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를 키운 채식주의자
이동호 지음 / 창비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야밤에 깨어 있고 해가 뜨고 나서야 잠이 드는 걸 선호하지만,
그런 라이프스타일로는 결코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는 걸 알기에 자제한다(140까지 살테다).
고기를 먹는 것도 맛있으니까 좋아하지만,
최근에는 과하게 '무지성'으로 먹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내가 먹는 고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리고 내 몸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달아 인식한 후 일어난 변화다.

채식주의자가 되겠다는 선언은 아니다.
그동안 수많은 고기를 먹어 왔고, 그 결과 처음 한두 점이 제일 맛있다는 사실을 인식한 까닭이다.
굳이 많은 고기를 먹어야 할 필요가 없다면, 가장 맛있게,
여기에 들어간 생명과 노고가 무시되지 않도록 조절해 먹는 게 합리적이지 않을까?
더 많은 정보를 접하고 나면 또 어떻게 바뀔지는 모르겠지만,
현재로서는 이 지점이 내가 내디딜 수 있는 최선의 발걸음이다..

비육식과 굳이 거리는 두지 않지만 참여할 의사도 딱히 있지는 않은 사람들이라면 이 책이 알맞다.
돼지 세 마리를 직접 키우고 잡는 과정을 일기처럼 쓰되,
육식하는 사람도 너무 마음의 부담을 갖지 않게 가능한 객관적으로 쓰였다.
궁금한 점을 긁어주지만 (다른 유사 도서에 비해) 부담은 주지 않는다.
읽고 좀더 자신의 생각을 다듬는 계기로 삼기 좋은 책이다.
저자의 독특한 문체도 읽기의 재미를 더한다.

무항생제가 오히려 동물복지에 반한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아픈 이에게 약을 주지 않는다니, 이보다 무바비할 수는 없다고 말이다. 하지만 병에 걸리는 원인에 대해서는 침묵한 채 치료만 논하는 것은 옮지 않다. 게다가 현장에서의 항생제 사용량은 감기약 수준이 아니다. 병의 전파를 막기 위해 같은 방의 돼지들에게 항생제를 일괄 투약한다.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항생제의 70퍼센트는 가축에게 쓰인다.

건강한 돼지가 영양 면에서도 좋다는 사실을 우리는 안다. 그러나 제육볶음을 7000원에 먹으려면 그런 돼지고기는 사용할 수 없다. ‘서민의 고기‘라는 허울 좋은 호칭은 가장 잔인한 사육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미국의 ‘폴리페이스‘라는 농장에서는 소와 닭, 그리고 돼지를 같이 키운다. 농장주인 조엘 샐러틴은 동물을 한종만 키우는 것도 한 농경지에 한 농작물만 키우는 단작만큼 나쁜 일이라고 말한다. ... 자연에 한가지 종만 존재하는 경우는 없다.

분업화는 최소한의 인력으로 높은 효율을 이룩했다. 다르게 말하면, 생명을 죽이는 일의 고속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공정한 숫자들 - 통계는 어떻게 부자의 편이 되는가
알렉스 코밤 지음, 고현석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격적으로 내용이 시작되기에 앞서 용어를 정리해주는 친절함이 고마웠던 책이다. 이 책에서는 체계적으로 통계에서 배제되는 사람들을, 이어서 불법적으로 숨겨지는 자본을 살펴본다. 실제 예시를 통해 무엇이 어떤 의도로 배제되고 타협되는지 알 수 있는데, 사회 과목에서 기초적으로 배우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GDP에 대한 다시 보기부터 시작된다. 가장 충격적이었던 내용은 미국에서 투표권을 가진 사람을 조정하는 방법이었다. 기발하다고 해야 할지, 악랄하다고 해야 할지... 통계의 근본을 들여다보지 못한다면 전문적인 모질이가 될 뿐이다.

담금질이 잘 된 날붙이는 무언가 자르는 데 효과적이지만 그만큼 치명적이다. 통계도 마찬가지다. 불공정한 숫자로 인해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우리 모두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은 자의 집 청소
김완 지음 / 김영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시점에선가 꾸준히 나와주는 직업인의 개인 밀착형 목소리들. 선호하는 주제의 책이여서 감사하게 잘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본주의 : 유령 이야기
아룬다티 로이 지음, 김지선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본주의 유령'의 그늘이 넓은 만큼, 폭 넓은 주제에 걸쳐져 있는 인도의 비합리적이고 불평등한 사건들. 이를 낱낱이 기록한 책이다.
작은 책이지만 여기에 담긴 시간과 심오함의 깊이는 나니아 연대기 합본을 충분히 넘어선다.

우리나라라고 해서 이곳의 상황과 다를까?
조금 더 은밀하다는 점만 다르지 않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문제의 근원인 자본주의를 갈아엎자'는 아룬다티 로이의 주장에 기겁한 까닭은 자본주의 유령이 너무나 무섭기 때문일까?

선거를 둘러싼 축제가 요란하면 요란할수록, 우리는 과연 민주주의가 진짜 존재하는지를 더 의심하게 된다.

우리는 모두 타타 스카이로 텔레비전을 보고, 타타 포톤으로 인터넷 서핑을 하고, 타타 택시를 타고, 타타 호텔에 묵고, 타타 도자기에 담긴 타타 티를 타타 철강에서 만든 티스푼으로 저어가며 마신다. 우리는 타타 서점에서 타타 책들을 산다. 우리는 타타의 녹을 먹고 산다. 우리는 포위상태다.

중요한 것은 부르카가 아니다. 강제다.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맥락을 떠나 이런 식으로 젠더를 보면 젠더는 정체성의 문제가 아니라 장신구와 복식들의 전투가 되고 만다.

하긴 인도는 여러분에 못지않은 모든 자격을 갖췄지요. 핵폭탄도 있고, 터무니없는 불평등도 있으니까요.
좋은 소식은 사람들이 당할 만큼 당했고 이제 더는 참을 생각이 없다는 것입니다...우리는 불평등을 제조하는 이 체제에 그만 뚜껑을 덮고 싶습니다. 우리는 기업은 물론이고 개인들의 고빠 풀린 부와 재산 축적에 마개를 꽃아넣고 싶습니다...자본주의는 어느새 정의라는 개념을 그저 ‘인권‘이리는 뜻으로 주저앉혔고, 평등을 꿈꾸는 것을 불경한 행위로 만들었습니다.

우리는 결코 실패하지 않았습니다. 올바른 행동을 한다는 것이 곧 성공이니까요. 실패는 당신이 할 수 있고 해야 하는데 하지 않았을 때, 그때 있는 거예요. 올바른 행위. 그것이 평화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갔어야 했다 쏜살 문고
다니엘 켈만 지음, 임정희 옮김 / 민음사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짧지만 매서운 책이다. 마치 영화 샤이닝과 인터스텔라를 동시에 본 느낌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