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원 친구들이 이상해 내일을여는어린이 6
고수산나 지음, 정용환 그림 / 내일을여는책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 동물원이란 공간의 의미는 무엇일까? 평소에 접할 수 없는 야생동물들을 볼 수 있는 곳? 아니면 자연에 있어야 할 야생동물들을 가두는 나쁜 곳? 동물원은 우리에게 친숙한 공간이다. 그곳은 학창시절 우정을 나눴던 공간이고, 연인과의 아련한 추억이 담긴 공간이며, 따뜻한 봄날 아이와 함께 했던 기억이 서려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우리는 친구, 연인, 가족과 함께 동물원을 찾지만 그곳에 속해 있는 동물의 삶에 대해서는 대체로 무지하다. 동물원을 방문하면서 동물들의 복지에 대해 고민하기 보다는 일상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동물과의 조우에 감사하고 동행한 사람들과 추억을 쌓기 바쁘다.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사실은 동물원은 애초에 동물이 아니라 인간을 위해 만들어진 공간이라는 것이다. 동물원이 더 자연에 가깝고, 야생다운 환경을 만들기 위해 공을 들이는 이유도 동물 보다는 관람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일수 밖에 없다. 관람객이 환경에 몰입하여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각종 체험형 동물원이 등장하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동물의 행복은 우선시되는 목표가 아니다. 인간의 흥미와 편리를 위해 동물들의 삶이 희생되고 있는 곳, 이것이 동물원의 이면에 감춰진 진실이다. <동물원 친구들이 이상해>는 동물들의 입장에서 동물원의 삶에 대해 한편의 동화로 풀어내면서 독자가 동물원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과 동물들이 겪고 있는 고통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동물원은 제국주의 국가의 침략과 폭력의 상징이었다. 하지만 야만이 전시되던 시대를 거쳐 동물원도 꾸준히 진화해왔다. 다행스럽게도 진보의 물결은 동물원에게도 불어닥쳤다. 동물원의 교육적 기능과 동물 복지가 거론되었고, 멸종위기 종을 번식시키고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보전센터의 역할도 대두되었다. 동물원의 존재목적이 관람에서 보전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책의 제목과 같이 동물원 동물들의 삶에 이상 징후가 있다는 것은 최근 발생한 여러가지 사례를 통해 감지되었다. 불법 포획되어 쇼돌고래로 살다가 고향의 제주바다로 돌아간 제돌이의 삶이 그랬고, 인간에 의해 동물원에서의 삶을 강요당하다가 인간의 실수로 우리를 나와 인간의 안전을 위해서 사살당한 퓨마 뽀롱이의 비극적인 삶이 그랬다. 그 중에서도 내가 <동물원 친구들이 이상해>를 읽으며 가장 먼저 떠올랐던 건 인간에 의해 장애를 가진 몸으로 태어나 단 한 번도 숲을 거닐어 보지 못하고 평생을 좁은 철창 안에서 외롭게 살다가 작년에 세상을 떠난 호랑이 크레인이었다.

시베리아 호랑이 크레인은 2000년 서울동물원에서 태어났다. 갓 태어난 새끼 호랑이로 언론과 관람객의 주목을 받았던 어린 시절이 크레인의 삶의 정점이자 생에서 가장 빛났던 순간이었다. 남매 사이였던 부모를 통해 태어난 크레인은 선천적으로 몸이 약했고 안면기형, 백내장, 부정교합 등 근친교배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크레인이라는 이름도 중장비처럼 튼튼하게 자라길 바라는 마음에서 사육사들이 붙여준 이름이었다. 크레인은 자라면서 못생긴 외모와 지병으로 종 보전은 물론 전시동물로서의 가치도 떨어졌고, 지방의 민영 동물원으로 밀려났다. 그리고 대중의 관심에서 잊혀져 갔다.

크레인이 다시 등장한 건 지방 동물원이 부도 위기에 처해 소속 동물들이 거의 굶다시피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였다. 시민들의 서명과 청원에 힘입어 크레인은 태어난 고향 서울동물원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수컷 시베리아 호랑이 성체는 300kg까지 나가지만 서울동물원으로 돌아왔을 당시 극심한 영양실조 상태였던 크레인의 몸무게는 170kg밖에 되지 않았다. 동물원 크레인의 존재는 동물원의 존재 이유 중 하나로 거론되는 종 보전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크레인 사례로 인해 동물원법이 제정되고 시행되었고 전시·체험·공연동물을 위한 복지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질 수 있었다. 크레인은 철창 안에서 태어나 전시 동물로서의 가치마저 부정 당하는 비참한 삶을 살았지만 동물원의 동물 역시 살아있는 생명이며 그들에게도 삶의 질이 있고 복지가 필요한 존재임을 알리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인간은 자연에서 멀어질수록 자연을 그리워하고 야생의 동물들을 더 가까이 두고 보고 싶어 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인간이 다양한 동물을 한 장소에서 편하게 보기 위해 만든 동물원이라는 공간이 내포하고 있는 부작용이 생각보다 심각하다는 것이다. 인간이 자연이 아닌 인공의 환경에서 동물이 태어나게 했다면 그리고 그들이 죽는 순간까지 불행한 조건 속에 살다 갔다면 그것은 모두 인간의 책임이다. 일생을 닫힌 공간 안에서 사람들의 시선을 받으며 시달리고 있는 동물원의 동물들은 그들이 생명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도 이윤과 효율의 잣대만으로 평가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 본 도서 <동물원 친구들이 이상해>가 세상을 향해 던지는 화두이다.

우리는 지구라는 공간을 공유하며 살아가는 자연의 소리에 너무나 무신경하다. 아니 무신경한 것을 넘어서 동식물에게 침묵을 강요하고, 그러한 강요된 침묵을 당연시한다. 우리가 어떤 형태로든 자연에 영향을 끼칠 때, 그 자연의 반응을 우리의 잣대로서 평가하는 것은 인간의 오만이자 교만이다. 인간은 자연의 마음을 자의적으로 넘겨짚어서는 안 된다. 자연은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 장애물이 아니라, 지구라는 공간에서 공존하면서 생태계라는 거대한 시스템을 유지하고 이끌어갈 동반자이기 때문이다. 자연과의 공존을 위해서 인간은 자연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발을 맞추어야 한다.

나에게도 그림책 속에 등장하는 호랑이를 유난히 좋아하는 딸아이가 있다. 아직 <동물원 친구들이 이상해>를 읽고 내용을 이해하기에는 어린 나이이기 때문에 아이가 자라서 이 책을 읽을 수 있게 되면 동물원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싶다. 이 책에도 등장하는 행복한 동물원은 어떤 것일지, 또 그러한 동물원을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말이다. 동물원을 방문하는 것은 딸과 그러한 교감을 나눈 이후 딸의 선택에 맡길 것이다. 벌써부터 그 날이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