河中之水歌

梁·蕭衍 

 

河中之水向東流,洛陽女兒名莫愁。莫愁十三能織綺,十四采桑南陌頭。十五嫁為盧家婦,十六生兒字阿侯。盧家蘭室桂為梁,中有鬱金蘇合香。頭上金釵十二行,足下絲履五文章。珊瑚挂鏡爛生光,平頭奴子擎履箱。人生富貴何所望,恨不早嫁東家王


황하의 물 동으로 예고, 낙양에 아가씨 이름은 막수. 막수는 열셋에 비단옷 마름하고, 열넷에 남쪽 길가에서 뽕 땄네. 열다섯에 노씨 집에 시집 가, 열여섯에 아들 낳고 아후라 이름했네. 막수가 머무는 규방은 계수로 들보 삼고, 그 안에 울금과 소합의 향기 가득하지. 머리에는 열두줄 금비녀 꼽고, 발 아랜 오색 무늬 실 버선 신었다. 산호로 엮어 만든 거울대에선 반짝반짝 빛이 나고, 머리도 안 올린 종아이 신발 상자 들고 섰다. 인생에 부귀야 무얼 더 바라겠냐만, 일찍이 동가에 왕씨에게 시집 못 간 것만 한스러워라. 



洛陽女兒行

唐·王維  


洛陽女兒對門居,纔可容顔十五餘。良人玉勒乘驄馬,侍女金盤鱠鯉魚。畫閣朱樓盡相望,紅桃綠柳垂檐向。羅幃送上七香車,寶扇迎歸九華帳。狂夫富貴在靑春,意氣驕奢劇季倫。自憐碧玉親教舞,不惜珊瑚持與人。春窗曙滅九微火,九微片片飛花璅。戲罷曾無理曲時,妝成秪是薰香坐。城中相識盡繁華,日夜經過趙李家。誰憐越女顔如玉,貧賤江頭自浣紗。


낙양의 아가씨 문을 마주하고 사는데, 고운 얼굴이 겨우 열댓 남짓. 낭군은 옥 재갈 물린 청총마를 탔고요, 시녀는 금쟁반에 잉어회를 담아오네. 단청한 누각들이 한없이 바라보고, 복사꽃 푸른 버들이 처마 향해 드리웠네. 나갈 땐 비단 휘장 친 칠향거에 타고, 돌아올 땐  보선을 쥐고 구화장에 드네. 거리낄 것 없는 지아비는 돈도 많고 귀한데다 또 젊은지라, 그 의기가 교만하고 사치해 부자였던 石崇도 우습게 여긴다네. 碧玉을 어여삐 여겨 친히 춤을 가르치고 산호수를 남에게 주는 것도 아끼지 않네만. 봄 창에 새벽 되자 꺼지는 九微燈, 편편이 꽃잎처럼 날리는 등불. 다 놀 때까지 노래 한 곡 익힐 시간 없고, 화장하고 다만 향기 쏘이며 앉아 있을 뿐. 성 안의 아는 이들 모두 귀한 번듯한 이들이요, 밤낮으로 들르는 곳 趙家와 李家라네. 누가 옥같이 고운 월녀가 가난해서 강가에서 비단을 빠는 것 가여워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秋雨嘆三首 

(唐·杜甫) 

