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편소설가 되기
존 가드너 지음, 임선근 옮김, 레이먼드 카버 서문 / 걷는책 / 2018년 8월
평점 :
아빠와 나는 자주 다퉜다. 우리는 인생을 바라보는 가치관이 너무나 달랐다. 아빠는 나에게 사회에서 성공한 사람이 되라고 했다. 피라미드 꼭대기로 올라가라고 말했다.
나는 사회에서 말하는 성공을 추구하지는 않을 거라고 답했다. 그런 인생에서는 행복을 찾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아빠는 한심하다는 듯이 말했다. "뭐라고? 성공한 삶이 행복하지 않다고? 그렇다면 앞으로 성공한 삶에서 행복을 느끼면 되는 거잖아!!!"
나도 그러고 싶었다. 사회에서 말하는 성공을 추구하는 일에서 행복을 느끼고 싶었다. 진심으로 노력을 안 해본 건 아니었는데 그래도 안 되는 걸 어쩌나. 세상의 많은 불행은 자신의 욕망과 주변의 기대 사이의 불일치에서 나온다.
존 가드너의 <장편소설가 되기>는 장편소설가가 되려는 사람들에게 실용적인 조언을 주기 위해 쓰인 책이다. 나는 장편소설을 쓸 계획이 전혀 없는데도 재미있게 읽었다. 장편소설가를 꿈꾸지 않더라도, 사회에서 말하는 소위 '성공'과는 먼 길을 택한 사람이라면 꽤나 공감하면서 읽을 만한 부분이 많았다.
작가란 끊임없이 쓰고 또 쓰고 그렇게 쓴 걸 수도 없이 고쳐쓰는 사람이다. 소설 쓰는 걸 정말 좋아하는 사람만이 이렇게 힘겹고 지루한 작업을 견딜 수 있다. 장편소설가들의 기쁨과 슬픔이 여기에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한다는 기쁨, 그리고 그것 말고는 어떠한 보상도 얻기가 어렵다는 슬픔.
직업을 택할 때 좋아하는 것 말고 잘 하는 걸 하라는 조언이 있던데, 장편소설가들은 자신들이 이걸 잘 하는지 아닌지 확신을 얻기가 어렵다. 그럴 때 필요한 게 주변의 신뢰와 지지인데 소설가들은 이걸 얻기도 어렵다.
【의학 박사나 전기 공학자나 산림 경비원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힌 청년에게 그 생각이 얼마나 비현실적이고 허황되고 시간과 지능의 낭비인지를 설명하는 선의의 충고가 곧장 쏟아지지는 않는다. "잘해봐라"라고 말해주고 속으론 의학 박사가 되기에 성적이 모자라면 접골사라도 되겠지, 할 뿐이다. 그런데 작가가 되겠다는 사람에게는 그의 친구, 친척, 직업 작가 들은 말할 것도 없고 창작 교사들이나 창작에 관한 책들까지도 대뜸 성공하려면 각오해야 할 끔찍한 역경에 대해 지적질을 해댄다(그럼으로써 역경을 가중시킨다).】
존 가드너는 장편소설을 쓰려는 사람에게 가장 필요한 건 자기 확신이라고 말한다.
【오랜 세월 학생들을 가르쳐온 나는, 분명 재능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자신이 가정도 건사하지 못하고 사회적 의무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나아가 자기기만에 빠져 있다는 생각에ㅡ심지어 여러 편의 소설이 채택됐는데도ㅡ거의 무기력 상태에 이를 만큼 자학하는 젊은 작가들을 수없이 봐왔다. 거절 편지를 받을 때마다 가슴이 찢어지고 부모의 부드러운 채근ㅡ"자식을 가질 때가 되지 않았니?"ㅡ에도 아찔해진다. 오직 강인한 사람만이, 자신의 가능성을 믿어주는 몇몇 사람의 응원에 힘입어 이 시기를 견딘다. 작가는 자신이 사실은 진지한 삶을 살고 있으며, 그 진지함으로 기꺼이 큰 모험을 감수하고 있다는 자기 확신을 가져야만 한다. 악의든 선의든 자존심을 건드리는 일격을 피할 방법ㅡ짓궂은 유머든 뭐든ㅡ을 찾아야만 한다.】
또한 막돼먹음의 미덕을 언급한다.
【소설 쓰기에 충분한 기량을 갖춘 다음에는 한층 단단히 정신 무장을 해야 한다. 출판을 서두르기보다는 자신만의 문체를 공들여 보완하면서 소설 쓰기 기술을 천천히 신중하게 익히고 있자면 사람들이 그를 비딱하게 보기 시작하고 못 미덥다는 듯이 "대체 뭘 하는데?"라고 물을지도 모른다. "어째서 내내 빈둥거리고만 있는 거야? 네 강아지는 왜 그리 비쩍 말랐는데?"라는 뜻이다. 이럴 때 막돼먹음의 미덕이 요긴하다ㅡ진지한 생활인의 자세 거부하기, 짓궂게 굴기, 툭하면 울기 같은 행태들. 취해서 울기는 닦달하려 드는 사람 퇴치에 효과 만점이다.】
혹시 존 가드너가 나와 아빠의 대화를 엿들은 건 아닐까. 사회가 요구하는 성공에서 행복을 찾도록 하라는 아빠의 말을 듣고 나는 미친 사람처럼 반항했다.
하지만 그렇게 막돼먹은 인간이 되었다고 해서 결코 마음이 편한 건 아니었다. 장편소설가들도 역시나 다방면으로 죄책감을 느낀다고 한다.
【오후 다섯 시면 일에서 해방되는 친구들과 당연히 처지가 다를 수밖에 없다. 처자식이 있으면 이웃들만큼 가족에 관심을 기울이지 못한다는 생각에 막연한 죄책감까지 느낀다. 안 느낀다면 소설가가 아니다.】
이쯤되니 이 책은 장편소설 쓰기를 가르치려는 책인지, 세상과 불화하는 인간들에게 공감하고 위로하려는 책인지 헷갈린다. 아마도 둘 다이지 싶다.
책 뒷부분에서는 출판사 구하기, 에이전트 구하기와 같은 비교적 실용적인 정보들이 있으나 현재의 소설가 지망생들이 참고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미국의 정보인데다가 너무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초판은 1983년에 출간되었다.
끝으로, 이 책이 좋았던 이유 한 가지 더. 이 책은 지극히 현실적이다. 자신의 작업을 위해서 때로는 수치심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면서, 자신의 작업을 좋아해주는 배우자에게 경제적으로 얹혀사는 것도 그렇게 나쁜 선택은 아니라고 단언한다.
【순수한 동기에서 자기 작업을 기꺼이 밀어주는 누군가와 함께하는 작가인 그 또는 그녀는, 관습적인 도덕률을 떨치고 주의 은혜를 받들어 그의 권능 아래 사랑하는 이의 인자함에 값할 수 있도록 분골쇄신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