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아이
정승구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아로 자라 사시 패스 후 대기업 들어가 자수성가한 '나'는 과거 아픔과 상처가 깊은 인물이다. 그 큰 상처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을 때 그 기업 총수는 그를 기업 법무팀장으로 본사로 불러들인다. 그 총수에겐 아들이 하나 있었는데 어느날 그 아들은 살인을 저지르게 되고 이를 수습하기 위해 '나'에게 도움을 청한다. '나'는 신호 회장에게 여러모로 도움을 받은지라 이를 돕게 되고 다음날 회사에 출근하고 부터 살인 사건 용의자로 쫓기게 된다. 즉 어떤 음모에 휘말리고 만 것이다. 또한 '나'는 쫓기는 와중에 민주라는 전직 기자와 모든 사건의 중심에 있는 왕눈이라는 묘한 꼬마를 만나게 되고 사건은 점점 꼬여간다.

한편 정확한 위치도 알 수 없는, 세상과 벽을 둘러 군인들의 철저한 '보호' 또는 '감시'를 받는 고립된 한 어촌 마을에 사는 소년 바우는 무당인 할머니와 단 둘이 살아가지만 그 나이 또래 남자 아이가 다들 그렇듯 많은 꿈을 꾸고 절친인 갑수와 마을 안에서 나름 모험도 해가며 자란다.
그러다 마을에 어떤 사건이 벌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이야기는 '소년'의 이야기와 '나'의 이야기가 교차하다 중간즈음에 두 이야기가 합치되는 형식이다.

주인공이 누명을 쓰고 계속 쫓기는 과정이나 사건의 전말에는 거대한 음모가 도사리고 있는 것 등은 마치 골든슬럼버를 떠올리기도 했다.
나는 워낙 이런 류의 이야기를 좋아하기에 굉장히 빠르고 재밌게 읽어 나갔다.

골든슬럼버와 크게 다른 점이라면 이 소설은 우리의 아픈 역사가 담겨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읽다보면 자주 안타깝고 화가 나기도 한다.

또한 작가가 영화감독이라 그런지 책을 읽는 동안 한편의 스릴러 블럭버스터 영화를 보는 듯 장면들이 생생하게 그려졌다.
아마 영화로 만들어져도 좋을듯 싶다.
(개인적으론 책을 읽는 동안 감독의 전작의 주인공이었던 배우를 '나'에 대입하며 책을 읽었다^^;;)




 

 

p.265 인간이 죽지 않는다면 인생은 의미도 재미도 없을 것이고, 다시 돌아오지 않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과 여생에 대한 절박함도 사라질 것이다. 끝이 없는 인생에서는 새로움이 사라지고 권태가 우리를 고문할 것이다. 결말이 없으면 과정도, 의미도 없어진다. 그래서 인간에게 죽음은 어쩌면 영혼의 의무이고 축복일 것이다.

p.374 세상의 모든 새로운 출발과 시작은 위대한 기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