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종가의 색목인들 셜록, 조선을 추리하다 1
표창원.손선영 지음 / 엔트리(메가스터디북스)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셜록 홈즈. 전 세계에 그의 이름을 모르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요? 남녀노소, 독서가 취미이거나 아니거나 셜록 홈즈가 등장하는 단편 하나쯤 읽어보지 않았거나 그가 등장하는 영화나 드라마 한편 보지 않은 사람은 아마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겁니다. 그리고 전 세계에 포진해 있다는 셜로키언들, 때문에 100년 넘게 끊임없이 회자되고, 패러디 되고, 패스티시 되고 있는 인물이 바로 이 셜록 홈즈이지요. 그런데 작가가 밝혔듯, 우리나라에는 딱히 그런 작품들이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바로 이 시리즈의 첫 작품인 '운종가의 색목인들'이 나오기 전까지는 말이죠.

 

이야기는 셜록 홈즈가 모리어티 교수와 함께 계곡으로 추락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시작됩니다. 코난 도일은 이 이야기를 썼을 때만 해도 셜록을 회생시킬 생각이 없었다고 하죠. 하지만 수많은 독자들의 요청에 셜록 홈즈는 몇 년 후 회생하게 됩니다. 이 이야기는 바로 홈즈가 계곡으로 추락하였다가 회생하여 돌아올 때까지의 빈 시간을 채우는 이야기입니다. 작가(들)은 그 빈 시간 동안 셜록이 조선에 왔을 거라고 상상&설정하고 이야기를 풀어나갑니다.

 

홈즈에겐 응당 그를 돕고, 중재하며, 그의 이야기를 기록해주는 왓슨이 있어야하지요, 하지만 왓슨은 셜록이 죽은 줄로만 알고 있던 시기이니 왓슨을 대신할(?) 인물이 등장합니다. 배경이 조선인 만큼 조선인으로 말이지요. 왓슨과 이름도 닮은 와선, 무려 여성으로 등장합니다. (약쟁이) 홈즈가 조선으로 오는 배에서 사경을 헤맬 때 그의 목숨을 살리는 간호사로 등장하는 와선은, 다름아닌 실존 인물이었던 이제마의 딸이었습니다. 서자였던 이제마는 조선의 현실적인 한계를 일찍이 깨달았기에 딸을 미국으로 입양을 보내 신문물을 터득하도록 했었습니다. 때문에 와선은 통역관 겸 주치의(?) 로 홈즈와 함께 하게 됩니다. 솔직히 저는 이 작품의 진짜 주인공은 홈즈보단 와선이 아니었나 싶을 만큼 그녀의 시점으로 많은 사건들이 전개됩니다. 생각해보면 조선인으로서 홈즈라는 외국인을 맞이하는 것이니, 독자들의 공감을 더 잘 불러일으키도록 하는 장치가 아니었을까 싶네요.

 

명탐정이 있는 곳엔 희대의 악당또한 존재하기 마련이지요. 조선 곳곳에서 색목인 길거리의 여자들이 잔인하게 살해되는 연쇄 살인 사건이 발생합니다. 용의자는 지에커라고 불리는 영국인. 어랏! 어디서 많이 본 설정인데? 시기도 비슷하고! 싶으시죠? 저역시 머릿속에 곧바로 떠오르는 인물이 있었지요. 하지만 그 짐작은 맞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답니다. 진실은 책 속에서 직접 확인하시길^^;; 아무튼 작품의 큰 줄거리는 이렇게 홈즈와 지에커의 대결을 그려나가고 있습니다.

 

이 작품이 흥미로운 점은 무엇보다 셜록 홈즈라는 소설 속 가상의 인물과 알렌, 이제마 같은 실존 인물과 오롯이 이 작품으로 탄생한 가상의 인물들이 모두 함께 한다는 점입니다. 시기와 장소를 적절히 활용하여 이들을 참으로 자연스레 어울리게 만들어놓았지요. 때문에 작품을 읽어나가다 보면 100여년 전 조선에 실제로 이런 일이 이런 인물들에 의해서 벌어졌던 것은 아닌지 생각할 정도로 몰입하고 맙니다. 저는 이런 설정들을 몹시 좋아하기에 작가(들)의 이런 센스에 박수를 보냅니다.

 

고백하자면 저는 셜록 홈즈 시리즈를 전부 읽진 않았습니다만 어설프게나마 원작에서의 셜록 홈즈의 성격을 알고 있기에, 이 책을 읽은 많은 분들이 지적하듯 원작의 홈즈와 이 작품 속에서의 홈즈의 성격에 괴리감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것이 그리 거북하거나 불편하거나 하지 않고 오히려 꽤 재밌었습니다. 뭐랄까... 조금은 한국 사람들 취향에 맞게 변형된 셜록 홈즈의 느낌이 났다고나 할까요? 영드 셜록도 그렇잖습니까? 19세기의 홈즈가 21세기에 재창조 되면서 현대적인 감각으로 많이 바뀌었듯이 영국의 홈즈가 조선에 오면서 조선의 구미에(?) 맞게 바뀌었다는 느낌입니다. 때문에 시리즈가 계속되며 조선에 머무는 기간이 길어질 수록 점점 더 조선에 융화되어갈 '한국형 홈즈'가 저는 오히려 기대가 됩니다.

 

1880년대 조선은 상투적인 표현을 빌려 오자면, 그야말로 풍전등화같은 상황이었지요. 개화와 수구 사이의 갈등, 밀려드는 외부 세력들, 그리고 그들의 이권 다툼, 그리고 그 혼란 속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조선의 백성들. 이런 조선의 모습도 상당히 잘 담겨있습니다. 저는 워낙 이 시기의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보니 이런 점들도 이 작품을 읽어가며 찾은 재미중에 하나였습니다. 이런 조선의 상황에 필요한 인물들, 그 인물들 중 하나가 바로 홈즈라고 판단한 이제마의 선택. 그렇게 홈즈는 조선에 머물려 많은 사건을 해결해 나갈거라고 하는군요. 앞으로 이어질 시리즈에서 말이죠. 홈즈가 조선에서 해결한 사건들, 그리고 홈즈와 이제마의 콤비플레이가 기다려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