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지널스 - 어떻게 순응하지 않는 사람들이 세상을 움직이는가
애덤 그랜트 지음, 홍지수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 미시감 (未視感, Vuja de) : 독창성의 발현

독창성의 출발점은 호기심이다. 호기심은 왜 애초에 현재 상태가 존재하게 되었는지 의문을 품는 행위이다. 우리는 '기시감 (旣視感, Déjà vu)'의 정반대 현상인 '미시감 (未視感, Vuja de)'을 경험할 때 현재상태에 의문을 품게 된다. 기시감은 우리가 새로운 것을 접했을 때 전에 본 적이 있는 듯한 느낌이 드는 현상을 말한다. 미시감은 그 반대다. 늘 봐온 익숙한 것이지만, 그것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봄으로서 기존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함을 뜻한다.

 

 

2. 가치 창출의 원천 : 세그웨이의 실패사례

상품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아니다. 가치는 고객이 창출한다. 시장견인 전략 (Market Pull)  VS  기술주도 전략 (Technology Push)의 차이는 여기에 있다. 세그웨이를 발명한 카멘은 다른 사람들이 제기한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데는 뛰어났지만, 풀어야 할 문제를 찾는데는 그다지 재주가 없었다. 세그웨이의 경우, 카멘은 먼제 해결책을 찾은 후에 비로소 그 해결책이 쓰일 문제를 찾아 나섰다. 그는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시장견인 전략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만든 신기술을 시장에 공급하는 기술주도 전략을 밀어붙이는 실수를 했다.

1) 시장견인 전략소비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그 욕구를 충족시키는 제품을 만들어  시장에 내놓는 전략으로 시장 중심의 전략

2) 기술주도 전략기업이 기술 중심으로 전략을 세워 제품을 만들어 시장에 일방적으로 공급하는 전략을 말한다.

 

 

3. 혁신의 과정

권한은 단순히 기존 체제에 도전해서 얻어지지 않는다. 일단 기존체제 내에서 자위를 확보한 후에, 기존 체제에 도전하고 뒤엎어야 얻어진다.  <Francis Ford Coppola>

 

 

4. 성공에 가장 중요한 요소

아이디어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것은 독창성도, 재능도, 실행능력도, 사업모델의 질도, 가용자금이 있는지 여부도 아니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시기포착이다.  <Bill Gross>

 

 

5. 변화를 일으키는 힘

사람들이 위험을 무릅쓰게 만들고 싶다면, 가장 먼저 현재 상테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보여주어야 한다. 사람들을 안전지대에서 몰아내고 싶다면, 현재 상태에 대한 불만, 좌절, 분노를 느끼게 만들어야 한다. "가장 뛰어난 소통의 달인은 현재 상태를 먼저 규정하고 나서 이를 가능한 미래의 상태와 비교하고, 그 괴리를 가능한 한 최대한으로 만든다." 프랭클린 루즈벨트는 그 유명한 취임연설에서 대공황 (The Great Depression)의 절박한 현실을 묘사하고 나서야 비로소 도달가능한 미래상을 언급하였고 마틴 루터킹도 인종분리와 차별의 악몽 같은 현실을 고발하고 나서야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제시하였다. 일단 결의가  굳건히 다져지면, 과거를 돌아보는 대신 앞으로 해야할 일을 강조함으로 시선을 미래로 향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일단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결심이 서면 현재 상태와 바라는 상태 사이의 괴리가 사람들의 열정을 불타오르게 만든다.

 

 

6. 독창적인 사람이 된다는 것

나는 아침에 눈을 뜨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 싶은 욕망과 세상을 즐기고 싶은 욕망 사이에서 갈등한다. 이 때문에 하루일과를 계획하기가 어렵다.  <E. B. 화이트>

독창적인 사람이 된다 함은 행복을 추구하는 가장 쉬운 길은 아니지만, 숭고한 목적을 추구함으로서 행복을 느끼기에는 최적의 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