타인의 사례를 언급한다. 또한, 2015년 야구공과 선수를 추적하여 플레이 모든 순간을 기록, 수치화하는 최신사례로 소개하고 있다. 20143개 구장에 시범 설치되었던 스탯캐스트는 2015년 메이저리그 전 구단으로 확대 도입되었고, 한 경기를 치르며 생성되는 약 7테라바이트에 달하는 데이터의 용량은 메이저리그 30개 구단이 공유하여 분석하고 있다.

 

책의 목차는 야구의 9이닝과 클리닝 타임과 엑스트라 타임으로 구성하여 기록경기로서 갖는 야구라는 스포츠가 갖는 특징을 수학과 통계라는 흥미로운 개념을 통해 풀어내고 있다. 그중에서 인상 깊은 분석을 몇 가지만 꼽아 본다면 다음과 같다.

 

1. 3이닝 : 10개 구단의 전국일주, 공정한 이동거리는 가능한 것인가?

 

현재 10개구단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KBO리그의 중요한 관심사 중 하나는 경기일정일 것이다. KBO 입장에서는 일정의 효율성과 흥행 관점에서, 구단 입장에서는 일정에 따른 이동거리와 선수들의 피로도 관점에서 중요할 수 밖에 없는 문제다. 공정성을 중시하는 스포츠 관점에서 구단간의 형평성에 집중한다면 책 속에서 소개하고 있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과학적이고 공평한 프로야구 경기 일정표를 만드는 내용이 흥미롭게 느껴졌다. (p. 79)

 

2. 4이닝 : 에이징 커브 (Aging Curve), 선수의 미래성적 예측

 

야구선수의 전성기를 예측할 수 있을까? 책에서는 27세를 정점으로 감소하는 선수성적의 평균추세를 이차함수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20대 중반부터 30대 초반까지는 대부분 우수한 성적을 유지하지만 30대 중반을 넘어가게 되면 아무리 뛰어난 선수라도 성적이 부진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에이징 커브를 이용하여 선수 미래성적을 예측하는 내용도 관심 있는 선수의 성적을 예측해보고, 응원하는 팀에 새로 영입된 FA선수와 관련지어 생각해볼 수 있어 재밌었던 주제였다. (p. 92)

 

 

3. 5이닝 : 비거리 120m가 넘는 홈런 타구는 얼마나 빠른 속도로 날아갈까?

 

타자가 타석에 들어섰을 때 평균적으로 홈런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은 얼마나 될까? 본서에 따르면 2018KBO리그에서 홈런은 한 타석당 약 3.09%의 매우 낮은 확률로 발생했다고 한다. 홈런타자 유형으로 분류되는 선수들도 선수별 최적의 타구속도와 타구각도가 다르며, 이러한 점을 데이터 분석을 통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은 놀라웠다. (p. 106)

 

4. 8이닝 : 야구의 고정관념을 깨다. 수비 시프트

 

수비 시프트와 조건부확률을 연관 지어 설명한 본 챕터가 개인적으로는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이었다. 2016SK구단의 땅볼타구 처리율은 64.4%로 전 구단 중 최하위였다. 하지만, 1년뒤 2017년에는 74.2%SK구단은 단 1년만에 약 10%p 상승된 수치로 1위를 극적으로 탈환하였고, 이어 2018년에도 1위를 수성하였다. 책에서는 2016년의 내야진에서 선수의 변화는 거의 없었음에도 이 같은 드라마틱한 변화를 보일수 있었던 것은 트레이힐만 감독의 부임으로 인한 적극적인 수비시프트 전략의 활용 덕분이라고 분석한다. (p. 191) “공격은 관중을 부르고, 수비는 승리를 부른다.“는 대학 미식축구의 전설적인 감독 폴 브라이언트의 말을 떠올려보면 2018SK ‘업셋 우승의 배경에는 이 같은 데이터 기반의 분석야구가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했던 것 아닐까

 

 

 

성적 예측의 불완전성이 우리가 야구를 사랑하는 이유이다.“ (p. 100)

 

앞서 돌아본 것과 같이 야구의 역사는 숫자를 기반으로 한 기록과 분석의 역사이기도 하다. 하지만, 야구라는 종목이 숫자로 모든 것이 결정되는 스포츠라면 누가 결과가 뻔한 승부를 흥미를 가지고 볼것인가? “끝날 때까지 끝난게 아니다. It ain't over till it's over.)"라는 요기 베라의 전설적인 야구명언은 마치 인생과도 같은 야구의 드라마틱한 속성을 대변하고 있다. 야구는 앞으로도 숫자와 우연, 그 두 시소 사이 어딘가에서 방황하는 방랑자 같은 스포츠가 될 것이라는 저자들의 주장에 수긍할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