其一

雨中百草秋爛死,階下決明顔色鮮。著葉滿枝翠羽蓋,開花無數黃金錢。凉風蕭蕭吹汝急,恐汝後時難獨立。堂上書生空白頭,臨風三嗅馨香泣


其二

闌風長雨秋紛紛,四海八荒同一雲。去馬來牛不復辨,濁涇清渭何當分。禾頭生耳黍穗黑,農夫田婦無消息。城中斗米換衾裯,相許寧論兩相直。


其三

長安布衣誰比數,反鎖衡門守環堵。老夫不出長蓬蒿,稚子無憂走風雨。雨聲颼颼催早寒,胡雁翅濕高飛難。秋來未曾見白日,泥污后土何時乾。


가을비 탄식 


길게 쏟아지는 장맛비에 젖어 모든 풀들이 이번 가을에 썩어 죽었으나, 오직 층계 밑에 피어있는 결명화 너만은 빛이 생생하구나. 가지에 가득 붙은 잎들은 마치 비취새의 날개로 만든 수레의 차일덥개 같고 무수히 피어난 꽃들은 마치 황금의 돈 같기도 하다. 그러나 차가운 바람이 소소히 불어 너를 몰아내니 아마 너도 앞으로는 우뚝 서 있기가 어려울 것이니라. 당상에 있는 서생인 나도 하염없이 머리가 희었으니 바람따라 너의 향기 자주 맡으면서 눈물짓고 있노라. 


축축한 바람이 끝없이 불고 궂은 비가 줄곧 내려 금년 가을은 겉잡을 수 없이 어지럽고 온 세상 사방 팔방의 끝이 한결같이 비구름에 덮여 있다.오가는 말과 소가 비바람에 엉기어 분별할 수가 없고 또한 본래가 탁한 경수와 맑은 위수조차 구분할 수가 없다. 벼이삭 끝에는 귀가 솟아난 듯 싹이 돋았고 기장은 꺼멓게 썩었으며 농부나 밭갈이를 하는 사람들의 모습도 찾아볼 수가 없다. 도시 안에서는 먹을 것이 귀해 쌀 한 말과 이부자리를 바꾸기도 하며, 그것도 쌀과 바꿀 수만 있다면 값이 맞는지 안 맞는지는 논하지도 않는다.


장안에 포의를 뉘라 생각해줄까, 외려 형문을 걸어닫고 두른 담이나 지킨고 앉았다. 늙은 이몸 나가지 않아 쑥대만 자랐는고, 어린 아들은 걱정없다는 듯 비바람 속을 달리누나. 주룩주룩 빗소리에 이른 추위 몰아닥치는데, 북에서 온 기러기 날개젖어 높이 날기 어렵다네. 가을 온 뒤로 가을볕다운 볕구경 못했거니,어느 때야 이 진창이 마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舟中望月(梁·朱超)


大江闊千里,孤舟無四鄰。唯餘故樓月,遠近必隨人。入風先繞暈,排霧急移輪。若教長似扇,堪拂艷歌塵


천리 아득한 강에, 아무도 없이 홀로 뜬 배여, 

오직 옛 누각의 달만 남아, 가까워졌다 멀어졌다 사람을 쫓네.

바람에 들면 먼저 지는 달무리, 안개 헤치며 급히 수레바퀴 굴리는 듯.

만약 저 달이 오래도록 둥근 부채라면야, 노래하는 저 미인의 옷에 묻은 먼지 털어줄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全梁文 卷二十九

*육식과 양잠, 살생에 대하여


释氏之教,义本慈悲,慈悲之要,全生为重。恕己因心,以身观物,欲使抱识怀知之类,爱生忌死之群,各遂厥宜,得无遗失。而俗迷日久,沦惑难变。革之一朝,则疑怪莫启;设教立方,每由渐致。又以情嗜所染,甘腴为甚;嗜染于情,尤难顿革。是故开设三净,用申权道。及涅槃后说,立言将谢,则大明隐恻,贻厥将来。夫肉食、蚕衣,为方未异;害命夭生,事均理一。㵸茧烂蛾,非可忍之痛;悬庖登俎,岂偏重之业?而去取异情,开抑殊典,寻波讨源,良有未达。渔人献,肉食同有其缘;妾登丝,蚕衣共颁其分。假手之义未殊,通闭之详其辩。访理求宗,未知所适。外典云:五亩之宅,树之以桑,则六十者可以衣帛矣;鸡肫犬彘,勿失其时,则七十者可以食肉矣。然则五十九年已前,所衣宜布矣;六十九年已前,所食宜蔬矣。轻暖于身,事既难遣;甘滋于口,又非易亡。对而为言,非有优劣。宜枲麻果菜,事等义同,攘寒实腹,曾无一异,偏通缯纩,当有别途。请试言之:夫圣道隆深,非思不洽;仁被群生,理无偏漏。拯粗去甚,教义斯急。缯衣肉食,非已则通。及晚说大典,弘宣妙训。禁肉之旨,载现于言;黜缯之义,断可知矣。而禁净之始,犹通蚕革,盖是敷说之仪,各有次策。亦犹阐提二义,俱在一经;两说参差,各随教立。若执前远后,则阐提无入善之途;禁净通蚕,则含生无顿免之望。难者又以阐提入道,闻之后说,蚕革宜禁,曾无概理,大圣弘旨,义岂徒然?夫常住密奥,传译遐阻;泥洹始度,咸谓已穷。中出河西,方知未尽;关中晚说,厥义弥畅。仰寻条流,理非备足。又案《涅槃》初说:阿阇世王、大迦叶、阿难三部徒众,独不来至,既而二人并来,唯无迦叶。迦叶,佛大弟子,不容不至。而经无至文,理非备尽。昔《涅槃》未启,十数年间,庐阜名僧,已有蔬食者矣。岂非乘心闇践,自与理合者哉!且一朝裂帛,可以终年;烹牢待膳,[一/旦]時引日。然则一岁八蚕,已惊其骤;终朝未肉,尽室惊嗟。拯危济苦,先其所急;敷说次序,义实在斯。外圣又云:一人不耕,必有受其饥者。故一人躬稼,亦有受其饱焉。桑野渔川,事虽非已;炮肉裂缯,咸受其分。自《涅槃》东度,三肉罢缘,服膺至训,操概弥远,促命有殚,长蔬靡惓。秋禽、夏卵,比之如浮云;山毛、海错,事同于腐鼠。而茧衣纩服,曾不惟疑。此盖虑穷于文字,思迷于弘旨,通方深信之客,庶有鉴于斯理。斯理一悟,行迷克反,断蚕肉之因,固蔬枲之业。然则含生之类,几于免矣!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중화사상
이춘식 / 교보문고(교재) / 1998년 5월
평점 :
품절


1.

장태염의 <태염문록>에 화하민족의 시조를 옹과 양의 두 주 사이에 거주하며, 화산의 남과 북에 걸쳐 거주한 집단이 이룬 華라는 국명에서 그 기원을 찾고 있다. 프랑스의 데리엥 드 라콩프리는 중국민족의 기원을 서방 바빌로니아의 박족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고, 독일의 키르허는 이집트에서, 알프레드 포크는 동남아 기원설을 각기 주장.

 

스웨덴의 앤더슨이 1921년 하남성의 앙소촌에서 앙소문화 발굴. 이에처 출토된 토기의 각문이 갑골문의 숫자 유형과 유사함. 은의 지리개념은 사방에 한정되지 않고, 28방 혹은 42방까지 확장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방국, 방위는 은을 제외한 여타 다양한 이민족의 혼거를 방증한다.

 

신석기혁명과 농경문화의 발달이 중국의 화하민족의 출현을 촉진시키다.

 

2.

侯와 王의 어원적 문자적 형태를 살피면, 모두 무력집단을 기반으로 성읍, 방읍을 다스리는 지도자의 출현을 암시하고 있다.

 

부족연맹의 출현 계기는 우선 약탈과 침략에 방어하기 위한 원인과, 황하를 중심으로 한 치수의 효울성을 위해 등장했다는 설이 있다. 은을 중심으로 하는 방국연맹의 형성은 은왕과 제후, 제백의 군사적 공동 이해를 기반하며 지배와 피지배의 군신관계적 의미는 강하지 않다. 은의 제사제도와 문화는 은족의 조상신 뿐 아니라 타부족의 신들까지 포섭하고 융화함으로써 은의 통치체계를 공고히 하는 계제를 마련한다.

 

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